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융합교육의 의미와 개념

II. 이론적 배경

2. 융합교육의 의미와 개념

가. 통합과 융합교육

융합교육은 학문 분야의 통합(integration)을 통해 적용되고 강조된다(Nicolescu, 2002; NRC, 2014; Yeh, 2015). 교육 분야의 역사에서 살펴보면, ‘통합’은 100년 이상 다루어져 왔으며 현재까지도 큰 연구 동향이고 이슈이다(Berlin, 1991; Berlin & Lee, 2005; Pang & Good, 2000). 역사적으로 1905년에 출판된 문헌에서 수학과 과학 교과 의 통합적 시도를 찾아볼 수 있으며, 그 후 지속적으로 교육과정, 교수·학습, 평가 등 세 부 분야에서 다양한 통합이 실행되고 있다(Berlin, 1991).

학교 교육에서 통합적 접근은 통합의 정도와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고 통합 또는 통합 교육을 의미하는 용어 또한 다양하게 사용되었다(Berlin, 1999; Davison, et al., 1995;

Huntley, 1998; Lonning, et al., 1998; Sanders, 2009; Satchwell, et al., 2002). 예를 들어, Berlin과 Lee(2005)가 분석한 555편의 문헌에서는 ‘transdisciplinary’,

‘multidisciplinary’, ‘linked’, ‘interrelated’,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coordinated’, ‘correlated’, ‘cross-disciplinary’, ‘connections’, ‘fused’,

‘interactions’, ‘united’ 등의 용어가 통합교육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통합에 대한 용어와 유형, 정의도 학자들마다 다소 차이가 있고(Burns, 1995;

Drake, 2000, 2007; Fogarty, 1991, 2009; Harden, 2000; Jacobs, 1989; Vars &

Beane, 2000; Vos, 2010), 통합의 범위, 수준, 방법 등이 다양하기 때문에 공통의 정의 를 도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Czerniak, 2007; Rennie, et al., 2012). 대표적인 통 합의 정의에 대해 살펴보면, Davison et al.(1995)의 경우, 교과 간 통합(예, 수학, 과 학)을 ‘discipline specific integration(교과 중심 통합)’, ‘content specific integration(내용 중심 통합)’, ‘process integration(과정 중심 통합)’,

‘methodological integration(방법적 통합)’ 및 ‘thematic integration(주제별 통합)’

으로 5가지 다른 유형으로 제시하였다. Stember(1991)는 통합을 intradisciplinary, crossdisciplinary, mulitidisciplinary, interdisciplinary, transdisciplinary 등의 유 형으로 구분하였다(그림 Ⅱ-2).

융합교육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결과보고서 (2019. 8.)

[그림 Ⅱ-2] 학문 내·외의 통합 유형(Stember, 1991)

Gresnigt et al.(2014)은 기존 학자들의 통합에 대한 다양한 정의를 토대로 통합의 유 형을 6가지(Isolated, Connected, Nested, Multidisciplinary, Interdisciplinary, Transdisciplinary)로 구분하였다. 이 유형은 교사나 학생에게 필요한 요구 사항이나 기회 제공의 정도에 따라 구분하였다.

[그림 Ⅱ-3]과 같이, Isolated(cellular/fragmented) 유형에서 Transdisciplinary 유 형으로 갈수록 학생들에게 21세기에 필요한 기술, 교육과정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등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더욱 많이 제공하며, 교사들에게는 교원 전문성 개발 지원, 통합 교육을 위한 지속적인 학교의 시설 개선 등이 더욱 요구된다. 통합 유형은 계단 형태가 되며, 단계가 올라갈수록 통합의 수준이 높아지고 통합의 유형이 포괄적이고 복잡성을 갖게 된다.

[그림 Ⅱ-3] Model of integrated curricula(Gresnigt, et al., 2014)

Ⅱ. 이론적 배경

Isolated 유형은 교과목이 분리되어 있고 전통적인 교수법에 초점을 두고 있다.

Connected(교과 연계 통합) 유형은 교사의 활동으로 수행되는 통합 교육 방식이다. 예 를 들어, 과학, 수학은 독립적으로 존재하지만, 교사가 지난 시간의 수학 수업과 오늘의 과학 수업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방식이다. 다음으로 Nesting and Fusion(교과 내 통 합) 유형은 한 과목의 목표가 다른 과목의 수업 내에 완전히 자리 잡는(nesting) 방식으 로 통합되는 교육 방식이다.

Multidisciplinary(다학문적 통합) 유형은 두 가지 이상의 교과목이 주제 중심, 실생 활 문제 중심 또는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통합을 실현하는 방식이다. 다학문적 통합은 개별 과목은 독립적이고 개별적인 교과의 목표를 포함하지만, 통합 교육의 내용과 상황 은 통합하려는 교과목의 요구와 목적을 반영하여 이루어지는 통합 교육이다.

Interdisciplinary(간학문적 통합) 유형은 개별 교과보다는 어떤 주제 중심으로 개념, 기능 등에 초점을 두고, 교사가 개발한 통합적 주제나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통합 교육 을 실행하는 것이다. 끝으로 Transdisciplinary(탈학문적 통합) 유형은 개별 교과를 벗 어나 학생 중심, 실생활 맥락이 특징인 통합 교육 방식이다.

[그림 Ⅱ-4]는 통합의 유형을 학문 분야 간의 위계에 기반하여 제시한 것이다.

[그림 Ⅱ-4] Pictorial summary of the convergent educational trend within the disciplinary hierarchy

이와 같이 통합교육은 교과 간 통합의 방식이나 통합의 정도에 따라 교과 내 통합, 교 과 간 통합, 탈교과 등의 다양한 방식(Gresnigt, et al., 2014)이 제시되었다.

<표 Ⅱ-2>는 통합의 접근 방식을 요약한 것이다.

융합교육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결과보고서 (2019. 8.)

나. 융합(Convergence)과 융합교육(Convergence Education)

융합의 개념은 시대에 따라 변하고 있다. 2003년, ‘Converging Technologies for Improving Human Performance: Nanotechnology, Biotechnology,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gnitive Science(Roco & Bainbridge, 2003)’는 융합을 인간의 실행(performance)을 위한 효율성의 도구로서의 융합 기술(converging technology) 을 융합의 의미로 사용하였다.

2013년, ‘Convergence of Knowledge, Technology, and Society: Beyond Convergence of Nano-Bio-Info-Cognitive Technologies(Roco, et al., 2013)’ 에서 는 지식과 기술, 그리고 사회의 융합을 말하고 있다.

2014년, National Academies of Sciences, Engineering and Medicine(NASEM) 의 보고서 ‘Convergence: Facilitating Transdisciplinary Integration of Life Sciences, Physical Sciences, Engineering and Beyond (NAP, 2014)’와 2016년의 MIT 연구보고서에서는 ‘융합은 미래 건강(Convergence: The Future of Health)’을

구분 내용

Isolated/cellular/

fragmented

Separate and distinct subjects or disciplines. Often viewed as the traditional way of teaching

Connected/aware

Explicit connection is made between the separate disciplines, deliberately relating subjects rather than assuming that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connections automatically

Nested/fused

A skill or knowledge from another discipline is targeted within one subject/discipline. Content from one subject in the curriculum may be used to enrich the teaching of another subject Multidisciplinary Two or more subject areas are organised around the same theme

or topic, but the disciplines preserve their identity

Interdisciplinary

In the interdisciplinary course, there may be no reference to individual disciplines or subjects. There is a loss of the disciplines’ perspectives, and skills and concepts are emphasised across the subject area rather than within the disciplines

Transdisciplinary The curriculum transcends the individual disciplines, and the focus is on the field of knowledge as exemplified in the real world

<표 Ⅱ-2> 통합의 접근 방식 요약 (Gresnigt, et al., 2014)

Ⅱ. 이론적 배경

의미한다(MIT, 2016).

미국의 국가교육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2014)에 서는 ‘융합’이라는 용어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Convergence is an approach to problem solving that cuts across disciplinary boundaries. It integrates knowledge, tools, and ways of thinking from life and health sciences, physical, mathematical, and computational sciences, engineering disciplines, and beyond to form a comprehensive synthetic framework for tackling scientific and societal challenges that exist at the interfaces of multiple fields (NRC, 2014, p. 2).

NRC(2014)에 의하면, 융합은 학문적 경계를 넘어서는 문제 해결을 위한 접근이다.

융합은 생명과학, 물리, 수학, 컴퓨터, 공학 등 학문 분야의 지식, 도구, 사고방식을 통 합하여 여러 분야의 인터페이스에 존재하는 과학적이고 사회적인 문제해결과 도전에 대처할 수 있는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틀을 제공한다. NRC는 생명과학과 다른 분야와의 융합에 초점을 두고 융합의 대표적인 사례를 제시하였다. 예를 들면, 물리, 화학, 수학, 컴퓨터, 공학, 사회과학을 포함하는 다양한 분야와 생명과학의 융합(convergence of the life sciences)은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적인 전략이고 새롭고 혁신적 인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다. 분절된 분야의 개별적인 통찰력과 접근 방법을 아우르는 융합에 의해 인간의 창의력이 발현되어 문제해결에 기여하고, 인간에게 다양한 과학적 이고 사회적인 기회를 제공한다(NRC, 2014).

NRC에서 제시한 융합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면, 미래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융합이 핵심적인 방법과 해결책이 될 수 있고, 융합을 통해 인간의 창의성과 문제해결 력이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 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 NSF)은 ‘Global Perspective in Convergence Education’에서 융합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NSF defines convergence as the deep integration of knowledge, techniques, and expertise from multiple fields to form new and

융합교육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결과보고서 (2019. 8.)

expanded frameworks for addressing scientific and societal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Convergence refers to not only the convergence of expertise across disciplines, but also the convergence of academic, government, and industry stakeholders to support scientific investigations and enable rapid translation of the resulting advances.

With the continued growth in science and engineering knowledge, and the growing evolution toward deep interactions among and between the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convergence is becoming a real challenge to the education communities (NSF, 2017, p.3).

NSF(2017)와 NAP(2014)에 의하면, 융합은 여러 분야에서 과학적이고 사회적인 도전 과 기회를 위한 새롭게 확장된 틀을 구성하기 위해 여러 분야에서의 지식, 기술, 전문성 의 통합으로 정의된다. 또한, 융합은 학문 분야의 융합뿐만 아니라 과학적 탐색을 지원 하고, 그 결과를 신속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학계, 정부, 산업계의 융합을 의 미한다.

그러나 학교 교육에서의 융합적 접근은 새로운 아이디어가 아니다. 교과 내용의 융합 (convergence) 또는 통합(integration)의 개념은 20세기 초에 이미 시작되었고 진보주 의 철학은 융합 또는 통합교육의 기본 이념이 되었다(Dewey & Jackson, 1991;

Oberholzer, 1937; Vars, 1991).

국외의 문헌에 따르면, 국가별, 기관별, 개인별로 다루는 융합교육의 수준, 범위, 문 제점, 영역 등이 차이가 있다(Derrick et al., 2012; Ingber, 2013; NRC, 2014). 융합 교육(convergence education)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문헌도 있지만, 다수의 문헌에 서 융합 또는 융합교육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규정하지 않고 사용한다. 예를 들어, 일부 문헌에서는 융합을 설명하기 위해 convergence라는 용어 대신에 탈학문적 통합 (transdisciplinary integration)이나 탈학문적 교육(transdisciplinary education)이 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이처럼 용어 사용이나 정의의 명확성이 다소 부족하지만, 미래에 우리 학생들이 접하게 될 복잡한 문제 해결을 위해 융합교육(convergence education)이나 탈학문적 교육(transdiciplinary education)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 는 것은 명백하다(Nicolescu, 2002; NRC, 2014; Yeh, 2015).

Ⅱ. 이론적 배경

융합교육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교과 간 융합을 어떻게 이루어내느냐는 것이다. 각 교과의 목표와 성취기준 등을 동시에 고려하여 여러 교과에서 공통적으로 수행해야 할 목표나 성취기준을 탐색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이에 미국은 수학과 영어 과목의 공통핵심 주정부 기준(Common Core State Standards, CCSS)을 만들었고, 차세대 과학기준을 제시하였다(NGSS, 2013).

[그림 Ⅱ-5]는 수학과 영어 과목의 공통 핵심 주정부 기준과 과학의 기준 사이의 공 통 요소의 일부를 제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수학의 CCSS와 과학의 기준 사이의 관련 성을 살펴보면, 모형의 개발과 사용, 수학과 계산적 사고의 이용 등과 관련이 있다. 수 학과 영어의 CCSS와의 관련성으로는, 증거로부터 논쟁에 참여하기, 설명을 만들어 보 고 해결책을 디자인하기, 정보의 획득·가공·소통 등과 관련된다(Angela & Wiggs, 2012; NGSS, 2013).

[그림 Ⅱ-5] CCSSM(CCSS Mathematics Standards) 및 CCSSELA(CCSS English Language Arts Standards)와 Science의 관계(NRC, 2012)

융합교육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결과보고서 (2019. 8.)

NSF(2017)는 기존의 학습이 발견과 이해를 기반으로 한 창조가 목적이었다면, 융합 교육은 합성(synthesis)과 구현(embodiment)을 기반으로 한 창출(emergence)이 목적 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그림 Ⅱ-6).

[그림 Ⅱ-6] 융합교육의 목적(NSF, 2017)

‘창출(emergence)’은 어떤 시스템에 있는 각 부분들의 상호작용을 통합함으로써 전 체로서의 새로운 특성을 갖게 되는 것으로, 이는 복합적 단위의 특별한 조절능력을 통 해 나타난다(네이버 백과사전, 2016).

Sihvola(2014)는 융합교육을 국제디자인경영관리(International Design Business Management, IDBM)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연구하여 그 결과를 발

Sihvola(2014)는 융합교육을 국제디자인경영관리(International Design Business Management, IDBM)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연구하여 그 결과를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