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학업성취압력, 학업스트레스, 학업적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살펴 보고 학업성취압력이 학업적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스트레스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 분석하였다.

1.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본 연구에 사용된 주요 변인인 학업성취압력, 학업스트레스, 학업적 자기효능 감의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여 각 변인의 평균, 표준편차, 왜도와 첨도를 확인 한 결과를 표 Ⅳ-1에 제시하였다. 고등학생의 학업성취압력 평균은 2.47점 (SD=.89)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취압력은 5점 척도로 3점을 ‘보통이다’로 보았을 때, 학업성취압력은 보통보다는 낮은 수준으로, 연구 대상자들은 자신의 성취압 력을 비교적 낮게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학업스트레스의 평균은 3.71점(SD=.87)으로 나타났다. 학업스트레스는 6점 척 도로 ‘약간 아니다’(3점), ‘약간 그렇다’(4점) 사이(3.5점)를 ‘보통이다’로 보았을 때, 학업스트레스는 보통보다는 다소 높은 수준으로, 연구 대상자들은 자신의 학 업스트레스에 대해 비교적 높게 호소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Ⅳ-1.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결과

(N=398)

변인 평균(M) 표준편차(SD) 왜도 첨도

학업성취압력 2.47 .89 .42 -.36

학업스트레스 3.71 .87 -.12 .22

학업적 자기효능감 3.65 .69 .20 .60

학업적 자기효능감 평균은 3.65점(SD=.69)으로 나타났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6점 척도로 3.5점을 ‘보통이다’로 보았을 때, 연구대상자들은 자신의 학업적 자기 효능감을 비교적 높게 지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

먼저 각 변인들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측정한 변인인 학업성취 압력, 학업스트레스,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 며, 그 결과는 표 Ⅳ-2에 제시하였다.

우선 고등학생의 학업성취압력, 학업스트레스,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 로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스트레스는 유의미한 정적상 관(r=.36, p<.01)을 보였다. 이는 자신이 지각하는 학업성취압력이 높을수록 학업 스트레스를 더 많이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r=-.20, p<.01)을 나타내어 학업성취압력이 높 을수록 자신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정도가 낮아질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학업 스트레스와 학업적 자기효능감도 유의미한 부적 상관(r=-.49, p<.01)을 보였다.

이는 학업스트레스를 많이 느낄수록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반대로 낮아질 수 있 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Ⅳ-2. 학업성취압력, 학업스트레스,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상관계수

(N=398)

**p<.01

변인 학업성취압력 학업스트레스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압력 1

학업스트레스 .36** 1

학업적 자기효능감 -.20** -.49** 1

3. 학업성취압력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Sobel’s test Z=-6.18***

***p<.001

학업성취압력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스트레스가 매개역 할을 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1단계로 독립변인인 학업성취압력이 매개변인인 학 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는 학업성취압력이 학업스트 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므로(β=.36, p<.001) 매개분석을 위 한 1단계가 충족되었다. 2단계에서 독립변인인 학업성취압력이 종속변인인 학업 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이때 학업성취압력이 학업적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미하므로(β=-.20, p<.001) 매개분석을 위한 두 번 째 단계가 충족되었다. 그리고 마지막 3단계에서 독립변인인 학업성취압력과 매 개변인인 학업스트레스를 동시에 투입하였을 때, 종속변인인 학업적 자기효능감 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매개변인인 학업스트레스가 추가되었을 때, 학업성취압력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학업스트레스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미하였다(β=-.48, p<.001). 따라서 학업성취압력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스트 레스의 완전매개효과가 검증되었고, 학업성취압력은 학업스트레스의 매개에 의해 서만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학업성취압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스트레스

.36***

-.20*** (-.02)

-.48***

그림 Ⅳ-1. 학업성취압력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스트레스의 완전매개모형

완전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방법 에 비해 보다 직접적인 검증방법인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Sobel(1982)의 Z공 식에 의하면, 산출된 Z값이 임계치인 ±1.96에 비교하여 p<.05 수준에서 임계치보 다 큰 경우 매개효과가 유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Sobel의 Z값은 –6.18로 고등학생의 학업성취압력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스트레스의 완전매개효과는 p<.001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Z값이 ±1.96보다 크므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함 을 나타내는데, 이를 통해 고등학생의 학업성취압력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 는 영향에서 학업스트레스의 완전매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확인할 수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