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표 Ⅴ-2-1> 육아공동체 참여 여부

단위: %, (명)

구분 참여경험 있음 참여경험 없음

전체 100.0 (885) 100.0 (473)

성별 남성 21.4 (189) 44.6 (211)

여성 78.6 (696) 55.4 (262)

자녀연령 1

0세 12.3 (109) 9.3 ( 44)

1세 21.0 (186) 15.4 ( 73)

2세 16.9 (150) 18.4 ( 87)

3세 13.9 (123) 14.8 (70)

4세 14.9 (132) 11.4 ( 54)

5세 12.2 (108) 14.6 ( 69)

6세 8.7 ( 77) 16.1 ( 76)

자녀연령 2 영아(0~2세) 50.3 (445) 43.1 (204)

유아(3~6세) 49.7 (440) 56.9 (269)

자녀의 기관 이용

어린이집 등 72.1 (638) 80.8 (1,020)

학원·돌보미 등 11.6 (103) 3.0 (117)

이용안함 16.3 (144) 16.3 (221)

자녀의 기관 이용 시간

2시간 미만 2.4 ( 18) 0.0 ( 0)

2~4시간 미만 17.1 (127) 7.1 ( 28)

4~6시간 미만 12.3 ( 91) 9.3 ( 37)

6~8시간 미만 42.5 (315) 54.0 (214)

8시간 이상 25.6 (190) 29.5 (117)

취업상태

전일제 46.0 (407) 60.9 (288)

시간제+농어민 17.1 (151) 9.3 ( 44)

휴직+무직 36.9 (327) 29.8 (141)

맞벌이 가구

맞벌이 54.8 (475) 49.5 (230)

외벌이 43.6 (378) 49.2 (229)

부부 모두 휴무직 1.6 ( 14) 1.3 ( 6)

거주지역 수도권 45.0 (398) 47.4 (224)

비수도권 55.0 (487) 52.6 (249)

지역특성 82.0 (726) 82.5 (390)

읍면 18.0 (159) 17.5 ( 83)

주: 전체사례수 1,358명. 맞벌이 가구는 유배우자 집단 1,332명에서 구분하였으며, 자녀의 기관이용시간은 기관 및 서비스이용자(어린이집 등+학원,돌보미 등) 집단 1,137명에서 구분함.

자료: 본 연구의 ‘육아공동체 참여실태 및 의향에 대한 주민조사’

다음으로 육아공동체 활동 시작 연령을 조사한 결과 1세가 21.0%로 가장 많았 고 6세가 8.7%로 가장 적었다. 육아공동체 활동 시작 시의 자녀의 평균연령은 2.7 세로 나타났다. 육아공동체 활동 종료 시의 자녀 연령을 살펴보면 6세가 17.6%로 가장 많았고 3세, 4세, 5세가 각 15%정도로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종료 시의 자녀 의 평균연령은 4.0세로 나타났다.

<표 Ⅴ-2-2> 육아공동체 활동 시작 및 종료시 자녀연령

단위: %(명) 구분 0세 1세 2세 3세 4세 5세 6세 7세 8세 9세

이상 계(수) 평균 표준 편차 시작 시 자녀연령 12.3 21.0 16.9 13.9 14.9 12.2 8.7 - - - 100.0 (885) 2.7 1.86 종료 시 자녀연령 2.3 11.4 13.0 15.0 15.0 15.3 17.6 7.2 2.0 1.3 100.0 (307) 4.0 2.06 주: 육아공동체 경험자에 한해 조사하였으며, 이중 종료 시 자녀연령은 현재 활동 중단자에 한함.

자료: 본 연구의 ‘육아공동체 참여실태 및 의향에 대한 주민조사’

육아공동체 참여기간을 분석한 결과 평균 2.7년이었다. 범주별로는 1년 미만이 26.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5년 이상 장기간 육아공동체에 참여한 비율은 11.2%로 나타났다. 그 외 1년~2년 미만, 2~3년 미만, 3~5년 미만의 기간 동안 육아공동체에 참여한 사례는 범주별 약 20% 정도로 고르게 나타났다.

<표 Ⅴ-2-3> 육아공동체 참여기간

단위: %(명)

구분 1년

미만

1~2년 미만

2~3년 미만

3~5년 미만

5년

이상 계(수) 평균(년)

육아공동체 참여기간 26.1 21.7 20.0 21.0 11.2 100.0 (885) 2.7 주: 1) 육아공동체 경험자에 한해 조사함.

2) 현재 활동중단자는 시작년월에서 종료년월로 산정. 현재 활동중인 경우는 시작년월에서 조사년월로 산정함.

자료: 본 연구의 ‘육아공동체 참여실태 및 의향에 대한 주민조사’

참여 육아공동체의 돌봄대상 연령대를 보면 영유아 및 초등아동을 모두 포괄하 는 경우가 39.0%로 가장 많았고 24개월 이상에서 취학 전까지의 영유아 대상이 35.3%, 영유아 대상이 15.4%, 영아 대상이 10.4% 순으로 나타났다.

<표 Ⅴ-2-4> 참여 육아공동체의 돌봄대상 연령대

단위: %(명)

구분 영아

(24개월 미만)

유아 (24개월 이상

~ 취학 전)

영유아

영유아 및 초등아동

모두

계(수)

육아공동체 대상연령 10.4 35.3 15.4 39.0 100.0 (885)

주: 육아공동체 경험자에 한해 조사함.

자료: 본 연구의 ‘육아공동체 참여실태 및 의향에 대한 주민조사’

육아공동체 참여계기를 1순위에서 3순위까지의 중복응답을 고려해 조사한 결과

‘아이의 발달과 성장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72.8%)’가 가장 높았고 ‘돌봄에 필요 한 정보습득을 위해서(45.4%)’, ‘혼자아이를 돌보는 것이 힘들어서(39.2)%’, ‘아이 의 돌봄공백을 해결하기 위해(33.7%)’, ‘부모의 즐거움과 성장에 도움이 될 것 같 아서(31.6%)’ 순으로 나타났다.

<표 Ⅴ-2-5> 육아공동체 참여계기: 순위별

단위: %(명)

구분 1순위 1+2순위 1+2+3순위

아이의 발달과 성장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 46.3(410) 62.1(550) 72.8(644) 돌봄에 필요한 정보습득을 위해 10.1( 89) 34.4(305) 45.4(402) 아이의 돌봄공백을 해결하기 위해 17.6(156) 25.5(226) 33.7(298) 혼자 아이를 돌보는 것이 힘들어서 14.1(125) 29.6(262) 39.2(347) 양육자의 개인 시간 확보를 위해 1.6( 14) 5.6( 50) 9.6( 85) 부모의 즐거움과 성장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 4.2( 37) 16.4(145) 31.6(280) 부부가 함께 돌봄에 참여할 수 있을 것 같아서 1.7( 15) 7.3( 65) 11.9(105) 평소 함께 하는 활동, 공동체에 관심이 있어서 4.1 (36) 12.5(111) 26.9(238)

기타 0.3( 3) 0.3( 3) 1.0( 8)

(사례수) 100.0(885) (885) (885)

주: 육아공동체 경험자에 한해 조사함.

자료: 본 연구의 ‘육아공동체 참여실태 및 의향에 대한 주민조사’

[그림 Ⅴ-2-1] 육아공동체 참여계기 (1+2+3순위)

단위: %

주: 육아공동체 경험자에 한해 조사함.

자료: 본 연구의 ‘육아공동체 참여실태 및 의향에 대한 주민조사’

육아공동체 참여계기를 특성별로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자녀연령별 로는 모든 연령에서 ‘아이의 성장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의 응답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난 가운데, 그 다음으로는 영아 부모의 경우 ‘혼자 양육하는 것이 힘들어서’의 응답 비중이 18.4%로 나타난 데 비해 유아 부모의 경우 ‘아이의 돌봄공백을 해결 하기 위해’의 응답 비중이 20.5%’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 의미하게 나타나 자녀연령별 공동체 참여의 계기가 다른 것이 확인되었다.

기관이용별로 살펴보면 어린이집, 유치원에 다니는 경우와 학원, 아이돌보미, 시 터 등 서비스를 받는 경우에서 육아공동체의 참여계기를 ‘돌봄공백을 해결하기 위 해서’의 응답 비중이 각각 19.3%, 24.3%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기관 및 서비스의 이용의 돌봄이 충분치 않으며 육아공동체 활동이 기관과 서비스에서 해결하지 못 하는 돌봄 공백을 해결하는 데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표 Ⅴ-2-6> 육아공동체 참여계기: 특성별

단위: %(명)

구분

아이 성장 도움 될 것

같아

돌봄 필요 정보 습득

위해

아이 돌봄 공백 해결 하기 위해

혼자 육아 하는 것이 힘들 어서

양육 개인 시간 확보

위해

부모 즐거 움, 성장 도움 될 것

같아

부부 함께 돌봄 참여 가능 해 보

여서 평소 공동 체에 관심

있어

기타 계(수)

전체 46.3 10.1 17.6 14.1 1.6 4.2 1.7 4.1 0.3 100.0(885) 자녀연령1

0세 45.9 11.9 17.4 19.3 0.9 2.8 0.0 1.8 0.0 100.0(109) 1세 47.3 10.8 10.8 18.3 2.2 4.3 1.6 4.3 0.5 100.0(186) 2세 47.3 6.0 18.0 18.0 0.0 3.3 2.0 5.3 0.0 100.0(150) 3세 48.8 8.9 18.7 10.6 3.3 3.3 3.3 3.3 0.0 100.0(123) 4세 40.9 11.4 26.5 9.1 0.8 4.5 2.3 4.5 0.0 100.0(132) 5세 46.3 13.0 16.7 8.3 1.9 8.3 0.9 3.7 0.9 100.0(108) 6세 48.1 9.1 18.2 11.7 2.6 2.6 1.3 5.2 1.3 100.0( 77)

(df) 53.141(54)

자녀연령2

영아(0-2세) 47.0 9.4 14.8 18.4 1.1 3.6 1.3 4.0 0.2 100.0(445) 유아(3-6세) 45.7 10.7 20.5 9.8 2.0 4.8 2.0 4.1 0.5 100.0(440)

(df) 19.022(9)*

기관이용

주: 육아공동체 경험자에 한해 조사함 / 1순위 응답자에 한해 분석함.

자료: 본 연구의 ‘육아공동체 참여실태 및 의향에 대한 주민조사’

* p < 0.05, *** p < .001.

나. 참여활동의 내용

육아공동체의 활동은 장소운영이나 조직체계에 따라 활동내용과 범위가 달라진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돌봄 활동에 대해 육아공동체의 주된 활동이 부모 들의 자녀양육을 위한 자조모임(이하 ‘부모 자조모임’)의 형태를 띠는지 혹은 일정 한 돌봄장소가 있고 조직(단체,기관,센터 등)을 통해 운영되는 모임(이하 ‘돌봄장소 가 있는 공동체조직’)인지 묻고, 활동 형태에 따라 차별적으로 파악하였다. 즉, 영 유아돌봄 활동에 대해서는 내용을 달리 구성하고 부모 자조모임의 경우 돌봄공간 을 따로 두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해 주된 돌봄장소를 추가로 조사하였다. 또한 ‘돌 봄장소가 있는 공동체조직’에 대해서는 공간 및 상주 인력 등 운영에 대한 내용과 참여자들의 돌봄공간 운영에 대한 참여활동을 추가로 조사하였다.

우선, 참여 육아공동체의 형태에 대해 부모 자조모임이라 응답한 비중은 전체 중 61.4%였으며 일정한 돌봄장소가 있고 조직(기관,센터)을 통해 운영된다고 응답 한 비중은 38.6%로 나타나, 자조모임의 비중이 22.8%p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구분

아이 성장 도움 될 것

같아

돌봄 필요 정보 습득

위해

아이 돌봄 공백 해결 하기 위해

혼자 육아 하는 것이 힘들 어서

양육 개인 시간 확보

위해

부모 즐거 움, 성장 도움 될 것

같아

부부 함께 돌봄 참여 가능 해 보

여서 평소 공동 체에 관심

있어

기타 계(수)

어린이집 등 45.9 10.2 19.3 13.8 1.4 4.2 1.6 3.4 0.2 100.0(638) 학원·돌보미 등 32.0 14.6 24.3 12.6 3.9 3.9 3.9 4.9 0.0 100.0(103) 이용안함 58.3 6.3 5.6 16.7 0.7 4.2 0.7 6.3 1.4 100.0(144)

(df) 45.787(18)***

<표 Ⅴ-2-7> 육아공동체 참여형태

단위: %(명)

주: 육아공동체 경험자에 한해 조사함.

자료: 본 연구의 ‘육아공동체 참여실태 및 의향에 대한 주민조사’

1) 영유아돌봄 활동

가) 부모 자조모임의 영유아돌봄 활동

부모 자조모임을 활용한 영유아 돌봄 활동 경험을 분석한 결과 부모와 함께 아 이들을 돌본 경험이 있다는 경우가 96.7%로 가장 많았고, 다른 집 아이들을 돌봐 준 경험이 73.1%, 내 아이가 다른 부모로부터 돌봄을 받은 경우가 64.5%로 나타 났다.

특히 부모 없이 다른 집 아이들을 돌봐주고 다른 집 아이가 내 아이를 돌봐주는 품앗이 돌봄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아동 연 령에 따라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내가 다른 집 아이를 돌봐준 경험은 자녀 연령 이 영아일 때보다 유아일 때 10.6%p 높았고, 내 아이가 다른 부모로부터 돌봄을 받는 경우도 자녀연령이 영아일 때보다 유아일 때 8.9%p 높았다.

기관이용별로는 학원, 돌보미 등 서비스 이용자의 경우 부모들과 함께 아이를 돌 보거나 다른 집 아이를 돌봄, 내 아이가 다른 부모로부터 돌봄을 받은 경우의 응답 비중이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을 이용하거나 기관이용을 안하는 경우보다 높게 나타 났다. 이는 앞서 참여계기에서 학원, 돌보미 등의 서비스 이용자들이 돌봄공백 해결 을 위해 육아공동체에 참여하게 되었다는 응답 비중이 높다는 것을 상기할 때 유보 육기관을 이용하지 않는 부모들이 평소 학원, 돌보미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육아공 동체를 통한 돌봄과 연계해 돌봄공백을 해결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취업상태 특성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진 않지만 전일제인 경 우가 98.3%로 휴무직 또는 시간제·농어민의 경우보다 부모 자조모임의 영유아 활 동을 경험한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맞벌이의 경우 내 아이가 다른 부모로

구분 부모 자조모임 일정한 돌봄장소가 있고

조직(기관,센터)을 통해 운영되는 모임 계(수) 육아공동체

참여형태 61.4(543) 38.6(342) 100.0 (885)

부터 돌봄을 받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69.7%로 외벌이인 경우(59.1%)보 다 10.6%p, 부모 모두 휴무직인 경우(42.9%)보다 26.8%p 높았으며 이러한 차이 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Ⅴ-2-8> (부모 자조모임) 영유아돌봄 경험여부

단위: %(명)

주: 육아공동체 경험자 중 참여공동체 형태를 ‘부모 자조모임’으로 응답한 경우에 한해 조사함 자료: 본 연구의 ‘육아공동체 참여실태 및 의향에 대한 주민조사’

† p < .1, * p < 0.05, ** p < 0.01.

구분

부모들과 함께 아이들을 돌봄

내가 다른 집 아이들을 돌봐 줌

내 아이가 다른

부모로부터 돌봄을 받음 계(수)

경험있음 경험없음 경험있음 경험없음 경험있음 경험없음

전체 96.7 3.3 73.1 26.9 64.5 35.5 100.0(543)

자녀연령1

0세 95.6 4.4 70.6 29.4 64.7 35.3 100.0( 68)

1세 96.2 3.8 67.3 32.7 59.6 40.4 100.0(104)

2세 100.0 .0 66.3 33.7 57.1 42.9 100.0( 98)

3세 96.1 3.9 76.6 23.4 68.8 31.2 100.0( 77)

4세 97.7 2.3 79.3 20.7 69.0 31.0 100.0( 87)

5세 95.4 4.6 76.9 23.1 64.6 35.4 100.0( 65)

6세 93.2 6.8 81.8 18.2 75.0 25.0 100.0( 44)

(df) 6.096(12) 8.658(12) 6.905(12) 자녀연령2

영아(0-2세) 97.4 2.6 67.8 32.2 60.0 40.0 100.0(270) 유아(3-6세) 96.0 4.0 78.4 21.6 68.9 31.1 100.0(273)

(df) 0.874(2) 7.774(2)** 4.656(2)*

기관이용

어린이집 등 97.5 2.5 73.5 26.5 65.4 34.6 100.0(393) 학원·돌보미 등 100.0 .0 82.8 17.2 69.0 31.0 100.0( 58)

이용안함 91.3 8.7 65.2 34.8 57.6 42.4 100.0( 92)

(df) 11.027(4)** 5.698(4)† 2.549(4) 취업상태

전일제 98.3 1.7 75.1 24.9 68.0 32.0 (241)

시간제·농어민 95.0 5.0 73.0 27.0 65.0 35.0 (100)

휴무직 95.5 4.5 70.8 29.2 59.9 40.1 (202)

(df) 3.766(4) 1.040(4) 3.201(4)

맞벌이가구

맞벌이 97.6 2.4 76.9 23.1 69.7 30.3 (290)

외벌이 95.7 4.3 69.8 30.2 59.1 40.9 (235)

부부 모두 휴무직 100.0 .0 57.1 42.9 42.9 57.1 (7)

(df) 1.657(4) 4.342(4) 7.746(4)*

부모 자조모임을 통해 영유아 돌봄에 참여한 횟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 저, 내가 다른 집 아이들에게 돌봄을 제공한 횟수를 살펴보면 월 1회 정도가 30.2%로 가장 많았고 월 1회 미만이 29.2%로 나타나 최소 월 1회 이상인 경우가 70.8%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부모들과 함께 아이들을 돌본 횟수를 살펴보면 월 2 회 정도가 30.1%로 가장 많았고 월 1회 미만이 8.6%로 나타나 최소 월 1회인 경 우가 91.4%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 아이가 다른 부모로부터 돌봄을 받은 경우는 월 1회 미만이 35.1%로 가장 많았고 월 1회 정도가 28.6%로 나타나 최소 월 1회 이상인 경우가 64.9%인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Ⅴ-2-9> (부모 자조모임) 영유아돌봄 참여횟수: 전체

단위: %(명)

주: 1) 육아공동체 경험자 중 참여공동체 형태를 ‘부모 자조모임’으로 응답한 경우에 한해 조사함.

2) 해당활동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에 한해 분석함.

자료: 본 연구의 ‘육아공동체 참여실태 및 의향에 대한 주민조사’

돌봄 활동별로 부모 자조모임을 통해 영유아 돌봄에 참여한 횟수를 자녀연령, 기관이용형태, 취업상태에 따라 살펴보면, 본인이 다른 집 아이들을 돌봐준 활동의 횟수는 자녀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 영아 자녀인 경우 월1회 미만의 비율이 34.4%로 가장 많아 유아 자녀인 경우보다 더 드문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분 거의

매일

주3회 정도

주1회 정도

월2회 정도

월1회 정도

월1회

미만 계(수) 내가 다른 집 아이들을 돌봐줌 1.0 6.8 14.4 18.4 30.2 29.2 100.0(397) 부모들과 함께 아이들을 돌봄 3.2 10.5 29.7 30.1 17.9 8.6 100.0(525) 내 아이가 다른 부모로부터 돌

봄을 받음 1.4 3.4 15.1 16.3 28.6 35.1 100.0(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