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읽기의 정의

문서에서 효과적인 읽기 지도 연구 (페이지 10-13)

2. 이론적 배경

2.1 읽기의 정의

읽기는 텍스트를 통한 인간의 인지작용이며, 거기에 영향을 미치는 변 수가 많기 때문에 한마디로 정의하기란 불가능하다. 읽기의 개념에 대한 시대적 변화를 살펴보면, 1960년대에는 구조주의 언어학자에 의해서 읽 기는 언어의 표면적구조인 형태소, 단어, 구, 문장에 중점을 두고 이것이 확대되는 문자 인식 과정으로만 여겼다. 이것은 문맥적 의미를 배제하고, 단어 하나 하나의 해석에서 출발하여 문장의 단위로 연결하는 논리이다.

이러한 개념은 학습자의 내면적 세계를 무시하고 독해자료의 표면적 요 소에만 관심을 둔 것일라 할 수 있다.

Chomsky(1957)의 “Syntactic Structures”가 발표된 이후에는 심리 언 어학적 접근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읽기는 단순히 언어의 구조적인 것뿐 만 아니라 독자의 사고와 밀접한 관계를 맺는다고 하였다.

Goodman(1973)는 독해란 글을 읽는 이가 주어진 글을 단어의 뜻에 따 라 단순히 해석만 하는 수동적 측면이 아니라 글쓴이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나름대로 의미를 재구성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능동적 과정이라고 말하면서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읽기는 저자가 문자화한 전달 내용을 독자가 최대한 의미를 재구성하 는 심리언어학적 과정이다.

Reading is a psycholinguistic process by which the reader, a language user, reconstructs, as best he can a message which has been encoded by a writer as a graphic display(Goodman 1973:162).

심리 언어학자들의 관심은 주로 독자의 선험적 지식(prior -knowledge)과 선험적 경험(prior - experience)등에 초점이 맞추어졌다.

그러므로 읽기 과정은 구조주의 언어학자들이 주장했던 기본적인 단어들 을 이해하는 것부터 시작하여 좀 더 복잡한 문장의 단계까지 이해해 가 는 상향식 과정 (bottom - up process)에만 의존하는 단계에서 벗어나 독자의 선험적 지식을 사용하여 텍스트의 전체적인 윤곽을 파악한 후, 언어의 세부적인 정보를 이해하는 하향식 과정 (top - down process)과 상호 작용하는 가운데 의미 형성된다는 것으로 정의된다.

한편, 사회 언어학자들은 심리언어학자들이 언급하는 요소들 외에 다 른 여러 가지 사회적 변수 요인들을 첨가시켜 읽기에 대한 종합적인 정 의를 시도하고 있다 (Pearson & Stephens, 1994). 사회 언어학자들은 텍 스트 안에 쓰여진 단어의 의미는 독자가 텍스트를 읽는 상황 (context) 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본다. 사회 언어학자들에 의한 읽기의 정의에 따라서, 읽기 그 자체가 텍스트의 의미를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회 를 새롭게 변화시킬 수 있는 사회적 행위(Social act)로서 해석한다.

여기서 상황이라는 것은 텍스트 내에서 일어나는 문맥적인 것뿐만 아니 라 교육적인 환경, 지역 사회의 영향력, 가정 교육의 영향력, 교사와의 상호작용 등 독자가 텍스트를 읽고 의미를 형성해 갈 때 부딪힐 수 있는 모든 상황적인 것을 포함한다 (Bloom $ Green,1984). Heath(1983)는 Roadville, Trackton 그리고 Maintown이라는 세 지역의 아동들을 대상 으로 실시한 읽기에 대한 연구를 통해 독자의 읽기 형태 (reading style) 와 읽기 과정(reading process)은 독자나 텍스트의 종류에 의해서도 달 라지지만 독자가 소속된 사회의 “읽기에 대한 가치”(value of reading) 에 따라서 좌우될 수 있다고 했다. Maintown의 아동들은 부모들에 의해 학교에서 실행하는 읽기 활동과 비슷한 활동들을 연습하기 때문에 학교 의 읽기 활동에 별문제가 없다. 그러나 Trackton과 Roadville 지역의 아 동들은 가정에서 학교의 읽기 활동과는 다른 말하기에 중점을 두는 활동 들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읽기 수업에 뒤쳐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읽기에 대한 개념들을 정리해보면 독해란 문자화된 글을 이해 하는 사고 과정이다. 이해하는 사고 과정이란 문자화된 글 속에 있는 통 사적, 의미적, 수사적 정보를 독자의 사고에 의하여 재구성하는 과정이 며, 독자의 사회 및 문화에 대한 지식, 인지적 기능, 합리적인 사고력이 상호 작용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즉, 독해란 글 속의 의미를 획득하 기 위해서 독자가 수행하는 일련의 의미 형성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문서에서 효과적인 읽기 지도 연구 (페이지 10-1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