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Ⅱ. 이론적 배경

1. 배움 중심 수업

배움 중심 수업은 현재 경기도교육청 산하의 혁신학교에서 실천하고 이는 창의지 성교육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평가를 혁신하는 총체적 수업혁신이라 할 수 있다. 2015 교육과정에서는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함양하여 바른 인성 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는 바, 배움 중심 수업의 목적은 우리나라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과 같은 맥락을 갖고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자는 배움 중심 수업과 관련한 이론적 배경을 경기도교육청의 ‘혁신학교 기본문서’와 한국교원대학교 교원능력개발센터의 원격연수 교재인 ‘혁신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바탕으로 기술하였다.

가. 배움 중심 수업의 개념

배움 중심 수업은 지식이나 기능의 습득, 축적을 넘어 비판적 사고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 창의지성교육의 방법론적 접근으로, 교육과정 재구성, 평가의 혁 신을 포함하는 총체적인 교육활동의 혁신이다.

기존의 ‘학습자중심 수업’이 갖는 장점을 수용하되 교사의 역할을 소극적으로 규 정하지 않는다. 학생과 학생, 교사와 학생의 협력에 의해 지식의 탐구를 넘어서 새로운 지식을 창조해 나가는 과정을 강조한다. 그래서 배움 중심 수업은 지식과 기능의 학습에 그치지 않고, 비판적 사고력을 갖춘 창의적인 인재를 기르기 위한 교육활동이다.

학생은 수업의 대상이 아닌 학생 서로 간에 지식을 창조하는 주체가 되고, 교사 역시 학생과 협력을 통해 배움을 이뤄가며, 수업의 과정은 비판적 사고활동을 통 해 진정한 지식의 배움과 가치를 내면화하는 것이다. 배움 중심 수업은 지식이나 가치를 창조하는 과정으로 획일적인 하나의 모델이 있는 것이 아니다.

배움 중심 수업은 협동학습과 가치와 철학 면에서 비슷해 보인다. 이 두 가지 학 습법 모두 교실 수업을 살리려는 노력의 산물이기 때문이다. 단, 협동학습은 ‘공동

의 학습목표를 이루기 위해 이질적인 학생들의 소집단 상호작용 활동’을 강조하

아이들은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 현장

기여를 통해 지식이 형성, 확장되어가는 과정이라고 본다. 또한 수업이 자칫 혼란

라. 배움 중심 수업과 창의지성역량

람의 도움으로 달성할 수 있는 수준사이를 ‘근접발달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이라고 하여, 근접발달영역 안에서는 학습자가 혼자서 해결할 수 없지만 동료의 도움을 받으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므로 학습 시 동료의 조력과 도움이 필요하며 언어와 사회적인 활동으로 배움이 구성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언어적 활동의 중심으로 협동학습이나 동료지도를 도입한 수업을 촉진해 왔고, 교사도 안내자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하였다.

교사나 친구의 도움으로 학생의 발달을 지향하는 배움 중심 수업의 ‘배움론’은 구성주의 영향 아래에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다음의 <그림 Ⅱ-1>는 배움 중심 수업과 Vygotsky의 학습이론의 관련성을 보여 준다.

<그림 Ⅱ-1> Vygotsky의 학습이론에 의한 배움 중심 수업에서의 배움과 발달 한국교원대학교 교원능력개발센터(2013), p.188

바. 배움 중심 수업과 평가

배움 중심 수업은 창의지성교육의 실현을 위한 방법이므로 평가도 그에 맞게 이 루어져야 한다. 대표적인 평가방법으로는 수행평가, 보고서 작성, 논술형 평가, 구 술평가가 있으며 필요한 경우 지필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수행평가는 학생들의 학습 능력과 학습 환경, 프로그램의 발전적 재조정을 위해

필요하다. 교사는 독서 및 작품 감상, 체험활동 등 준비과정에 대해 평가하고, 발 표와 토론, 사고의 성장 등 지성적인 과정에 대한 학생 개개인의 장단점 및 특징 을 파악해야 한다. 보고서 작성은 수업과 관련된 작품과 영상들을 보고 주어진 주 제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을 표현하게 하여 평가를 할 수 있으며, 개인별 또는 모 둠별로 토론 후 토론의 결과를 작성할 수도 있다.

논술형 평가를 통해 학생들의 문제 이해도와 창의적인 방법 제시 여부를 평가할 수 있으며, 평가 시 교사의 첨삭지도 또한 필요하다. 구술평가는 특정 주제에 대 하여 학생 자신의 의견을 발표하게 하여 학생의 말하는 태도, 논리적인 판단과 적 절한 답변 등을 고려하여 평가를 할 수 있다. 또한 즉흥적으로 질문을 하는 방법 을 통해 학생의 순발력과 대처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