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교사의 전문직관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

사회가 다르고 시대가 변함에 따라서 교육관, 교직관에 변화가 생기고 따라서 기대되는 교사상도 변하기 마련이다. 이는 새삼스러운 사실이 아 니다. 양반층이나 일부 한정된 엘리트들을 위한 교육이 대중교육으로 탈 바꿈한 점을 보아도 알 수 있고, 비교육적 견지에서 서로 정치이념과 교

육이념을 달리하는 사회를 비교하여 보아도 손쉽게 알 수 있는 일이다.29 ) 교직에 대한 만족도와 관련하여 교사로서 그 직무에 어느 정도 만족감 을 느끼고 있는가를 물어본 설문에 의하면30 ) 일본과 미국의 고등학교 교 사들은 우리 나라 고등학교 교사들보다 훨씬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다.

초・중학교에 있어서도 한국의 교사들은 일본의 교사들에 비해 매우 낮은 만족도를 보고하고 있다.

한국 교사들의 교직 만족도가 저조한 원인으로는 교사의 사회・ 경제적 지위가 낮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그에 못지 않게 중요한 것으로 열악한 근무 조건을 빼놓을 수 없다. 또 교사들은 학교에서 행사할 수 있는 영향 력이 매우 적다고 생각하고 있다. 또한 낙후된 교육 시설이나 환경은 교 사들이 전문성을 발휘하고 신장시켜갈 기회를 박탈하고 있다. 과다한 학 생 수나 시설 장비의 부족, 쏟아지는 공문 처리 등으로 인해 다른 수업 방법을 모색할 여지가 별로 없기 때문에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발휘함으로 서 성취감을 맛보고 능력을 개발해 갈 기회가 없다는 것도 교직 불만족의 중요한 원인이 될 수 있다.

단축된 정년, 명퇴금을 받을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인 5월을 앞두고 많은 교사들은 흔들리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사들은 경제적으로 손해를 보더라도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에 계속 전념하겠다고 한다. 그것은 교사 들의 신념체계, 교직관이 스트레스 평가에 매우 중요하며 긍정적인 교직 가치관을 지니고 있는 교사가 역할 수행에 있어서도 적극적으로 수행한 다. 는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스트레스는 교직을 바라보는 신념, 가

29) 김종철 외, 최 신 교 사 론 (서울 : 교육과학사. 1995), p.31.

30) 한국・미국・일본의 교사 문화 비교 연구, 교 육 월 보 (1995, 5월), p.53.

치라 할 수 있는 교직관의 문제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짐작할 수 있 다.3 1)

교사와 관련된 많은 연구들이 교직을 바라보는 관점이라 할 수 있는 교 사의 올바른 교직관을 강조하고 있다.

31) 강현숙, 전게문. p.15.

Ⅲ . 연 구 의 방 법

교사들의 전문직관을 분석하고 교사의 전문직관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 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한 도구와 자료 수집 대상, 자료의 처리방법은 다음과 같다.

A . 대 상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대상은 경기도 교육청 관내 500명의 교원으로 하였다. 표집방법은 경기도 초등학교에서 총 30 개교를 무선 표집하여 각 학교에서 부장교사 120명, 교사 380명에게 질문지를 발송하여 481명으로 부터 응답을 받았다.(회수율 96.2% )

질문지의 배부, 회수, 처리 내용은 < 표- 1> 과 같으며 조사 대상 변인별 사례수와 비율은 < 표- 2>와 같다.

< 표 - 1 > 조 사 대 상 및 회 수 현 황

구분 배부수 회수수 회수율

(% )

학교수 30개교 30 100.0

부장교사 120 112 93.0

교사 380 369 97.1

전체 500 481 96.2

< 표 - 2 > 조 사 대 상 변 인 별 사 례 수 현 황

변인별 구분 사례수(N ) 비율(%)

전체 460 100

개인

성별

남 130 28.3

여 330 71.7

직위별

부장교사 108 23.5

교사 352 76.5

경력

15년 이상 244 53.0 15년 이하 216 47.0

학교 규모별

24학급 이상 360 78.3

24학급 미만 80 21.7

B . 측 정 도 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는 교사의 전문직관 인식 수준과 직무스트레 스와의 관계를 알아볼 수 있도록 이종승의 질문지 작성법과 선행 연구 및 문헌 연구를 토대로 연구자가 자작하였다.

본 질문지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재학하 고 있는 원생들에게 예비검사를 실시하여 문항을 수정・보완하고 지도 교

수의 지도를 받아 안면 타당도를 높였다.

교사의 전문직관을 측정하기 위한 질문지의 내용은 A . F lexner , M . Liebm an , 강영삼, 정범모, 안창선 등이 지적하고 있는 고전적 전문직의 특 성인 고도의 전문지식, 장기간의 교육훈련, 자격증 소지, 자율적 활동, 봉 사직, 윤리강령, 경제적・사회적 지위, 전문직 단체 형성을 중심으로 16문 항을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아 연구자가 자작하였다.

직무스트레스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질문지의 내용은 학교생활에서 교사가 대부분의 시간을 할애하고 있는 주요 활동인 ‘학습지도’‘생활 지도’‘인간관계’‘근무조건’‘업무’를 중심으로 < 표- 3> 과 같이 22 문항으로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아 연구자가 자작하였다.

교사의 전문직관 인식 수준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에 대한 반응은 라이커트(Likert )의 5단계 평정 척도로 문항의 내용에 따라 “매우 그렇 다”, “비교적 그렇다”, “보통이다”,“별로 그렇지 않다”,“전혀 그렇 지 않다”등으로 반응하도록 하였다. 스트레스 측정은 스트레스를 받는 정도에 따라 “아주 크게 받는다”, “제법 크게 받는다”, “그저 그렇 다”, “거의 받지 않는다”,“전혀 받지 않는다”에 응답하게 하였다.

〈 표 - 3〉 교 사 의 전 문 직 관 측 정 영 역 별 질 문 지 구 성 내 용

〈 표 - 4〉 교 사 의 직 무 스 트 레 스 영 역 별 질 문 지 구 성 내 용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