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실험 결과에 관한 분석

문서에서 효과적인 읽기 지도 연구 (페이지 41-47)

우선, 수업 진행과정에서 학생들의 반응과 태도를 비교하여 기존의 문 법번역식 수업방식을 유지한 비교반과 어휘지도와 앞에서부터 읽기를 지 도한 실험반을 비교하여 보자.

실험 1차시〈표6〉를 보면, 비교반의 학생들은 기존의 문법 번역식 수 업에 너무나 익숙해져 같은 방법으로 수업을 하자 큰 부담이나 거리낌없 이 수업에 참여하였다. 그러나 학생들의 참여가 없는 교사위주의 일방적 수업을 계속하자 몇몇 학생들이 산만해하는 모습을 보였다. 비교적 평이 한 내용이어서 내용이해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학생은 없었다. 이에 반해 실험반은 어휘지도 방법과 앞에서부터 읽기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특히 어휘지도 방법 중 어형변화를 이용한 방법에 많은 흥미를 나타냈다. 그 리고 앞에서부터 읽기는 처음에는 뒤에서부터 읽기와 별다른 차이가 없 는 것으로 생각했으나 1주 수업을 해서인지 앞에서부터 읽기에 관심을 드러냈다.

실험 2차시 〈표7〉를 보면, 비교반의 학생들은 1차시와 비슷하게 별 다른 수업의 불만을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내용 설명 도중에 딱딱한 문법 설명을 하자 어려워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하지만 내용 자체가 친근한 내용이어서 흥미를 갖는 모습이었다. 실험반은 비교반과 마찬가지로 교 재 내용에 많은 관심을 보이며 자발적으로 질문을 하는 활기찬 수업이 진행되었다. 어휘지도와 앞에서부터 읽기에 학생들이 점차 적응해가는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문법 설명은 가급적 자제하고 내용전달 위주의

수업을 해서인지 부담감이나 지루함은 찾아볼 수 없었다.

실험 3차시 〈표8〉를 보면, 실험반, 비교반 모두 부정적인 반응을 보 였다. 그 이유는 교재 내용의 흥미도가 떨어지는 점과 높은 수준의 단어 가 있기 때문이다. 두 반 모두 학생들이 지루해하고 산만한 분위기가 되 었다. 비교반에서는 그런 상황에서 계속 수업을 이끌려 하다 보니 오히 려 역효과가 나타나기도 했다. 실험반에서도 두 학생이 관심을 보이지 않고 산만함을 보였다. 평균적으로 2차시보다 훨씬 힘든 수업이었다.

실험 4차시 〈표9〉를 보면, 3차 이해력 평가 시험의 저조로 비교반은 침울한 분위기였다. 학생들이 교사의 얼굴을 보지않고 숙이고 있어 학생 전원에게 자신감을 불어넣자 대부분이 의욕을 되찾은 듯 보였다. 하지만 자발적이기보다는 강요에 의해 수업에 참여하는 인상을 나타냈고 3차시 와 마찬가지로 학습의욕과 흥미가 떨어진 상태였다. 실험반은 전시간과 는 달리 비교적 밝은 분위기였고 어휘지도와 앞에서부터 읽기에 많은 학 생들이 익숙해져 있었다. 학생들 전원에게 읽기 연습을 시켰는데 대다수 가 많은 향상을 보였다. 학생 각자에게 칭찬을 해줬더니 모두가 흡족한 반응을 보이며 수업에 재미를 느끼는 것 같았다.

실험 5차시 〈표10〉를 보면, 비교반과 실험반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비교반은 4차시의 어두운 분위기에서 벗어나 학습 내용에 흥 미를 갖고 이해하려는 모습을 나타냈다. 주입식 위주의 어휘지도에는 별 다른 거부감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뒤에서부터 읽기에는 학생들이 이해가 되지 않는 긴 문장들을 질문하기도 했다. 실험반도 내용에 관심을 갖고 집중하려고 했다. 앞에서부터 읽기에 익숙해져 기존의 뒤에서부터 읽기

로 해석할 때보다 훨씬 이해가 쉽다는 표정을 나타냈다.

전체적으로 어휘지도와 앞에서부터 읽기를 이용한 실험반의 실험과 기 존의 문법 번역식 수업을 한 비교반의 실험을 비교해 보면 실험반의 학 생들이 훨씬 적극적인 수업태도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이유 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첫째, 학생들에게 암기만 강요하는 전통적인 어휘지도에서 벗어나 흥 미를 줄 수 있는 여러 어휘지도 방법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기존의 어휘 지도는 교사가 학생들에게 단어를 발음하고 그 뜻을 우리말로 설명하는 것에서 끝났다. 그러다 보니 당연히 학생들이 영어 읽기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떨어져 학습 의욕이 저하되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는 여러 어휘지도 방법을 제시하여 학생들에게 어휘에 대한 친근함과 동기 부여 를 한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앞에서부터 읽기를 지도했기 때문이다. 학생들은 우리말 어순에 근거하여 뒤에서부터 읽기를 하여 영문을 해석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렇 게 하다보면 영문이 길 경우 문장의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지 못하고 해 석하는 데 많은 시간을 낭비할 수 있다. 하지만 앞에서부터 읽기를 통해 이러한 단점을 극복할 수 있기 때문에 실험반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효과 를 거둔 것으로 풀이된다.

두 번째로 면담지 결과를 분석해 보자.

영어 읽기에 대한 흥미도에서는 실험반, 비교반 모두 비교적 많은 관심 을 나타냈고 영어 교과서에 대한 흥미도에서는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견 해를 드러냈다. 어휘 습득에 대한 관심도에서는 두 반 모두 높은 관심을

보였는데 이것은 학생들이 영어 읽기를 할 때 영어 읽기를 할 때 어휘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는 견해를 가진 것으로 해석된다. 많은 어휘 습득 을 통한 영어 읽기 향상 기대감에서는 두 반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 냈고 앞에서부터 읽기에 대한 경험에서는 모두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것은 학교 수업에서 여전히 우리말 어순에 기초한 뒤에서부터 읽기만 을 고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앞에서부터 읽기를 통한 영어 읽기 향상 기대감에서는 비교반은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실험반은 긍정적인 반응 을 보였다. 그 이유는 앞에서부터 읽기 방법에 대해 실험반에서 지도를 했고, 거기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학교 영 어 시간 흥미도에 대해선 두 반 모두 부정적인 견해를 나타냈는데 이것 은 읽기 수업 시간에 학생들에게 흥미와 관심을 부여할 수 있는 읽기 지 도 방법이 아직도 학교 교육 현장에서 실시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반 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해도 평가의 평균변화를 살펴보자.

사전평가로 나뉘어진 비교반과 실험반이 평균이 62와 64에서 어떻게 변 화하는지 〈표13〉를 보면 잘 알 수 있다. 거의 같은 수준의 비교반과 실험반의 학생들은 매주 치룬 이해력 평가에서 점차 다른 양상을 띠게 된다. 1차 이해력 평가 시험에서는 두 반 모두 평균이 사전 평가시 보다 약간 올라갔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두 반 모두 교재 첫 수업이어서 학 생들 스스로가 자발적인 학습 성취욕을 보인 것으로 보인다. 2차시 부터 는 두 반의 차이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비교반은 평균이 62점으로 1차시 보다 1점 하락했고, 실험반은 68점으로 1차시보다 3점이 상승한 것을 알

수 있다. 그것은 어휘지도와 앞에서부터 읽기가 학생들에게 어느 정도 긍정적으로 인식되어 수업 참여 욕구를 자극하여 읽기 내용 이해도를 높 인 것으로 해석된다. 3차시에는 두 반 모두 평균이 2차시보다 큰 폭으로 하락했는데 그것은 학습 내용의 지루함과 어휘 수준이 다소 높았기 때문 으로 풀이된다. 4차시에는 두 반 모두 점수가 큰 폭으로 상승했는데 특 히 실험반은 3차시보다 평균이 5점이나 상승하였다. 그 이유는 학생들에 게 개별적인 읽기 연습을 통해 첨삭 지도를 하였고 칭찬과 자신감을 주 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5차시에는 실험반이 68점으로 4점이나 또 상승한 것을 볼 수 있다. 비교반도 1점이 소폭 상승했다. 종합적으로 보 면 실험반은 사전평가시보다 평균이 0.8점 상승했고 비교반은 0.8점 하락 했다. 얼핏 보기에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이것이 시사하는 바 는 크다. 우선 어휘지도와 앞에서부터 읽기 지도가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거두게 했으며 무엇보다도 실험반 학생들은 능동적 참여가 두드 러진 것이 최대 효과라고 볼 수 있다. 반면에 비교반 학생들은 기존의 문법번역식 수업을 하다 보니 수업이 지루해지고 학생들의 참여가 거의 없는 교사 위주의 수업을 하다보니 수업 능률이 많이 떨어진 것으로 나 타났다. 〈표14〉을 보면 개인별 평균의 변화를 볼 수 있다. 실험반의 경 우 이해도 평가에서 사전 평가보다 성적이 향상된 학생은 6명으로 상위 권, 중위권, 하위권 학생들 모두에게서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어휘지도 와 앞에서부터 읽기 수업이 학생들 수준에 상관없이 고르게 효과가 나타 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실험반의 경우에는 사전평가시보다 이해력 평가에서 평균이 상승된 학생은 3명으로 실험반과 비교했을 때에 절반

정도의 수준에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실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어휘지도와 앞에서부터 읽기 수업이 학 생들에게 효과적이었다고 분석할 수 있다.

문서에서 효과적인 읽기 지도 연구 (페이지 41-4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