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 국립중앙도서관의 소장자료 분석

2.2 유형별 현황

2.2.1 전체자료의 유형별 현황

국립중앙도서관이 소장한 전체자료를 유형별로 살펴보면 <표 2-13>과 같다. 2011년 8월 현재 총 3,587,505건 중 단행본이 1,435,063건(40%)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 고 학위논문이 1,176,162건(33%), 마이크로자료가 256,641건(7%)으로 그 다음을 차 지하고 있다.

자료구분 기호 국내서 동양서 일본서 서양서 합계 단행본 MO 997,497 32,433 101,065 304,068 1,435,063

교과서 TX 23,895 115   - 24,010

지도자료 MP 6,037 19   220 6,276

조선총독부 UO 7,848 97,180   1,166 106,194

고서 OL 57,776 17,535   - 75,311

고서마이크로 OF 7,162 48 - - 7,210

녹음자료 MU 189,371 261   533 190,165

마이크로자료 MF 2,178 340 - 254,123 256,641

시청각자료 VM 38,083 42   780 38,905

컴퓨터파일 CF 22,212 121   2,202 24,535

특수도서 SB 1,409 55   3 1,467

특수비도서 SA 1 -   - 1

학위논문 DM 1,156,059 48 130 19,925 1,176,162

아동녹음자료 JM 6,141 1   5 6,147

아동도서 JU 208,132 4,465   19,892 232,489

아동시청각 JV 4,009 -   30 4,039

아동연속 JS - -   - -

아동지도 JP - -   - -

아동컴퓨터 JC 2,864 -   20 2,884

합계   2,730,674 152,663 101,195 602,967 3,587,499

<표 2-13>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전체자료의 유형별 현황

(단위 : 종)

아동연속은 아동관련 연속간행물의 약어이고, 아동지도는 아동용 지도를 의미하지 만 관련 자료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2-8)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전체 자료의 유형별 분포도

(그림 2-9)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전체자료의 유형별 분포비율

위의 분석표에서는 20,000건이 이하의 자료는 모두 수치가 0%에 가깝기 때문에 그 수치 이하의 자료는 0%로 표시되었다.

이 분석데이터는 유형 분류에 있어 아동에 관련된 자료들로 구분이 가능하여 아동 용 자료에 대한 디지털화나 이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 전략 수립의 기초데이터로 활 용할 수 있다. 또한 유형별 분류에서 지도자료를 비롯하여 고서마이크로, 특수비도서 등 여러 유형의 자료가 0%로 조사되어 유형별 구분의 기준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

학위논문의 유형을 석사와 박사로 구분하거나 혹은 다른 유형의 기준을 적용하여 전 체자료의 유형군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2.2.2 국내자료의 유형별 현황

국립중앙도서관이 소장한 자료 중 본 연구의 분석대상인 국내자료를 유형별로 살 펴보면 (그림 2-7)과 (그림 2-8)과 같다. 2011년 8월 현재 국내자료는 총 3,587,505건 가운데 2,730,674건으로 전체자료의 76.1%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자료의 분포에서는 학위논문이 1,156,059(42%)건으로 가장 많고 단행본이 997,497건(33%)으로 그 다음

으로 많으며, 아동도서와 녹음자료가 각각 208,132 건(8%)과 189,371건(7%)을 차지 하고 있다.

(그림 2-10)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국내 자료의 유형별 분포도

이와 같이 국내자료가 압도적으로 많은 이유는 국립중앙도서관이 갖는 납본을 통 한 국가서지를 총망라하여 하는 국가적 책임의 결과이다. 그렇지만 자료의 내용을 살 표보면 학위논문이 42% 차지하여 납본의 주된 자료가 학위논문이기 때문에 한국교 육학술정보원의 dCollection과의 중복여부를 판단하고 중복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 우에는 디지털화를 통한 우리나라 학위논문 총람을 구축할 수 있다. 조선총독부자료 의 경우에는 해당 자료의 증가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조선 총독부에 대한 국립중앙도서관 전체비중은 급격하게 줄어들 것이다. 따라서 조선총 독부자료는 일정 규모의 예산을 지원할 경우에 완성적인 데이터베이스 운용에 큰 도 움이 될 것이다. 고서의 경우에는 고서를 새롭게 발굴이 이루어지더라도 그 양은 극 히 미미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디지털화도 해당 유형이 완료성을 강조할 경우에 의미 를 갖는다. 이러한 것을 고려하면 학위논문도 dCollection의 사업이 보급되기 이전이 자료와 조선총독부자료, 고서의 경우에는 디지털화를 수행할 경우에 이 유형이 완료 되기 때문에 향후 추가적인 사업은 과거의 경우보다 단순화할 수 있다.

(그림 2-11)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국내자료의 유형별 분포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