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디자인 평가 형태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0-54)

A. 디자인과 공간평가

1. 디자인 평가 형태

디자인 활동에 있어서 디자인 평가는 디자인 전 과정의 맥을 이어주는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요체이며, 평가기준은 디자인의 가치판단을 올바르게 수행할 수 있는 지침이 된다. 또한 평가방법의 개발과 평가기준의 설정은 디자인을 보다 효과적으 로 수행하기 위한 필수조건이 되었으며, 디자인이 프로세스로 이해되고 학제적인 접근방법으로 제기된 문제를 해결하는 현 시점에서 디자인평가의 필요성은 매우 절실하다42). 이러한 디자인 평가는 구조적인 체계에서 주관성과 객관성으로 분류 될 수 있으며, 이는 디자인의 개념에서 주관적이면서도 객관적인 디자인이라는 점 과 일맥상통한다. 이처럼 다차원적인 성향을 정성적·정량적 속성으로 말할 수 있 다. 그런데 디자인이 측정되지 못한다면 그 중요성은 저평가될 소지가 크고 이러 한 현상이 지속된다면 현대사회에서 디자인 가치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가 이루어 지질 않아 결과적으로 디자인 발전을 기대하기 어렵게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 다. 디자인평가(Design Evaluation)는 디자인이 가지고 있는 가치(價値)를 평가하 는 개념으로 디자인의 종류나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43)

42) 이재국, 디자인가치론, 청주대학교출판부, 1992, pp.102-103

43) 박규원, 디자인 조사, 가치측정에 관한 연구, 브랜드디자인 연구학회, Vol.7 No1, 2009, pp.105-106

디자인의 가치는 디자인에 있어서의 기술적ㆍ경제적ㆍ도덕적ㆍ사회적ㆍ미적인 것에 그 근거를 둔다. 그러나 디자인의 가치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존재하지 않으 며, 또한 관념적이거나 독립적으로 창출되는 것도 아니라 실용을 목적으로 한 구 체적인 실체에 내포된 독특한 설질이며 학제적인 접근방법에 의해 종합되는 것이 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디자인가치에 대한 디자인평가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간 의 행복추구를 위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디자인평가에 있어서 평가기준은 디 자인의 가치판단을 올바르게 수행하는 지침이 되며 디자인의 목적을 만족시켜주는 중요한 도구이다44). 디자인평가는 여러 대안의 렌더링이나 삼차원적 모형 등의 시 각적 시뮬레이션(Visual Simulation)만을 근거로 행해질 수 없으며, 디자인에 의 해서 생산되어진 제품이 소비자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반응을 나타내는 지를 예측할 수 있는 비시각적, 사회학적 모델로 받아들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그 어 느 때보다도 인간의 욕구와 사고패턴은 다원화되고 있어 평가의 복잡성을 더해주 고 있다45). 그러므로 이러한 복잡함을 풀기 위해 디자인평가는 객관적이고 합목적 인 방법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또한 디자인 평가방법과 평가기준의 설정은 보다 효율적인 수행이 되어야하며, 디자인 적용에 있어서는 실수를 최소한으로 줄임으 로써 디자인의 효용적 가치를 수렴할 수 있다.

디자인 평가에 대한 배경은 과거 전통적인 디자인 방법의 시대에 있어서 디자인 평가는 간단한 방법으로 이루어 졌으나 산업혁명 이후 후기산업사회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디자인은 점점 복잡해져서 장인적인 방법이나 그리기에 의한 방법으로는 문제를 적절히 해결할 수 없게 되었다. 즉 복합적인 요인들을 적절히 해결해야 하 는 국면에 도달하게 된 것이다46). 디자인평가의 시작은 산업사회로 접어들면서 디 자인 요소들에 대한 평가가 요구되었으며 효과적인 디자인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디자인 평가방법과 평가기준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사회·문화적 환경의 변화는 인간의 가치기준에 대한 변화를 가져왔으며 디자인 평가기준의 변화를 가

44) 이양병, 공공시설물 디자인 평가방법론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박사논문, p.39 45) 이건표, 디자인 방법론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원, 1997, p.116

46) J. Christopher Jones, Design Methods-seeds of human future, NY: John Willy & Sons, 1978, pp.28

져오게 되었다.

디자인평가에 있어서 평가의 기준은 시대에 따라 변화되고 발전되고 있다. 또한 디자인 과정의 일부로서 디자인의 특성과 프로세스에 따라서 평가의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 디자인 평가의 기준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디자인 평가기준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고대 희랍의 아리스토텔레스는 평가기준을 모든 물건은 실체로서 재료인 재료적인측면, 물질적인 실체에 의해 만들어지는 형 태적인 측면, 물건의 사용 능력인 능률적인 측면, 물건이 만들어지는 목적이나 목 표인 궁극적인 측면의 4가지 질을 포함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로마 건축가 비트 루비우스는 평가기준을 질서, 배열, 조화, 균형, 타당, 경제 등에 중점을 두고 세 가지 가치기준으로 영구성, 편리성, 심미성을 주장하였다47).

디자인 전문가 중에서 허버트 리드(Herbert Read)는 예술은 미적효과를 창조하 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산업에 있어서의 예술의 목적과 그 원리를 명확히 밝힌 다는 것은 대상물의 필수적인 질과 아름다움의 부수적인 질을 조화시키는 것이며 그 질은 재료, 작동방법, 물체의 기능, 심미성 등을 기준으로 고려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부르스 아처(Bruce Archer)는 실용성, 안전성, 유용성), 진기성, 심 미성을 들고 있다.48)

평가에 대한 연구는 특정 프로그램 혹은 특정 정책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연 구로서, 목표에 도달한 정도를 측정하여 의사를 결정하기 위하여 실시된다. 공공 디자인의 경우 평가방법의 연구를 통하여 사업의 진행과정을 분석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디자인 과정의 개선, 개발 등과 관련된 정책을 결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자인의 제 분야를 평가하므로 새로운 제도의 수립과 개선에 도움을 준 다.

디자인 평가방법은 관점이나 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디자인의 평가단계 에 따라 사전평가(Ante Evaluation), 과정평가(Process Evaluation), 사후평가 (Post Evaluation)로 분류된다.

평가자에 따른 평가방법에는 평가의 주체에 따라 자체평가(Self-Evaluation), 47) 이양병, ibd, pp.40-41 재인용

48) 유혜경, 기업내 디자인 평가 방법의 차이 분석, 이화여대, 석사, pp.36

내부평가(Inside-Evaluation), 외부평가(Outside-Evaluation)로 나눈다.

디자인평가의 유형에 따른 디자인 평가방법은 인식론적 접근에 따른 분류로 양 적연구(정량적 평가)와 질적연구(정성적 평가)로 비교할 수 있으며, 본 연구의 디 자인 평가 방법으로 적용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먼저 양적 연구는 실증주의에 입각한 다량의 객관적인 자료에 의존하므로 실증 주의적, 전통적, 관례적 연구라고 한다. 가설을 설정하여 이론적, 경험적 배경에 의하여 설정되며, 이러한 경험적 결과를 추론하기위하여 상황을 만든다. 이러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자료 수집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잠정적으로 서술도니 가설이 참인지, 거짓인지를 밝힌다. 반면 질적 연구는 연구절차, 연구방법, 자료수집 등 이 주관적이기 때문에 주관적 접근, 예술적 접근, 문화 기술적 접근이라고도 부른 다. 다양하기 때문에 연구 절차의 기본 틀이 없는 것이 특징이며 연구내용, 연구 대상, 연구시기에 따라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므로 연구자의 연구 능력이 우선 되어야 한다.

[표 3-1] 디자인 평가 이론과 방법

분류 양적연구 평가(정량적 평가) 질적연구 평가(정성적 평가)

이론

실재의 본질

·객관적 실재를 형성하는 인간의 특성과 본질이 존재한다고 가정

·복잡한 패러다임에 관계된 변인들에 대 한 연구 가능

·객관적 실재라고 일반화시킬 수 있는 인간의 속성과 본성은 없다고 가정.

·단편적 연구가 아닌 총체적인 연구 필 요성을 주장

연구목적 ·일반적 원리와 법칙 발견

·인과관계 혹은 상관관계 파악

·특정현상에 대한 이해

·특정현상에 대한 해석이나 의미의 차 이 이해

연구대상 ·대표성을 갖는 많은 수의 표본

·확률적 표집방법 주로 사용

·적은 수의 표본

·비확률적 표집 방법 주로 사용

연구대상과의 관계

·가치중립적 : 연구자와 연구대상의 관계 가 밀접하게 되면 연구 자료가 왜곡될 수 있어 거리 유지

·가치개입적 : 연구자와 연구대상은 서 로 밀접한 관계를 유지

방법

자료 수집 ·다양한 측정도구 사용

·구조화된 양적 자료 수집

·연구자가 중요한 연구도구

·비구조화된 질적 자료 수집

자료 분석 ·통계적 분석 : 기술통계, 추리통계방법

활용 ·내용분석 혹은 기술통계 분석

연구방법의 예

·설문지를 활용한 조사연구, 실험설계에 의한 실험연구, 점검표를 활용한 관찰연 구 등

관찰법, 면접법을 활용한 사례연구, 문 화기술적 연구 등

일반화 일반화 가능 연구자체가 독특하므로 일반화 시킬 수

없음.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