•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자료 분석 방법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12-127)

E. 실증 분석 대상의 평가 지표 분석

2. 자료 분석 방법

설문조사 자료는 SPSS 12.0 for windows ko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 였으며, 공공 공간의 디자인 평가 지표 도출시 사용한 분석 방법과 동일하게 적용 하였다.

설문항목에 대해 평균분석과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하였다. 설문 항목의 신 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alpha 계수를 이용하였고, 설문 항목의 구성개 념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독립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독립변수와 일반적 특성과 집 단간 비교검증(t-test)을 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a. 평균 분석

(1)전체 공원 평가 지표 평균 분석의 일반적 경향

본 논문에서 사용된 평가 지표의 독립변수는 접근성 5개 항목, 활용성 5개 항 목, 지속가능성 4개 항목, 경관성 4개 항목, 심미성 4개 항목이며, 기능성은 3개 항목, 안전성은 5개 항목, 지역정체성 3개 항목, 커뮤니티 5개 항목, 쾌적성 7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종속변수는 만족도 3개 항목과 추천의도 2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내용은 [표 5-6]과 같다

설문 내용 평균 S.D N

1.이공원은 대중교통으로부터 접근이 쉽다 3.78 1.12

390

2.이공원은 충분한 주차장이 있다 3.36 1.26

3.이공원은 자전거 이용자를 위한 시설이 있다 3.52 1.1

4.이공원은 정확한 안내 표시판이 있다 3.37 1.02

5.이공원은 공원 내에서 길 찾기가 쉽다 3.65 .97

소 계 3.54

1.이공원은 날씨에 관계없이 이용이 가능하다 3.23 1.3

2.이공원은 주위 건물, 보행도로 등과 연결성이 좋다 3.72 .94 3.이공원은 이벤트 프로그램을 통해서 이미지 상승 효과가 있었다 3.37 1.11

4. 이공원은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다 3.28 1.06

5. 이공원은 다양한 시설로 공간을 변화 시킬 수 있다. 3.51 .93

소 계 3.42

1.이공원은 친환경적인 재료를 사용하고 있다 3.23 .83 2.이공원은 유지․관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3.58 .82

3.이공원은 주민의 요구사항이 반영되고 있다 3.2 .90

4.이 공원은 재생·재활용을 통한 순환이 잘 되고 있다 3.03 .92

소 계 3.26

1.이공원은 스트레스를 감소시켜준다 3.83 .81

2.이공원은 조망이 좋다 3.87 .83

3.이 공원은 주변과 조화롭게 구성되어 있다. 3.85 .84 4.이 공원은 시설물의 적절한 시설배치로 개방감을 준다 3.88 .83

소 계 3.86

1.이공원은 주변경관과 잘 어울린다 3.82 .83

2.이공원은 경관과 잘 어울리는 색채를 사용한다 3.59 .88

3.이공원은 조화되는 깔끔한 디자인이다 3.66 .91

4.이 공원은 시각적으로 즐거움을 주는 입면디자인을 사용한다 3.45 .88

소 계 3.63

1.이 공원의 크기는 적절하다 3.77 .87

2.이 공원의 구조는 효율적이다 3.67 .88

3.이 공원의 시설 마감재는 튼튼하다 3.43 .89

소 계 3.63

1.이 공원은 누구나 보행하기에 안전하다 3.76 .91

2.이 공원은 시각적으로 차폐된 공간이 없는 열린 공간으로 자연 감시가 가

능하다 3.69 .88

3.이 공원은 보행공간이 차량으로부터 안전하다 3.88 .91 4.이 공원은 램프와 경사로에 미끄럼 방지시설이 있다 3.26 .97 5.이 공원은 야간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적당한 조명을 설치하였다 3.58 .88

소 계 3.63

[표 5-6] 전체 공원 변수의 평균 분석

[표 5-6] 계속

1.이 공원은 지역의 자연적 특징이 있다 3.52 .88

390

2.이 공원은 이 공간만의 특성이 있다 3.55 .81

3.이공원은 이 지역과 관련된 역사 및 문화를 보존하며 활용하고 있다 2.99 1.09

소 계 3.35

1.지역 주민에게 있어 이 공원은 중요하다 4.03 .82 2.이 공원은 낯선 사람과도 편안히 이야기할 수 있다 3.38 1.07 3.이 공원은 지역공동체 등의 사회 활동에 대한 유대감을 준다 3.58 .86 4.이 공원은 인접의 공공 공간과 연계되어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다 3.64 .91 5.이 공원은 지역 주민들이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3.92 .88

소 계 3.71

1.이 공원은 깨끗하고 잘 관리가 되어 있다 3.84 .83

2.이 공원은 좋은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3.95 .82

3.이 공원은 청결하고 안락하다 3.84 .89

4.이 공원은 좋은 인상을 준다 4.02 .76

5.이 공원은 편안하게 느껴진다 3.97 .78

6.이 공원은 밝은 느낌을 준다 3.97 .80

7.이 공원의 시설은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3.96 .76

소 계 3.94

만족도

1.이공원은 전반적으로 만족한다 3.90 .80

2.이 공원은 주변 경관에 만족스럽다 3.85 .83

3.이 공원 시설배치 및 구성에 만족스럽다 3.78 .85

소 계 3.85

추천 의도

1.앞으로 이 공원에 다시 방문할 것이다 4.09 .81

2.이 공원은 친구나 친지분들에게 추천할 것이다 3.75 .93

소 계 3.85

우선 변수들의 평균을 분석해본 결과 지속가능성 항목에서 3.26로 접근성, 활용성, 지속가능성, 지역정체성이 가장 낮은 정도를 나타냈으나, 쾌적성 평가 항목이 3.94로 가장 높게 나타난 것과 포함하여 경관성, 커뮤니티, 안전성, 기능성, 심미성에서도 높 은 평균을 보이고 있다. 이는 공원 이용자들의 전체 만족도와 연결되는 것으로 다양한

체험, 공원의 유지관리, 대중교통을 통한 접근성은 어렵지만, 도심에서 공원의 특성이 보여주는 자연환경의 경관성과 지역사회의 공동체 활동,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쾌적성에서 높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전체 평가 항목에 대해 평가자별 평균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으나 지 속가능성에서는 평가자별 평균차가 나타나고 있다. 평가를 실시하기 전에 평가 항 목과 내용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하였으나, 일반인들의 이해 부족으로 인한 오차 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전체적인 평가 결과가 균일하게 나오는 것으로 보고 평 가지표에 대한 세심한 조정과 보다 명료한 평가 범위를 제시함으로서 객관적인 평 가 방법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림 5-3] 전체 공원의 이용자 인식 스파이더 다이어그램

(2) 각 공원별 평균 분석

① S1 공원

S1 공원에서 사용된 평가 항목의 독립변수인 경관성(3.78), 쾌적성, 심미성, 기능성, 커뮤니티, 안전성순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지속가능성(3.25), 지 역정체성, 접근성, 활용성의 순서로 낮은 평가 정도를 나타냈다. S1공원의 공간적 위치와 주변 환경에서 다른 공원과의 연계성을 찾아볼 수 있는데 강을 주변으로 형성된 호수 공원으로 천변 공원의 경관과 대단위 복합 쇼핑몰 계획된 요소 때문 에 시설을 사용하기에 편리함과 공공공간과 연계되어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성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지속적인 유지 관리와 지역적 특성에 대한 인식은 교통편을 이용한 접근성, 그리고 주위 건물과 보행도로의 연결성은 어려운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변수들의 평균을 분석해본 결 과 내용은 [표 5-7]과 [그림 5-4]와 같다.

[표 5-7] S1 공원 변수의 평균 분석

접근성 활용성 지속

가능성 경관성 심미성 기능성 안전성 지역

정체성 커뮤

니티 쾌적성 3.31 3.32 3.19 3.78 3.59 3.51 3.56 3.21 3.49 3.68

[그림 5-4] S1 공원 디자인 평가지표 평균

② S2 공원

S2 공원에서 사용된 평가 항목의 독립변수인 지속가능성(3.25), 지역정체성, 활용성, 접근성은 낮은 평가 정도를 나타냈으며, 쾌적성(4.07), 경관성, 커뮤니 티, 기능성, 안전성, 심미성은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S2공원의 변수들을 분석해 본 결과 주거 밀집 지역의 가운데에 위치한 특성으로 공원에 대한 좋은 이미지와 편안한 사용시설 그리고 지역 공동체 활동(당산제, 게이트볼 운동 모임 등)의 만 족에 대한 것으로 해석되며 지속적인 유지관리와 지역적 특성에 대한 인식과 교통 편을 이용한 접근성, 그리고 주위 건물과 보행도로의 연결성은 어려운 것으로 해

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평균 분성의 내용은 [표 5-8]과 [그림 5-5]와 같다.

[표 5-8] S2 공원 변수의 평균 분석

접근성 활용성 지속

가능성 경관성 심미성 기능성 안전성 지역

정체성 커뮤

니티 쾌적성 3.53 3.38 3.25 3.90 3.56 3.63 3.60 3.29 3.86 4.07

[그림 5-5] S2 공원 디자인 평가지표 평균

③ P 공원

P 공원에서 사용된 평가 항목의 독립변수인 지속가능성(3.33), 지역정체성, 활 용성에서 낮은 평가 정도를 나타냈으며, 쾌적성(4.07), 경관성, 접근성, 커뮤니 티, 심미성, 기능성, 안전성에서는 높은 정도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S2공원은 지형적 특성이 산과 호수를 동시에 접하고 있고, 청결한 이미지로써 오 랜 시간동안 인식되어온 이유와 교통편에 의한 접근성이 수월한 곳으로 만족할 수 있는 평가 지표로써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이 공원의 자연적 특성이나 시설에 대 한 관리적 소홀이 주민의 요구 사항으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하고 할 수 있다. 변수들의 평균을 분석해본 결과 내용은 [표 5-9]와 [그림 5-6]과 같다.

[표 5-9] P 공원 변수의 평균 분석

접근성 활용성 지속

가능성 경관성 심미성 기능성 안전성 지역

정체성 커뮤

니티 쾌적성 3.76 3.57 3.33 3.88 3.74 3.73 3.73 3.57 3.76 4.04

[그림 5-6] P공원 디자인 평가지표 평균

b.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본 연구에서는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연구의 특성 에 맞게 도출된 측정항목들에 대하여 측정문항의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을 실시하 였다.

신뢰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동일항목의 반복측정법, 항목분할법, 내적 일관성 측정법 등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구성항목들의 내적 일관성을 평가하기 위해 Cronbach alpha값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구성개념의 타당성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 는 것이 요인분석이다. 요인분석은 전통적으로 측정된 변수가 갖고 있는 잠재적인 구조(latent structure)를 밝히는데 사용되고 있다. 즉 많은 측정 변수들을 공통 요인으로 묶어 자료의 요약으로 측정된 변수들이 동일한 구성개념을 측정하고 있 는가를 파악할 수 있는 분석방법이다. 그래서 요인분석은 주로 검사나 측정척도의 개발과정에서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 많이 사용된다.71)

즉, 다른 측정개념들과 상이하게 그룹핑이 되는가를 통해 판별타당성을 그리고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에 대해서 각 변수의 분산을 설명하는 정도인 요인 부하량의 값을 통해 집중타당성을 파악하는데, 사회과학에서 통용되는 요인 부하량은 최소 0.5이상이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구성 개념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서 먼저 탐색적 요인분석 방법 을 사용하였으며, 인자 구조의 단순화를 위하여 직교회전 방법 중 베리멕스 회전 을 이용하였다. 이를 통해 묶인 요인구조를 중심으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여 타 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연구에서는 연구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를 검토하여 본 연구의 특성에 맞게 추출된 측정항목들에 대하여 측정문항의 신뢰 도 및 타당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71) 양병화, 다변량 데이터 분석법에 대한 이해, 커뮤니케이션스북스, 2006, p.18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12-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