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읽기 과정 모델

문서에서 효과적인 읽기 지도 연구 (페이지 13-17)

2. 이론적 배경

2.2 읽기 과정 모델

영어 읽기의 효과적인 학습 방법을 제시하기 이해서 읽기의 이론적인 모형을 살펴보고자 한다.

1) 상향식 과정 모델 (bottom-up process model)

독서자료를 읽을 때 철자, 단어, 구, 문장, 단락의 순서로 해독(decoding) 한 후에 전체 글을 이해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을 귀납과정, 자료 지향 과정, 하위 단계 과정, 직선형 과정, 해독과정, 수동과정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따라서 상향처리 과정에서는 독해를 먼저 할 때 먼저 철자, 기호 등을 익히도록 하고 단어나 관용구를 설명하고 문장단위의 의미를 이해 시키는 과정의 순서로 독해를 지도하는 일이다.

이러한 독해 방법은 정독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저학년의 수준에서 교 사들이 사용하는 모형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향처리 과 정모형에서는 기본어휘의 개념이나 문자의 본 구조를 이해시키는데 도움 을 줄 수 있는 반면에 상급단계의 학습자에게는 빠른 시간 내에 많은 정 보의 양을 독해시킬 수 없다. 이러한 단점을 하향처리 과정모형 (top-down processing model)에서 보완해 준다.

2) 하향식 과정 모델 (top-down process model)

하향식 과정 모델은 문장과 문맥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와 독자가 갖 고 있는 선험적 지식을 활용하여 텍스트가 다루고 있는 주제에 대한 가 설을 세우고 그것을 확인해 가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독자는 글이 무엇 을 말하고자 하는지를 먼저 제목이나 글의 전체적인 구조를 통해 살펴보 고 자신의 사전적 지식을 사용하여 문장의 내용을 예측해 보면서 텍스트 의 세부적인 의미를 확인해 나가는 방법이다.

Coady(1979)의 EFL/ESL 독서 모형에서는 학습자의 선행지식과 개념 능력, 과정전략의 삼자가 서로 작용하여 이해력을 산출해낸다는 도식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개념능력 선행지식

(conceptual abilities) (background knowledge)

과정전략 (process strategies)

〈 그림 1 〉읽기의 세 가지 구성요소

2)

2) Coady, James. 1979. A Psycholinguistic Model of ESL Reader. Reading in a Second Language. Mass: Newbury Howe Publishing, Inc. p.7 재인용

개념능력이란 학습자의 지적능력을 의미하며 독서습득에서 중요하다.

선행지식은 서양문화에 관한 사전지식을 가진 EFL/ESL학습자가 일반 적으로 서양문화에 대한 선행지식이 없는 학습자보다 더 빨리 영어를 배 우게 된다는 독서과정에서의 중요한 변인이다. Coady는 선행지식에 관 해서 보다는 과정전략에 관해서 더 많이 강조를 한다. 과정전략이란 독 서능력의 여러 가지 부차적인 요소를 의미한다. 문자소와 형태음소의 상 호일치(grapheme-morphophoneme correspondences), 단어의 의미와 문 맥의 의미(lexical meaning and contextual meaning), 통사적 정보 (syntactic information) 등이 이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학습자는 문자소 나 형태음소와 같은 구체적인 과정 전략으로부터 통사정보나 의미정보와 같은 추상적 과정전략으로 이동해가면서 독서의 기술을 습득하게 된다.

이 모델은 학습자가 독해 자료를 접할 때에 학습자가 가진 인지 구조 내의 선행지식을 활용하여 의미파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일이다. 따라 서 인지구조 내에 주어진 독해 자료를 이해할 만한 선행지식이 결여되어 있을 때에는 텍스트를 이해할 수 없게 된다. 이 때에는 학습자에게 이해 를 돕기위한 사전 활동이 있어야 한다. 예를 들면 문화 내용 지도, 그림 이나 도표를 제시, 내용에 대한 사전 질의 응답식의 토의 과정 등이 거 기에 해당될 것이다.

3) 상호 작용 모델 (interactive model)

읽기 과정은 상향식 과정 모델이나 하향식 과정 모델의 어느 한쪽 과 정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독자와 문단 사이에서 일어나는 상호 작용의 활동으로 보아야 한다는 이론이다. 즉 바람직한 읽기 과정은 독 자의 능력에 따라서 철자나 단어, 구, 문장을 해독하려는 상향처리 과정 과 독자의 선행 지식, 주제, 추론, 세계관 등으로 이해하는 하향처리 과 정이 상호 보완적으로 교차될 수 있게 한다는 이론이다. 이 모형에 대해 Weber(1984)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상호작용모형은 글과 독자, 문자 해독과 스키마의 상호작용 과정을 중 시한다.

The interactive models, attempting to be more comprehensive, rigorous and coherent, give emphasis to the interrelations between the graphic display in the text, various levels of linguistic knowledge and processes, and various cognitive activities (Weber 1984:113).

상호작용 읽기 모형은 하향식 읽기 모형의 후퇴와 더불어 거의 독점적 으로 스키마 이론이라고 불리지만, 스키마 이론은 읽기뿐 아니라 듣기에 도 적용되는 이론이다. 스키마 이론에 의하면 읽기는 글과 선험지식간의 상호작용이며, 효과적인 읽기는 글에 담긴 정보를 독자가 자신의 지식체

계와 어떻게 연결하고 활성화하느냐에 달려 있다. 읽기는 어휘분석을 먼 저하고 글을 인식하는 상향식 과정과 독자가 예측과 기대에 의해 의미를 파악하는 개요 중심의 하향식 과정이 상호 작용하는 고차원의 정신과정 이다.3) 이렇게 볼 때 상호작용모형에서 ‘상호작용’이라 함은 결국 글 과 독자의 상호작용, 상향식 모형에서 강조하는 글 측면에서의 문자 해 독과 하향식 모형에서 강조하는 독자 측면에서의 스키마의 상호작용을 말한다.

문서에서 효과적인 읽기 지도 연구 (페이지 13-1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