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 4장 디지털화 프로세스 정립 및 표준화 방안

2. 디지털 콘텐츠 형식 표준화 방식

2.2 국외현황

국외사례의 경우에는 자료의 디지털화에 대해 비교적 상세하게 기준을 다루고 있 는 미국과 캐나다의 예를 조사하였다.

2.2.1 캐나다 국립도서관기록관

캐나다 국립도서관기록관(LAC)은 홈페이지를 통해서 디지털화 프로젝트에서 일 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국제적 디지털화 표준을 제시하고 있다. 자료는 디지털화되 는 자료의 형태로 구분하였다.

구분 보존용(Master Copy) 서비스(Access Copy) 도서 ∙300dpi, 8-bit 컬러

∙JPG

∙300dpi, biotonal

∙OCR의 PDF 연속간행물 ∙300dpi, 24-bit Adobe RGB(1998)

∙TIFF

∙72dpi, color 또는 grayscale

∙JPG 또는 OCR의 PDF 정부발간물/보고서 ∙300dpi, 24-bit Adobe RGB(1998)

∙TIFF

∙72dpi, color 또는 grayscale

∙JPG 또는 OCR의 PDF (Technical Standards for Digital Conversion of Text and Graphic Material)를 작성 하여 이에 따라 진행하고 있다. 이 문서에서는 디지털 계획, 디지털 이미지 캡쳐, 디지 털 파일 관리, 기술 메타데이터, 검증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자료 형태 기대 산출물 해상도 권장 비트심도

인쇄자료 텍스트 이미지 최소한 300ppi 8bit, grayscale

OCR 텍스트 400ppi 8bit, grayscale

음악자료 서비스 (접근) 최소한 300ppi 8bit, grayscale

artifactual features 400ppi 8bit, grayscale

필사본 서비스 (접근) 최소한 300ppi 8bit, grayscale

artifactual features 400ppi 8bit, grayscale

지도 내용 연구 최소한 250 ppi 24bit, color

지도 복제 400ppi 24bit color

사진 서비스 (접근) 최소한 300ppi 8bit, grayscale

복제 최대한의 해상도 최소한 26bit color

그래픽아트 서비스 (접근) 최소한 300ppi 8bit, grayscale

복제 최대한의 해상도 최소한 26bit color

귀중본 artifactual features 최소한 400ppi 24bit color

연구 최소한 600ppi 최소한 26bit color 은 디지털도서관프로젝트(Digital Library Initiatives: DLI)에서 수행하고 있는 디지 털화를 벤치마킹한 것이다. 기본적으로 보존용은 TIFF 파일형식으로, 배포용으로는 JPEG, JPEG2000, PDF 파일을 서비스 하고 있다. 배포형 파일의 형식은 프로젝트 별로 결정하고 있다.

1) 도서자료 및 정지화상 표준

자료형태 비트/ 컬러 픽셀 범위 파일포맷

인쇄자료 8bit grayscale 400ppi 비압축TIFF, IBM PC byte order 필사본/원고 24bit 컬러, 상황에 따라 8bit 가능 최소한 400ppi 비압축TIFF, IBM PC byte order 슬라이드/흑백 8bit grayscale 4000-6000 픽셀 비압축TIFF, IBM PC byte order 슬라이드/컬러 24bit 컬러 4000-6000 픽셀 비압축TIFF, IBM PC byte order 사진/흑백 8bit grayscale/24bit 컬러 4000-6000 픽셀 비압축TIFF, IBM PC byte order 사진/컬러 24bit 컬러 4000-6000 픽셀 비압축TIFF, IBM PC byte order

<표 4-7> 테네시대학의 도서자료 및 정지화상 표준

2) 시청각자료

구분 파일형식 컨테이너 비디오코드 오디오코드 비트비율 FPS 화면

보존용

비디오카메라 DV DV-DIF DV-NTS Linear

PCM오디오 원본 29.97 fps 640×480 픽셀

950kbps-2500kbps 24 fps 원본

<표 4-8> 시청각자료의 디지털화 표준

MP3 44.1 kHz 192 kbps

AAC 48 kHz 192 kbps

2.3 디지털 콘텐츠 형식 표준화 방식

또한 표준을 제안하는데 있어 해상도를 DPI와 PPI로 병용하여 표기하였다. 이는

셤네일 - - ∙96ppi/JPEG ∙96ppi/JPEG

사진

최소한 250 ppi ∙150ppi

∙JPEG

보존용 최소한 600ppi ∙300-600ppi

∙TIFF

∙600-800ppi

∙TIFF

서비스용 최소한 400ppi ∙150ppi

∙JPEG

∙400ppi

∙JPEG/PDF

셤네일 ∙96ppi /JPEG ∙96ppi/JPEG

<표 4-9> 국내외 도서자료 디지털화 표준 비교

2.3.1 도서자료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은 손실 압축 형식이지만 파일 크기가 작 기 때문에 일반 이용자들의 범용적인 적용이 가능하다. 단, 압축률에 따라 파일 크기

2.3.2 동영상 자료

동영상자료에 대한 표준은 DB구축의 표준인 DLI(Digtal Library Initiatives)의 기 준을 충족하고 있는 미국 테네시 대학의 기준을 따라 제시하였다. 기본적인 원칙은

DV DV-DIF DV-NTS Linear

PCM오디오 원본 29.97 fps 640×480 픽셀 4:3 비율 HDV MPEG-2 기본 MPEG-2

Layer-2 원본 24 fps 원본

950kbps-2500kbps 24 fps 원본

22) 구글이 스트리트뷰 미술관기술을 웹에서 구현하고 실제 미술관을 방문한 것과 같은 효과를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가상공간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스트리트뷰'(Streetview)기술을 전세계 유명 미술관의 풍경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아트 프로젝트(Art Project)'를 웹상에서 제공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등 세계 17개 유명 미술관의 내부를 스트리트뷰처럼 보여주는 서비스를 필드로 전세계 17개 미술관의 486명의 화가의 1,061점의 작품을 웹을 통해 열람할 수 있다.

음성 및 오디오는 보존용의 경우에는 웨이브 형식으로 보존하는 것이 미래에 음원 의 보관과 함께 개발에 큰 의미를 갖는다. 단 배포용의 경우에는 사회 각 층에서 사용 하고 있는 MP3형식을 권고하였다. 이는 실제적인 활용도를 고려한 조치이다.

2) 음성 및 오디오 자료

음성 및 오디오 자료를 위한 파일 형식은 WAV파일과 MP3, AAC로 구분하여 제 안한다. WAV파일형태는 어떤 음원으로도 변환이 용이하고 압축율을 최소화하여 파 일크기는 상대적으로 크지만 안정적 음질을 제공하기 때문에 보존용으로 제안한다.

한편 MP3파일 형태와 AAC 파일형태는 파일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배포용 으로 제안한다. 이에 대한 기준은 다음과 같다.

구분 파일형태 주요 예시 비트심도

보존용 WAV 96 kHz 24 bit

WAV 44.1 kHz 16 or 24 bit

배포용 MP3 44.1 kHz 192 kbps

AAC 48 kHz 192 kbps

특히 최근에는 음원의 손실이 적은 AAC형식의 새로운 음원재생파일 형식으로 제안 되고 있다. AAC형식은 MP4를 의미한다. 이 파일형식의 공식 명칭은 MPEG-2 AAC (Advanced Audio Coding)이다. 이를 일반적으로 MPEG-2 NBC(Non Backwards Compatibility)라고 명명한다. MPEG-2 AAC는 파일이름이 길기 때문에 MP3과는 다 른 파일처럼 오해할 수 있어 국내의 모 기업에서 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붙인 이름이다. MPEG-2 AAC(이하 AAC라고 한다)는 MP3처럼 압축된 오디오 테이터이 며 MPEG-2에서 파생되었다. DVD 비디오에서 사용되는 MPEG-2는 MPEG-1에 비 해 4배의 화질과 다중 언어 지원 등으로 성능이 우수하다. AT&T나 톰슨, Fraunhofer 등의 업체가 공동으로 만든 이 규격은 MP3에 비해 음질이 우수하고 압축률이 높다.

왜냐하면 MP3의 데이터 구조가 고정적인 반면 AAC의 데이터는 유동적이기 때문이 다. 자세히 설명하면 MP3은 곡 전체의 정보를 담는 헤더 뒤에 데이터가 프레임이라 는 단위로 저장되기 때문에 프레임의 크기는 고정되어 있어 압축률이 높은 부분에서 도 쓸모 없는 용량을 차지한다. 이에 반해 AAC의 프레임은 가변 구조로 압축률에

따라 크기가 변하므로 전체 파일의 용량이 훨씬 줄어든다. 실제로 MP3 파일과 비교 하면 최대 30%까지 용량을 줄일 수 있다. AAC의 두 번째 장점은 음질에 있다. MP3 에 비해 AAC는 TNS와 프레딕션이라는 두 가지 기법을 통해 음질을 향상한다. TNS (Temporal Noise Shaping)는 양자화 보정 기술로 아날로그의 연속적인 음악 데이터 를 0과 1의 디지털 데이터로 만들 때 생기는 오차를 지능적으로 줄여 잡음을 감소시 키고 원음에 가깝게 만든다. 프레딕션(Prediction)이란 TNS로 보정된 수치를 기억하 는 것으로 앞에서 보정된 정보를 기억하여 다음에 같은 데이터가 나타날 때 기억된 데이터를 사용한다. 이러한 형식은 해당 음원을 접근하는 사용자를 제한하는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조만간 MP4는 점차적으로 MP3를 대체할 것으로 판단한다.

왜냐하면 MP4는 처음부터 저작권 복제 방지 시스템을 고려하여 개발한 파일형태이 다. 사용자마다 인증된 키를 주고 곡을 다운로드할 때 키에 맞는 암호를 걸어 배포한 다. 즉 인증된 소프트웨어에서는 음악 파일을 재생할 수 있지만, 인증받지 못한 플레 이어에서는 원래 음을 청취할 수 없도록 하였다. 또한 인증 키는 한번 설치하면 없어 지기 때문에 최초 다운로드 혹은 접근한 이용자에게만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런 장점이외에 단점으로는 인코딩 시간이 느린 점이다. 원음을 AAC 포맷으로 만드 는 인코딩 시간이 MP3에 비해 최대 10배 이상 느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작권관 리와 음질의 향상 등을 고려하면 AAC 방식을 향후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 음원의 배포용으로 의미를 갖는다고 판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