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영자신문을 활용한 배움 중심 수업을 통한 학생들의 쓰기 능력 향상도를 검증하 기 위해, 사전·사후 쓰기 능력 평가 결과를 대응 표본으로 하여 대응표본 t-검정 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Ⅳ-1> 사전·사후 쓰기 능력 평가 t-검정 결과

평가 n M SD t p

사전 20 27.88 9.64

-3.954** .001

사후 20 32.60 7.69

** p<.01

위의 표에 제시되어 있듯이, 사전과 사후 쓰기 능력 평가의 평균 차이가 유의미 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자신문을 활용한 배움 중심 수업을 통해 학습자들 의 쓰기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영자신문을 활용한 배움 중심 수업이 쓰기 기능의 세부 평가 영역인 내용, 구성, 문법, 어휘, 기법 항목에서 유의한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쓰기 영 역별 사전·사후 평가의 차이를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Ⅳ-2> 와 같다.

요인 구분 n M SD t p

내용 사전 20 5.48 1.96

-3.782** .001

사후 20 6.80 1.61

구성 사전 20 5.28 2.10

-3.982** .001

사후 20 6.80 1.86

<표 Ⅳ-2> 쓰기 능력의 각 하위요인별 사전·사후 평가 t-검정 결과

** p<.01, *** p<.001

위의 각 학생별 쓰기 능력 사전·사후 평가 결과 향상도를 살펴보면 20명의 학생

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Ⅳ-4>과 같다.

<표 Ⅳ-4> 김☆☆, 최▢▢ 학생의 쓰기 능력 사전·사후 결과

구분 내용 구성 문법 어휘 기법 합계

김○○ 사전 5 4 4 4.5 5.5 23.0

사후 8 7.5 5.5 7 5.5 33.5

최▢▢ 사전 3 3.5 3 3 4 16.5

사후 4.5 4.5 4.5 4 4.5 22.0

김☆☆ 학생은 본 연구 대상 학생 그룹에서 쓰기 능력이 중하위권에 속한 학생 으로 사전 쓰기 능력 평가에서 23.0점, 사후 쓰기 능력 평가에서 33.5점을 받았다.

최▢▢ 학생은 쓰기 능력이 하위권에 속한 학생으로 사전 쓰기 능력 평가에서 16.5점, 사후 평가에서 22.0점을 받았다. 두 학생 모두 사전 쓰기 능력 평가에 비해 사후 평가에서 높은 성취도를 보였다. 따라서 영자신문을 활용한 배움 중심 수업 을 통해 사전 정의적 영역 조사에서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던 두 학생의 쓰기 능 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자의 관찰에 의하면, 김☆☆ 학생은 혼자서는 해결할 수 없는 과제를 동 료와 어울려 과제를 수행함으로써 성취감을 느끼고 학습에 점차 적극적으로 참여 하는 태도를 보였다. 연구의 초반부터 수업에 전혀 흥미를 보이지 않았던 최▢▢

학생은 수업배움일지를 통해 자신이 수업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되거나 배우게 된 점에 대해 기록을 하면서 수업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학습의 의미를 찾은 것으로 보였다. 또, 배움 중심 수업을 위해 자신이 잘한 점과 친구들이 잘한 점을 관찰하 면서 수업에 참여하는 태도에 대해 새롭게 인식하게 됨으로써 학습의 효과가 발 생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