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가설의 검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27-141)

E. 실증 분석 대상의 평가 지표 분석

3. 연구가설의 검증

a. 전체 연구가설의 검증

①디자인평가요인과 만족도의 영향관계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기 전, 독립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분산팽창계 수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수에서 VIF 계수가 3을 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다중공 선성의 문제를 배제할 수 있었다.72)

공공공간 디자인 평가요소와 공원이용만족도의 영향관계에 대한 가설 검증 결과 를 살펴보면, 회귀식은 유의(F=64.179, Sig=.000)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기식의 결정계수인 R2=.629로 약 62.9%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수의 유의성 을 살펴보면, 독립변수인 공공공간 디자인 평가요인 중 경관성, 지역정체성, 커뮤 니티, 쾌적성은 공원이용만족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 72)2개 이상의 독립변수들 간의 강한 선형관계를 다중공선성이라 하며,심한 다중공선성은 회귀 분석 결과를 왜곡시킨다.일반적으로 분산팽창계수의 값이 10이상일 때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있 는 것으로 본다(김두섭,강남준,2000)

다. 회귀분석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디자인 평가 지표 요인인 경관성(β

=.122, p<.05), 지역성(β=.138, p<.001), 커뮤니티(β=.233, p<.001), 쾌적성(β

=.415, p<.001)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디자인 평가 지표 요인인 접근성(β=-.036, p=.358), 활용성(β=-.018, p=.645), 심미성(β=.067, p=.187), 기능성(β=.030, p=.465), 안전성(β=-.006, p=.901), 지속가능성(β=.019, p=.628)은 유의한 영향 을 주지 않았다. 이러한 영향은 사회적, 환경적 요소가 중요한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다. 공원이용 만족도 검증 결과는 [표 5-15]와 같다.

[표 5-15] 공원이용 만족도 검증결과

종속변수 변수 β값 t값 Durbin-Watson

만족도

상수 .083 .517

2.049 독립

변수

접근성 -.036 -.921

활용성 -.018 -.461

경관성 .122 2.491*

심미성 .067 1.323

기능성 .030 .732

안전성 -.006 -.125

지역정체성 .138 3.137**

커뮤니티 .233 5.418***

쾌적성 .415 9.095***

지속가능성 .019 .484

R2=.629

F=64.179***

2) *p<.05 **p<.01 ***p<.001

독립변수 중 쾌적성이 만족도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공원을 이용함에 있어 서 생활에서 느낄 수 없는 자연을 공원에서 접함으로써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 인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공원 이용에서 장소적 의미는 지역 공동체 등의 사 회적 활동에 대한 유대감을 갖는데 커뮤니티의 영향관계가 미친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것은 공원에 대한 적극적인 사용을 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와 함 께 지역정체성으로써 공원이 가지는 공간적 특성으로 지역에 대한 문화 보존과 활 용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설명할 수 있다.

②디자인평가요인과 추천의도의 영향관계

공공공간 디자인 평가요소와 추천의도의 영향관계에 대한 가설 검증 결과를 살 펴보면, 회기식은 유의(F=37.889, Sig=.000)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기식의 결정 계수인 R2=.500로 약 50.0%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수의 유의성을 살펴보면, 독립변수인 공공공간 디자인 평가요인 접근성, 경관 성, 커뮤니티, 쾌적성은 추천의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안전성도 유의적 영향을 주었으나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회귀분석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디자인 평가 지표 요인인 접근성(β

=.112, p<.05), 경관성(β=.230, p<.001), 안전성(β=-.125, p<.05), 커뮤니티(β

=.274, p<.001), 쾌적성(β=.355, p<.001)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디자인 평가 지 표 요인인 활용성(β=-.027, p=.545), 심미성(β=-.054, p=.358), 기능성(β

=.034, p=.478), 지역정체성(β=.030, p=.553), 지속가능성(β=.007, p=.876)은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추천의도의 결과는 인간행태적 요소의 접근성, 환경적 요소의 경관성과 쾌적성, 그리고 물리적 요소인 안전성, 사회적 요소의 커뮤니티 평가지표 대한 디자인 계획이 잘 갖추어져야만 추천의도가 발생 됨을 알 수 있다. 결과는 [표 5-16]과 같다.

[표 5-16] 공원이용 추천의도 검증결과

종속변수 변수 β값 t값 Durbin-Watson

만족도

상수 381 1.874

1.821 독립

변수

접근성 .112 2.468*

활용성 -.027 -.606

경관성 .230 4.057***

심미성 -.054 -.920

기능성 .034 .711

안전성 -.125 -2.388*

지역정체성 .030 .594

커뮤니티 .274 5.483***

쾌적성 .355 6.708***

지속가능성 .007 .157

R2=.500 F=37.889***

2) *p<.05 **p<.01 ***p<.001

공원의 재방문에 대한 의사와 추천의도는 쾌적성에서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원에 대한 방문은 만족도에서와 같이 도시의 발달로 인한 사회적 기반시설이 고층화, 밀집화된 건축물 증가로 인해서 공원의 생태적, 환경적 요소 의 필요성의 요구로 볼 수 있다. 또한 사회적 요소인 커뮤니티 요인으로써 도시의 개인주의는 공동체 커뮤니티에 대한 요구를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장소적 제공은 개인적 삶의 영위에 대한 반향적 관심에서 공동체적인 친목 과 유대관계를 유지하려는 이용자들의 행태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자연적 경관 성에 대한 추천의도는 만족도와 함께 공통적 요인으로 해석될 수 있는데, 공원의 경관성은 도시민들에 있어서 여가적 요건의 역할과 같은 의미로 설명할 수 있다.

접근성에 대한 추천의도의 영향은 공원 이용의 교통에 대한 편리성으로 대중교통 과 함께 자가 운전자의 방문이 용이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안정성에 대한 유의적 영향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이는 물리적 요소의 하나로 안전에

있어서 공원의 특성상 외부에 노출된 공간으로 불안이나 경각심의 한 형태인 오픈 된 공간에 대한 안전의식이 디자인에 반영되지 않아 추천의도의 영향관계에 미친 것으로 해석 될 수 있다.

b. 각 공원별 연구가설의 검증

① S1 공원

•디자인평가요인과 만족도의 영향관계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기 전, 독립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분산팽창계 수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수에서 VIF 계수가 3을 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다중공 선성의 문제를 배제할 수 있었다.73)

공공공간 디자인 평가요소와 S1공원이용만족도의 영향관계에 대한 가설 검증 결 과를 살펴보면, 회기식은 유의(F=15.071, Sig=.000)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기식 의 결정계수인 R2=.571로 약 57.1%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수의 유 의성을 살펴보면, 독립변수인 공공공간 디자인 평가요인 중 쾌적성, 지속가능성은 S1 공원이용만족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회귀분석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디자인 평가 지표요인인 지속가능성(β=.015, p<.01), 쾌적성(β=.445, p<.001)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디자인 평가 지표 요인인 접근성(β=-.604, p=.441), 활용성(β=-.042, p=.586), 경관성(β=.157, p=.074), 심미성(β=.022, p=.801), 기능성(β=.125, p=.077), 안전성(β=.012, p=.903), 지역정체성(β=.056, p=.534), 커뮤니티(β=.288, p=.840)은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결과는 [표 5-17]과 같다.

73)2개 이상의 독립변수들 간의 강한 선형관계를 다중공선성이라 하며,심한 다중공선성은 회귀 분석 결과를 왜곡시킨다.일반적으로 분산팽창계수의 값이 10이상일 때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있 는 것으로 본다(김두섭,강남준,2000)

[표 5-17] S1공원 이용 만족도 검증결과

종속변수 변수 β값 t값 Durbin-Watson

만족도

상수 -.086 -.246

1.967 독립

변수

접근성 -.064 -.773

활용성 -.042 -.547

경관성 .157 1.806

심미성 .022 .253

기능성 .125 1.785

안전성 .012 .122

지역정체성 .056 .624

커뮤니티 .288 3.027

쾌적성 .445 5.800**

지속가능성 .015 .202***

R2=.571 F=15.071***

2) *p<.05 **p<.01 ***p<.001

이 공원은 쾌적성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S지구를 중심을 가로지르는 하천의 생태적 친수공간이 인공적으로 계획된 S1공원의과 조화 를 이루며 남북으로 흐르는 다른 공공공간인 천변의 체육공원과 함께 친수공간으 로 조성된 환경이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리고 이 공원은 국제경 기 규모의 인라인 경기장과 호수공원과 연계한 다양한 이벤트 활동공간이 조성되 어 있으며, 공원의 짧은 역사에도 대형 상업시설과의 연계성이 높은 곳으로써 시 설물에 대한 사용과 관리에 대해 지속적인 유지가 이루어짐을 알 수가 있었으며, 이러한 환경이 지속가능성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나타낸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디자인평가요인과 추천의도의 영향관계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기 전, 독립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분산팽창계

수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수에서 VIF 계수가 3을 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다중공 선성의 문제를 배제할 수 있었다.74) 결과는 [표 5-18]과 같다.

[표 5-18] S1공원이용 추천의도 검증결과

종속변수 변수 β값 t값 Durbin-Watson

만족도

상수 .312 .606

2.096 독립

변수

접근성 .134 1.436

활용성 -.219 -2.538*

경관성 .224 2.297*

심미성 .155 1.610

기능성 .019 .242

안전성 -.162 -1.527

지역정체성 -.142 -1.414

커뮤니티 .439 4.119***

쾌적성 .330 3.836***

지속가능성 -.052 -.647

R2=.461 F=9.650***

2) *p<.05 **p<.01 ***p<.001

공공공간 디자인 평가요소와 Sl 공원이용 추천의도 영향관계에 대한 가설 검증 결과를 살펴보면, 회기식은 유의(F=9.650, Sig=.000)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기식 의 결정계수인 R2=.461 약 46.1%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수의 유의 성을 살펴보면, 독립변수인 공공 공간 디자인 평가요인 접근성, 활용성, 경관성, 심미성, 기능성, 안전성, 지역정체성, 커뮤니티, 쾌적성, 지속가능성 중 활용성, 경관성, 커뮤니티, 쾌적성은 공원이용만족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활용성도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정(-)으로 나타

74)2개 이상의 독립변수들 간의 강한 선형관계를 다중공선성이라 하며,심한 다중공선성은 회귀 분석 결과를 왜곡시킨다.일반적으로 분산팽창계수의 값이 10이상일 때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있 는 것으로 본다(김두섭,강남준,2000)

났다. 회귀분석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디자인 평가 지표 요인인 활용성(β

=-.219, p<.05), 경관성(β=.224, p<.05), 커뮤니티(β=.439, p<.001), 쾌적성(β

=.330, p<.001)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디자인평가 하위요인인 접근성(β=.134, p=.154), 심미성(β=.155, p=.110), 기능성(β=.019, p=.809), 안전성(β=-.162, p=.130), 지역정체성(β=-.142, p=.160), 지속가능성(β=-.052, p=.519)은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 공원은 다른 공원과의 연계성에 있어서 다른 공원들에 비해 하천과 함께 다 른 공공공간과 연계될 수 있는 지형적 독특함과 자연환경이 경관성과 쾌적성이 추 천의도의 영향을 미쳤음을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공간의 연계성은 다른 공 공공간뿐만 아니라 바로 인접한 상업공간과의 연결성은 상설공연과 이벤트가 공원 이용자에게 재방문과 추천할 수 있는 커뮤니티의 요인으로 설명될 수 있다. 활용 성에 대한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의 영향을 미치지 못한 이유는 공 원을 이용함에 있어서 이 공원의 고유 특성인 상설 공연장으로 인하여 공원을 이 용하는 부분에 있어서 휴식성의 본질의 성향에 중점을 둔 결과로 (-)의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공원은 활용성, 경관성, 커뮤니티, 쾌적성이 높을수록 추천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S2 공원

•디자인평가요인과 만족도의 영향관계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기 전, 독립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분산팽창계 수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수에서 VIF 계수가 3을 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다중공 선성의 문제를 배제할 수 있었다.75)

공공공간 디자인 평가요소와 S2공원이용만족도의 영향관계에 대한 가설 검증 결

75)2개 이상의 독립변수들 간의 강한 선형관계를 다중공선성이라 하며,심한 다중공선성은 회귀 분석 결과를 왜곡시킨다.일반적으로 분산팽창계수의 값이 10이상일 때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있 는 것으로 본다(김두섭,강남준,2000)

과를 살펴보면, 회기식은 유의(F=30.064, Sig=.000)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기식 의 결정계수인 R2=.706로 약 70.6%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수의 유 의성을 살펴보면, 독립변수인 공공공간 디자인 평가요인 중 심미성, 지역성, 커뮤 니티, 쾌적성은 공원이용만족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 다. 회귀분석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디자인 평가 지표 요인인 심미성(β

=.220, p<.05), 지역정체성(β=.214, p<.01), 커뮤니티(β=.293, p<.001), 쾌적성 (β=.354, p<.001)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디자인평가 하위요인인 접근성(β=.007, p=.915), 활용성(β=.078, p=.245), 경관성(β=.018, p=.857), 기능성(β=-.050, p=.484), 안전성(β=-.033, p=.973), 지속가능성(β=-.158, p=.052)은 유의한 영 향을 주지 않았다. 결과는 [표 5-19]와 같다.

[표 5-19] S2공원 이용 만족도 검증결과

종속변수 변수 β값 t값 Durbin-Watson

만족도

상수 .312 1.255

2.106 독립

변수

접근성 .007 .107

활용성 .078 1.169

경관성 .018 .181

심미성 .220 2.132*

기능성 -.050 -.701

안전성 -.002 -.033

지역정체성 .214 2.699**

커뮤니티 .293 4.111***

쾌적성 .354 3.891***

지속가능성 -.158 -1.960

R2=.706 F=30.064***

2) *p<.05 **p<.01 ***p<.001

이 공원의 시설물과 공간적 조성과 배치는 호수를 중심으로 조경과 호수를 중심 으로 체육시설과 공연장이 함께 운영되고 있었으며 이러한 환경이 심미성과 쾌적

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는 것으로 설명 할 수 있다. 또한 인공 조경과 잔 디 광장, 호수 그리고 체육활동을 위한 시설은 이용자들과 지역민들이 서로 유대 할 수 있는 공동체를 만들어 활동함으로써 장소적 활동 공간을 제공하여 커뮤니티 에 대한 요인을 설명할 수 있다. 이 공원의 특성으로 이 지역의 마을에서 유래된 당산제 등의 지역적 단합을 형성하는 이벤트가 해마다 열려 공원의 정체성에 대한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있으며 이는 지역정체성에 대한 요인의 만족도가 높은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 공원은 심미성, 지역정체성, 커뮤니티, 쾌적성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아지 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자인평가요인과 추천의도의 영향관계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기 전, 독립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분산팽창계 수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수에서 VIF 계수가 3을 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다중공 선성의 문제를 배제할 수 있었다.76)

공공공간 디자인 평가요소와 S2공원이용 추천의도 영향관계에 대한 가설 검증 결 과를 살펴보면, 회기식은 유의(F=20.061, Sig=.000)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기식 의 결정계수인 R2=.616 약 61.6%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수의 유의 성을 살펴보면, 독립변수인 공공 공간 디자인 평가요인 중 활용성, 커뮤니티, 쾌 적성은 공원이용만족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회귀 분석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디자인 평가 지표 요인인 활용성(β=.168, p<.05), 커뮤니티(β=.275, p<.001), 쾌적성(β=.352, p<.001)으로 나타났다. 그 러나 디자인 평가 지표 요인인 접근성(β=.109, p=.149), 경관성(β=.193, p=.095), 심미성(β=-.120, p=.312), 기능성(β=-.016, p=.845), 안전성(β

=-.079, p=.351), 지역성(β=.090, p=.321), 지속가능성(β=-.046, p=.618)은 유 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결과는 [표 5-20]과 같다.

76)2개 이상의 독립변수들 간의 강한 선형관계를 다중공선성이라 하며,심한 다중공선성은 회귀 분석 결과를 왜곡시킨다.일반적으로 분산팽창계수의 값이 10이상일 때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있 는 것으로 본다(김두섭,강남준,2000)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27-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