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OECD 국제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8(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ment 2018)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 중 읽기 영 역에서 2∼7위, 수학 영역에서 1∼4위, 과학 영역에서 3∼5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평가가 처음 시행된 1998년 이래로 꾸준히 최상위의 성취수준을 보여주고 있지만 한국 학생들의 학업성취수준이 높은 것에 반해 학업 관련 불안감도 높게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교과별 학업성취도와 교과 기반 정의적 특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중·고등학교 대상 모든 교과에서 자신 감과 흥미의 ‘높음’ 비율이 가치와 학습의욕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교과별로는 수학 교과의 자신감, 가치, 학습의욕의 ‘높음’ 비율이 중·고등학교 모 두 국어와 영어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교육부, 2019).

학업성취도 국제비교(PISA 2018)에서 한국 학생들이 보여준 모순적인 결과, 즉 학업성취도는 높은데 자신감과 흥미는 낮고 학업 불안감이 높게 나타나는 결 과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해 슐라이허 OECD 교육국장은 ‘한-OECD 국제교육컨퍼런스’에서 현재 한국의 대학입시 체제 가 학생들에게 있어서 과도한 학습시간, 시험 불안, 자기효능감 부족 등 의도하 지 않은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내적 동기를 확대해 야 한다고 강조하였다(에듀인 뉴스, 2019, 10, 23).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대부분 학습자의 학업 수행과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 변인, 동기적 변인으로 연구되어왔다. 이수현과 전우택(2015)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학습자의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며 학업성취를 가장 잘 예언하는 개인차 변인이라고 했다. 학업적 자기효능감(academic self-efficacy)이란 학습자 가 자신에게 주어진 학업이나 과제 수행에서 어려움의 상황을 스스로 극복할 수

있고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신념이나 기대이다(김아영, 박인영, 2001). 신

치는 환경적 요인 중에서 부모의 양육태도와 관련하여 학업성취압력에 대한 연

력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학업스트레스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이를 매개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위한 부모의 학업 관련 역할을 찾고 학업스트레스의 영 향을 파악함으로써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부모 교육 및 고등학 생 상담 프로그램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형 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