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자료분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1-76)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0과 AMOS 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 문제별로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첫째, 보호관찰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 정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를 실 시하였고 K-YSR 척도별로 평균, 표준편차, 순위를 산출하였다.

둘째, 보호관찰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 임상유형을 살펴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를 실시하고 K-YSR척도별로 정상, 준임상, 임상의 빈도, 비율, 순위를 산출하였다.

셋째, 보호관찰청소년의 임상유형에 따라 가족건강성, 학교적응성, 자아탄력성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K-YSR 척도별로

F-

검증을 실시하였다.

넷째, 보호관찰청소년의 가족건강성, 학교적응성,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정서행동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ML(Maximum likelihood) 추 정방법을 실시하였다.

➀ 구조방정식모형에 <표 Ⅲ-6>과 같은 변인이 포함되었다.

② <표 Ⅲ-6>에 제시된 변인들을 근거로 아래 [ 그림 Ⅲ-1]과 같은 가설적 연 구 모형을 설정하였다.

③ 본 연구에서 측정된 자료들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에 적합한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측정변인들의 기술통계치를 <표 Ⅲ-7>과 같이 산출하였다. 그 결과는 아 래 <표 Ⅲ-7>에 제시된 바와 같다. 구조방정식모형에서 사용되는 측정치들은 다변 량정규성(multivariate normality)을 만족해야 한다는 기본 가정을 가지고 있다. 이는

적합도 지수인

의 해석과 모수 추정방정식의 선정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중요 하게 이루어진다. 우선 적합도 지수인

를 유의하게 해석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의 다변량 정규성이 가정되어야 한다. 다변량정 규분포성은 각 측정변인의 왜도 (skewness)와 첨도(Kurtosis)의 절대값을 확인하여 정규분포의 가정을 충족하는 지 확인한다. 왜도의 정규분포성의 값이 0이다. 분포선이 좌로 기울어지면 0보다 큰 값이 우로 기울어지면 0보다 작은 값을 가진다. 첨도의 값은 0이며 분포선이 뾰족한지 평평한지를 알아보는 것으로 뾰족하면 0보다 큰 값을 가지고 평평하면 0보다 작은 값을 가진다. 다변량 정규분포성을 검토할 때 왜도와 첨도의 절대값 의 크기로 평가하며, 왜도는 절대값 3을 초과하면 극단적이라고 보며, 첨도는 7또 는 10을 초과하면 극단적이라고 본다(Kline, 2005). <표 Ⅲ-7>에 제시된 바와 같 이 개별측정변인의 왜도와 첨도 각각 절대값 왜도 3, 첨도 7을 초과하지 않으며 따라서 구조방정식모형에 투입되는 개별 측정변인의 정상성이 충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 투입되는 데이터는 구조방정식모형 ML추정의 기본 가 정인 다변량 정상성의 필요조건을 충족시키고 있음을 확인해 주고 있다.

④ 보호관찰청소년의 가족건강성, 학교적응성, 자아탄력성, 정서행동문제 간에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⑤측정변인들의 잠재변인을 잘 측정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측정모형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⑥ 보호관찰청소년의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성을 외생변인, 자아탄력성을 매개 변인, 정서행동문제를 종속변인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설정한 후, 설정된 연구 모형이 실제 경험적 자료와 잘 부합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⑦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조경로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경로 추정치

(estimate)

를 산출하였고, 표준화계수(

)와

임계비(

C.R

)을 제시하였다.

⑧ 보호관찰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기여도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가족건강성, 학교적응성, 자아탄력성, 정서행동문제 간의 관계에 대한 직접효과, 간접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경로를 살펴보았다.

<표 Ⅲ-6> 구조방정식모형에 포함된 변인관계

외생변인/내생변인 잠재변인 측정변인

외생변인

(독립변인)

가족건강성

유대감 의사소통

문제해결 수행능력 가치체계공유

학교적응성

환경적응 교사적응 수업적응 친구적응 생활적응

내생변인(종속변인)

자아탄력성

대인관계 활력성 감정통제 호기심 낙관성

정서행동문제

불안/우울 위축/우울 신체증상 규칙위반 공격행동 사회적미성숙 사고문제 주의집중문제 기타문제

가치체계 공유 문제해결 수행능력 의사소통

유대감

가족 건강성

생활적응

친구적응

수업적응

교사적응

학교 적응성

환경적응

대인관계

활력성

감정통제

호기심

낙관성

불안우울

위축우울

신체증상

규칙위반

공격행동 사회적 미성숙 사고문제 주의집중

문제 기타문제 정서행동

문제 자아 탄력성

[그림 Ⅲ-1] 가설적 연구모형

<표 Ⅲ-7> 측정변인들의 기술 통계치 잠재

변인 측정변인 N 최소 최대 M SD 왜도 첨도

가족 건강성

유대감 307 10 40 26.29 6.99 -0.38 -0.20 의사소통 307 9 36 23.05 5.83 -0.28 -0.11 문제해결수행능력 307 6 24 15.61 3.83 -0.28 -0.03 가치체계공유 307 8 36 22.63 5.84 -0.39 0.06

학교 적응성

환경적응 307 10 40 24.67 6.95 -0.05 -0.31

교사적응 307 4 40 26.36 7.58 -0.09 0.02

수업적응 307 7 32 18.74 5.93 -0.50 -0.46

친구적응 307 7 28 18.88 4.79 -0.10 0.33

생활적응 307 6 24 15.27 4.22 -0.40 -0.19

자아 탄력성

대인관계 307 3 15 11.23 2.35 0.20 0.69

활력성 307 2 10 7.03 1.77 -0.07 -0.25

감정통제 307 2 10 6.21 1.72 -0.20 -0.06

호기심 307 5 25 17.44 4.01 -0.07 -0.12

낙관성 307 2 10 6.70 1.77 -0.20 -0.04

정서 행동 문제

불안/우울 307 50 97 55.23 7.62 0.22 0.00 위축/우울 307 50 85 56.10 7.20 1.28 1.50

신체증상 307 50 92 56.45 8.92 1.60 2.55

규칙위반 307 50 90 65.39 10.13 0.09 -0.73

공격행동 307 50 90 56.73 8.82 1.48 1.92

사회적미성숙 307 50 100 59.92 9.14 1.30 2.19

사고문제 307 50 89 55.59 9.13 0.78 0.11

주의집중 307 50 100 55.59 7.81 0.14 0.76

기타문제 307 50 91 59.61 8.53 0.85 0.69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