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Ⅴ. 결론 및 제언

2. 제언

본 연구의 결과와 결론을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이혼가정, 조부모가정 등 다변화되었고 이에 해당하는 응답자가 있을 때 응답에 부담을 줄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둘째, 예비조사 시에 응답자가 학업성취압력을 부와 모를 분리해서 지각하기 어려워 부의 압력과 모의 압력이 자신에게는 하나 로 지각된다고 하였기 때문이다. 이것과 연결지어 생각할 수 있는 것은 보통의 부모 입장에서 한 부모가 자식에게 압력을 가하는 역할을 맡으면 다른 부모는 자식에게 관대한 역할을 맡아 적어도 한 부모는 자녀에게 부담을 주지 않으려고 노력한다는 점이다. 그렇기 때문에 부와 모를 따로 분리하여 부모의 학업성취압 력을 조사하는 것이 정확한 현실을 반영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러 한 고민들에 비추어 후속연구에서는 부모의 학업성취압력 척도를 어떻게 사용하 는 것이 바람직한 지에 대한 논의가 이어지길 제안한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학업 성취를 가장 잘 에언하는 개인차 변인(이수현, 전우택, 2015)이라고 하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종속변인으로 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을 독립변 인, 학업스트레스를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여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후속 연구에 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높은 상관을 갖는 학업 성취(강효숙, 2013; 김의철, 박 영신, 1999; 마성옥, 2011; 박영신 외 5인, 2000; 신태섭, 2005; 유미영, 2010; 최영 미, 2010; 추상엽, 임성문, 2008; 홍영주, 이지연, 2011)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부모 의 학업성취압력, 학업스트레스,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실제 학업 성취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인과관계를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부모의 학업성취압력, 학업스트레스,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성적과 같은 학업성취도를 반영하는 변인에 어떠한 경로를 거쳐 영향을 주고 받는지를 확인하고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경 로분석이나 구조 방정식 모형으로 검증한다면 보다 포괄적이고 체계적으로 조망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강영철(2003).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아동의 학업자아 및 부모의 학업성취압 력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효숙(2013).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태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 는 영향.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국민건강보험공단(2018). 10대 청소년 진료현황.

권예지(2016).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고등학생의 학업소진 관계에서 정서지 능의 조절효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경옥(1992). 부모의 성취압력이 학생의 정의적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중 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경자(2012). 부모의 성취압력과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 및 정신건강문제 와의 관계.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기정(1984). 학업성취와 지각된 양육태도가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다솜(2013).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성취압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교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미경, 김양희, 황사라, 정익중(2012). 고등학생의 성적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성별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 복지연구, 14(4), 165-187.

김별님(2012). 부모의 성취압력, 성취동기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성애(1992).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에 따른 학업성취도 및 자아정체감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수주(2011). 중·고등학생의 학교스트레스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김아영(2002). 학업동기 척도 표준화 연구. 교육평가연구, 17(1), 157-184.

김아영, 박인영(2001).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연구,

39(1), 95-123.

압력과 성공압력의 영향력 및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중재효과. 대한가정

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통합치료연구, 7(1), 5-31

백주현(2017).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신체화증상과 정서조절능력에 미치

유미영(2010).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정서지능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27(1), 27-35.

이예원, 이은성(2019). 전문여대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이좌찬(1987). 시험에 대한 부모의 태도와 학생의 불안수준 및 학업성취의 관계.

조혜진, 이지연, 장진이(2013). 고등학생의 과중한 학업요구와 학업소진의 관계에

홍은지, 이지연(2012).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초등학생의 학업성취 간의 관계에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Bandura, A. (1993). Perceived self-efficacy in cognitive development and functioning. Educational Psycgologist, 28, 117-148.

Bandura, A. & Schunk, D. H. (1981). Cultivating competence, self-efficacy, and intrinsic interest through proximal self-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1, 586-598.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Laxarus, R. S. & Cohen, J. B. (1977). Environmental stress. Human behavior and environment, 89-127.

Lax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Murray, H. A. (1938). Exploration in personalit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Schunk, D. H. (1983). Ability versus effort attributional feedback: Differential effects on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5, 848-856.

Schunk, D. H. (1990). Goal setting and self-efficacy during self-regulated

learing. Educational Psychology, 25, 71-86.

Selye, H. (1976). The stress of life. New York: McGraw-Hill.

Sherer, M., Maddux, J. 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Rogers, R. W.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2), 663-671.

Sobel, M. E. (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13, 290-312.

Zimmerman, B. J. (1989). A social cognitive view of self-regulated academic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ist, 81, 329-339.

Abstract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on Academic Self-efficacy of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Hur, Jin Seon

Major in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Choi, Bo You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tating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on academic self-efficacy of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a research problem was settled; Does academic stress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on academic self-efficacy of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study, 398 students of two academic high school were surveyed in Jeju. The survey consisted of three measuring instruments: measure of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cademic self-efficacy measure, academic

stress measure. Based on survey data, firstly, average,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o analyze descriptive statistics quantity of major research factors. Secondly,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research factors. Thirdl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mediating effect according to way suggested by Baron & Kenny(1986) and Sobel test was also conducted.

This study has the results as below.

Firstly, it was found that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nd academic stress had a meaningful positive relationship. Also,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nd academic stress had a meaningful negative relationship to academic self-efficacy each other.

Secondly, the result of examining mediating effect showed that academic stress was a role of complete mediating variable on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on academic self-efficacy of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effected on academic self-efficacy negatively, but it didn’t show a meaningful result when mediating variable called academic stress added. In other words, perceived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not directly effected on academic self-efficacy, but effected on academic self-efficacy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tress.

Building on this findings,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crease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nd academic stress in other to improve academic self-efficacy. Also, this study can be used as a useful data in developing and applying counseling programs to decrease academic stress and increase academic self-efficacy for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Key words: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stress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