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의 질문지 응답에 대한 자료 처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처리 하였다.

첫째, 우송 및 친분관계가 있는 교사에게 의뢰한 총 500부 중에서 481부 (96.2% )을 회수하여 미완성되고 불성실한 반응을 한 21부를 제외한 460부 (92% )를 본 연구의 자료로 활용하였다.

둘째. 질문지의 각 문항은 Likert의 5단계 평정 척도를 사용하여 “매우 그렇다”5점, “비교적 그렇다”4점, “보통이다”3점,“별로 그렇지 않 다”2점,“전혀 그렇지 않다”1점으로 각각 배점하여 처리하였다. 스트레 스 측정은 스트레스를 받는 정도에 따라 “아주 크게 받는다”5점, “제 법 크게 받는다”4점, “그저 그렇다”3점, “거의 받지 않는다”2점,

“전혀 받지 않는다”1점으로 각각 배점하여 처리하였다.

셋째, 교사의 전문직관 수준과 스트레스의 정도의 전체적인 경향을 알아 보기 위하여 먼저 두 변인별로 평균(M )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다. 그 리고 교사의 전문직관 수준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 하여 먼저 전문직관수준을 상위점수 30%와 하위점수 30%만 택하여 이 범위 속에 포함되고 있는 교사의 스트레스 평균점을 산출하여 상・하 집 단간의 스트레스 평균점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각 변인별로 교사의 배경 변인간의 차이를 밝히기 위하여 변인간과 평균점수간의 차이를 t검증과 F 검증하였다. 차의 유의도는 5%, 1%, 수준에서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넷째, 본 연구에 필요한 자료의 통계처리는 국민대학교 전자 계산소에

서 SPSS/ P C 통계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다섯째, 분석전 자료의 해석은 < 표- 5> 와 같은 기준에 따른다.

< 표 - 5 > 자 료 처 리 의 해 석 기 준

해석기준

평균점수 전문성 스트레스

4.20~5.00 교직이 매우 전문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스트레스를 매우 크게 받고 있다.

3.40~4.19 교직이 대체로 전문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편이다

스트레스를 조금 받는 편이다.

2.60~3.39 그저 그렇게 인식하고 있다. 그저 그렇다고 생각한다.

1.80~2.59 교직을 전문직으로 인식하지 않고 있는 편이다.

스트레스를 거의 받지 않는 편이다.

1.00~1.79 교직을 전혀 전문직으로 인식하지 않고 있다.

스트레스를 전혀 받지 않는 편이다.

Ⅳ . 결 과 및 해 석

교사의 전문직관 인식 수준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얻어진 결과 및 해석은 다음과 같다.

A . 교 사 의 전 문 직 관 인 식 수 준

1. 교 사 의 전 문 직 에 대 한 인 식 정 도

교사들이 교직을 어느 정도로 전문직으로 인식하고 있는지를 교사 개인 변인 및 학교변인별로 알아본 결과는 < 표- 6> 과 같다.

< 표 - 6 > 교 사 의 전 문 직 관 에 대 한 배 경 변 인 인 식 차

N M S D t P

직 위 교 사 352 3.28 .99

- 1.605 .108

부장교사 108 3.32 1.05

경 력 고경력 244 3.32 1.04

2.601 .009**

저경력 216 3.26 .96

성 별 남 130 3.26 1.09

- 1.292 .196

여 330 3.30 .97

학교규모 대규모 380 3.62 .47

- 2.101 .036 *

소규모 80 3.74 .52

전 체 460 3.64 .48

** p< .01 * p< .05

교사의 전문직관에 대한 인식수준은 < 표- 6>에서와 같이 전체 M =3.64으 로 상당히 높은 편이었다. 이를 배경변인별로 비교해 보면 직위별로는 부 장교사(M =3.32)가 교사(M =3.32)보다 높게 반응하였으나 이들 두 평균간에 는 유의한 차가 없었다. 경력별로는 15년 이상(M =3.32)이 15년 이하 (M =3.26)보다 높았으며 이들 두 평균간에는 유의한 차가 있었다.( P < .001) 성별로는 여교사(M =3.30)가 남교사(M =3.26)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이들 두 평균간에는 유의한 차가 없었다. 학교규모별로는 24학급 이하(M =3.74)학교 가 24학급 이상(M =3.62)학급보다 높았으며 이들 두 평균간에는 유의한 차 가 있었다.( P < .05)

이러한 결과에서 교사들은 일반적으로 교직을 전문직으로 인식하고 있는 편임을 알 수 있다. 특히 경력이 15년 정도된 교사들이 그 보다 낮은 교사 보다 더 그렇게 보고 있다. 그러나 직위나 성의 차이에 따라 교직관 인식 에 차이가 있는 것 같지는 않다. 그리고 24학급 미만의 작은 학교 교사들 이 큰 학교 교사들보다 교직이 전문직임을 더 자부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 된다.

이 연구의 결과에서 교사들은 일반적으로 교직을 전문직으로 자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B . 교 사 의 직 무 스 트 레 스 수 준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이 학교의 여러 활동에서 직무스트레스를 어느 정도 받는지를 알아본 결과는 < 표- 7> 과 같다.

< 표 - 7 > 초 등 학 교 교 사 들 의 영 역 별 직 무 스 트 레 스 수 준 (N =4 6 0 )

구분

영역별 M SD

학습지도 3.56 .93

생활지도 3.40 1.01

인간관계 3.55 1.06

근무조건 3.64 .97

수행업무 4.06 .92

전체 3.64 .48

교사들이 학교생활에서 받는 직무 스트레스 수준은 < 표- 7>에서와 같이 전체적으로 볼 때 M =3.64로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하위 영역 별로 살펴보면 수행업무(M =4.06)에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근무조건 (M =3.64), 학습지도(M =3.56), 인간관계(M =3.55), 생활지도(M =3.40)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서 초등학교 교사들은 학교생활 전반에서 일반적으로 적지 않게 스트레스를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정도는 업무수행에서 가장 크 게 스트레스를 받는 편이며 생활지도에서는 다른 영역에 비해 비교적 스트 레스를 덜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에서 교사들이 교사의 본 업보다 그 이외의 보조업무나 잡무에 가까운 업무를 수행하는데서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음을 알 수 있다. 그 다음이 열악한 근무조건이 적지 않게 스트레스를 받게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사의 스트레스 수준을 다시 교사의 배경 변인별로 비교하면 < 표- 8>

과 같다.

< 표 - 8 > 교 사 의 스 트 레 스 에 대 한 배 경 변 인 인 식 차

이러한 결과에서 교사들은 학교생활 전반에서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스 트레스를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소규모학급에 근무하는 교사 들은 대규모 학급의 교사보다 높은 스트레스를 인식하고 있다. 이는 교사 의 본업무인 학습지도 보다는 폭주하는 업무로 인하여 받는 부담이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직위, 경력, 성에 따라서는 스트레스 인식 정도에 큰 차이는 없었다. 이 연구의 결과에서 교사들은 일반적으로 스트레스에 대한 인식 정도가 높은데 특히 소규모학교에서는 더욱 심한 스 트레스를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C . 교 사 의 전 문 직 관 인 식 수 준 과 직 무 스 트 레 스 와 의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