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Ⅲ. 연구 방법

3. 배움 중심 수업의 적용

배움 중심 수업은 수업 모형이 아니며 수업 모델이 따로 있는 것도 아니다. 배 움 중심 수업은 학습의 목표와 수업을 설계하는 학생과 교사의 관점에 따라 프 로젝트 수업, 토론 수업 등 다양한 수업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는 수업의 과정에서 학생들의 정의적 능력과 창의지성 역량이 신장되도록 학생 들을 격려하고 성장을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수업을 운영하였으며 수업 모형 개발을 목적으로 하지는 않았다.

가. 어린이 영자신문 선정

본 연구에서는 영자신문 The Kids Times(키즈타임즈)를 수업 자료로 선정하였 다. 초등학생을 주 대상으로 하는 이 신문은 주 1회 발생되는 정기간행물이며, 신 문기사 24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독 학생들이 영어뉴스에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색채감 있는 삽화 및 화려한 디자인을 사용하며, 다양한 섹션을 통해 국내외 뉴스, 시사, 경제 인물, 문화, 스포츠 기사는 물론 과학, 지식 등과 같 은 기초 학문적 지식을 쉽게 습득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다.

나. 수업 설계

본 연구에 따른 수업은 8회 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1회당 학습 시간은 4시간(40 분 기준)이며, 1회의 수업을 2시간씩 2블럭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신문을 활용한 수업 모형은 Davies와 Pearse(2000)가 제안한 3단계 읽기 지도 모형과 김인옥과 김경만(2009), Olivares와 Lisi-Pawlak(1991) 등이 제안한 신문 활용 학습 활동 모형을 토대로 학습자 수준에 적합하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

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수업의 기본 절차는 <표 Ⅲ-2>과 같다.

공하기 위하여 수업배움일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수업에

‘Why does she do these things?’ 질문에 답하기

다. 수업의 실제

1)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은 집단토의의 일종으로 특정한 문제나 주제에 대하 여 두뇌에서 폭풍이 몰아치듯 생각나는 아이디어를 가능한 한 많이 산출하도록 하 는 방법이다. 브레인스토밍은 쉽게 실행할 수 있고 다양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 다는 장점이 있다.

2) 마인드 맵(Mind map)

마인드 맵(Mind map)은 마음속에 지도를 그리듯이 줄거리를 이해하여 정리하는 방법이다. 한 가지 주제에 대해 연결된 생각의 고리를 이어 나가며 마치 지도를 그 리듯 표시해 나가는 기법을 사용하여 산출된 아이디어 중에서 주제와 관련된 것들 은 선택하고, 그렇지 않은 것들은 제외시켜 나갈 수 있도록 한다. 이 과정을 통해 글을 위해 자신이 필요한 소재를 필요에 맞게 체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다.

쓰기 활동 위주의 수업인 본 연구에서는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산출해낸 아이디 어를 학생 각자의 사고에 따라 구조화할 수 있도록 마인드맵 기법을 주로 활용하 였다. 모둠 구성원들과 마인드맵을 함께 하는 과정 속에서 학생과 학생 사이에 활 발한 소통이 일어나도록 유도하였다. <그림 Ⅲ-1>는 ‘Catfish Festival’라는 주제 로 수업에서 사용한 마인드맵 활동지이다.

<그림 Ⅲ-1> 마인드 맵 활동지

3) 읽기·쓰기 통합 활동

쓰기 활동은 주로 그날 학습한 읽기 활동을 토대로 습득된 새로운 지식이나 상 식, 문법 구조 등을 확인하고 그것들을 활용하여 자신만의 생각을 나타내는 글을 쓰도록 하였다. 글을 쓰기 전에는 모둠별 토의를 통해 주제에 대한 생각을 충분히 공유하여 배경 지식을 활성화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글쓰기 과정에서는 읽기 중 심 활동에서 학습한 어휘와 표현을 활용하여 초고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작성한 초고를 모둠 내 친구들과 서로 바꿔 읽어가며 내용 및 어휘에 대해 서로 교정하 는 시간을 갖도록 하였다. 또, 글쓰기 채점 기준(내용, 구성, 문법, 어휘, 기법)2)을 학생들에게 미리 안내하여 여러 가지 기준을 고려하여 글을 쓰는 학습 태도를 갖 추도록 하였다.

4) 동료 피드백 주고받기

본 연구자는 배움 중심 수업에서는 학생들이 친구들과 대화를 나누며 지식을 내 면화하고 수업 중의 학생 경청을 통해 생각의 변화와 발전이 일어난다는 것을 강 조하였으며 이를 전제로 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자신의 글을 평가하고 검토하는 단계에서는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간에 서로 의 글을 읽어 공유하도록 하였다. 이 과정 속에서 다른 학생이 어떤 생각을 갖고 글을 썼는지, 어떤 점에서 칭찬할 만한지, 어떤 점을 개선하면 좋을지에 대해 생 각하도록 하였다. 그 후, 본 연구자가 제시한 글쓰기 채점표에 의해 내용, 구성, 문 법, 문법, 어휘, 기법 면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글을 검토한 후 동료에세 정확하고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그림 Ⅲ-2>는 학생들이 글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문법, 어휘, 기법적인 면의 오류를 찾는 연습을 하기 위해 본 연구자가 영자신문의 기사를 변형하여 제작하고 학생들이 활용했던 학습지이다.

2) 본 논문의 32쪽에 제시한 <표 Ⅲ-5>의 5가지 평가 영역에 해당한다.

<그림 Ⅲ-2> 동료 피드백 활동 사례 1

<그림 Ⅲ-3>은 ‘Mom of Five’라는 주제로 쓴 글을 보면서 모둠 구성원들이 오 류를 수정해 준 사례이다. 내용, 구성적인 면에 대해서는 서로 대화를 나누며 피 드백 하도록 하였고 문법, 어휘, 기법적인 오류는 색깔 펜을 이용하여 학습 동료 의 오류를 수정하도록 하였다.

<그림 Ⅲ-3> 동료 피드백 활동 사례 2

4) 영자신문 활용 읽기·쓰기 통합 수업의 교수·학습 과정안

영자신문을 활용한 읽기·쓰기 통합 수업의 교수·학습 과정안 예시를 다음 <표Ⅲ -4>에 제시하여 실제 수업 진행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표Ⅲ-4> 영자신문 활용 배움 중심 수업의 교수·학습 과정안의 예 Title Making Friends, Building Homes Objects Ÿ Students can write an news article.

Materials Pictures, Worksheet, Newspapers, Self-evaluation

Steps Teaching & Learning Activities Materials

Open up

Ÿ Wring the article

- Writing: 사진과 관련한 기사 초고쓰기

배움 중심 수업은 교사와 학생이 교류하고 소통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 로운 지식을 창조함을 추구한다. 이를 위해 다른 사람과 자신의 생각을 나누는 태 도를 형성하는 것은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본 연구자가 서로에게 질문하고 의 견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배움 중심 수업을 실현하기 위하여 교수·학습 과정안 을 설계하고 수업을 진행하는 데 주안을 둔 점은 아래와 같다.

첫째, 학생들이 학습의 주요 내용에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실생활과 연계하여 동기를 유발하거나 삶과 연계한 과제를 제시하여 학습을 통해 실생활과 관련한 사고를 촉진시킨다.

둘째, 학생들이 서로 협력하고 사고를 공유하는 활동을 통해 문법 규칙을 스스로 찾아보도록 한다.

셋째, 학습 내용을 산출물로 도출해내는 글쓰기 활동을 진행할 때 협력을 통해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동료 피드백을 통해 글쓰기 결과물을 검토하고 보완하는 과 정을 거치도록 하여 학습의 전반에 활발한 협력이 일어나도록 한다.

넷째, 경청을 통해 수준 높은 듣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동료가 제시한 의견과 결과물에 대해 충분히 칭찬하는 분위기를 형성하여 학습자 간에 의사소통하는 것 에 대한 거부감과 두려움을 최소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