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국내외 도서관 디지털화 현황

1.1 국내 현황

1.1.1 국가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국가지식정보관리사업1)은 국가적으로 보존 및 이용가치가 높은 지식정보자원의 디지털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지식정보자원 효용가치의 극대화를 하는 것을 목적 으로 하고 있으며 1999년 정보화근로사업의 형태로 지식정보DB 확충 및 연계활용체 계 구축 사업이 시작되었으며 2000년 1월 ‘지식정보자원관리법’이 제정되고 이후 동 법시행령과 시행규칙의 제정이 이루어졌으며 이 법에 따라 ‘지식정보자원관리기본계 획’(2000.9)이 수립되면서 ‘국가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국가지식정보자원관리 사업은 DB구축의 필요성이 높은 분야를 선정하여 진행하는 데, 1999년 국가지식정보자원관리 사업을 시작할 당시에는 우선적으로 사회적 지식 증대 효과가 큰 학술․연구 및 과학․기술정보, 디지털화의 필요성은 크나 상업성을 이유로 민간이 추진하기 어렵거나 디지털화가 뒤로 미루어진 한국학 혹은 문화재 및 문화․예술, 국가적 문화유산, 역사․지리 등 우리나라를 해외에 소개하는 영문 DB 를 전략적으로 선정해서 구축하였다. 2000년에는 시장가치가 높고 기술혁신의 기반 이 되는 과학기술 분야(정보통신분야 포함), 기초학문 연구와 지식창출의 기반이 되

1) 국가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은 부처 통폐합 및 공공기관 통합에 의한 조직개편으로 기존 행정안전부에서 추진 중이던 행정정보DB 구축 사업과 2008년 2월 ‘국가DB구축 사업’으로 통합되었다.

는 교육학술 분야, 국가적 보존가치가 높은 고도서․고문서 등의 실물자료를 대상으 로 하는 역사 분야, 그리고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문화 분야로 재선정하여 DB를 구축하였으며 이러한 보존 및 이용가치가 높은 지식정보자원을 디지털화하고 디지털화된 지식정보자원의 체계적인 유통기반을 마련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2) 이 사업으로 구축된 DB는 국가지식포털에서 검색 및 열람이 가능하다.

1) 국가지식포털3)

국가지식자원은 우리나라의 국가기관들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 학술, 행정 자료들 을 온라인을 통해 공유할 수 있도록 전산화한 것을 의미하며, 1999년 국가정보화 종 합계획에 의거 지식정보화 사업이 시작되면서 우리나라의 지식정보자원의 디지털화 와 함께 자원 보유기관과의 연계 노력이 시작되었다. 기존 국가 DB는 지식정보 DB와 행정정보 DB가 분리되어 구축되다가 2008년 부처 간 통합 과정에 의해 DB 구축사업 이 일원화되어 관리되기 시작했다.

지식정보 DB는 국가 지식정보자원관리 사업에서 전략적 DB 구축 분야를 선정하여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온라인 대국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DB이며, 행정정보 DB 는 행정안전부 중심으로 주요 기관 기록물, 통계 정보, 국정홍보자료, 행정기본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다. 전문정보기관에서 구축된 지식정보를 통합 구축한 지식정보 DB 는 메타데이터를 통합하여 국가지식포털 사이트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행 정정보 DB는 개인 사생활 보호 및 비공개 행정정보 포함 등의 문제로 구축 및 서비스 범위가 제한적인 정보가 존재하며 행정안전부 중심으로 주요 기관 기록물, 통계관련 정보, 국정홍보자료, 행정기본정보 등을 포함하기 때문에 일부 자료만 제공하고 있다.

국가지식포털은 국가지식정보 DB를 서비스하는 대표 사이트로 행정안전부의 감독 아래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운영하고 있으며 국가차원에서 보존과 이용가치가 높은 양 질의 지식정보자원을 모든 기관과 국민이 국가지식 정보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통 합검색을 제공하고 있다.

2) 한국정보문화진흥원(2006.11).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의 투자효과 분석과 장기발전방안」.

3) <http://www.knowledge.go.kr>.

(1) 국가지식포털 DB 구축 현황

(2) 유형별 지식정보 현황

지식정보DB 유형 구축 건수

1) 장서현황

단행본 1,663,417책 한국어(75%) 2,419,426책 사회과학(48%) 1,537,376책 석박사학위논문 1,212,003책 영어(13%) 429,784책 인문과학(27%) 869,791책 제본정기간행물 315,878책 일어(8%) 251,863책 순수․응용과학(24%) 784,124책 기타자료 38,233책 기타(4%) 128,458책 기타(1%) 38,240책

소계 3,229,531책

역점을 두고 추진하고 있다. 특히 국회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주요자료를 디지털화한

일반도서 116,059 31,973,140 TIFF, PDF

고서 101 75,560 TIFF

입법부발간자료 13,810 74,781 PDF

비도서 자료 9,997 162,338 TIFF, PDF

세미나 자료 29,096 2,174,213 TIFF, PDF

학위논문 732,234 63,831,032 TIFF, PDF

학술지 국내학술지 1,044,210 21,805,706 TIFF, PDF

해외소재한국관련자료 3,535 538,373 TIFF

인터넷자원 254,383 9,710,450 PDF

외국법률 번역법률 3,622 160,814 PDF

최신법률소식 2,194 49,383 PDF

참고데이터 DB 151,588 181,906 PDF

폐간신문 23,377 344,487 TIFF

합계 2,384,206 131,082,183

자료명 원문DB 구축건수 음성지원 건수 비고

4) 이용

국회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원문 중 저작물이용허락 동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자료는 국회도서관 및 국회도서관과 협약된 도서관에서만 이용이 가능하며, 저작권 침해의 소지가 없는 자료는 국회도서관 홈페이지의 전자도서관시스템 및 포털에서 로그인 후 인터넷에서 열람이 가능하다.

1.1.3 동북아역사재단의 독도연구소6)

동북아역사재단7)은 동북아시아의 역사문제 및 독도 관련 사항에 대한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연구․분석과 체계적․전략적 정책개발을 수행함으로써 바른 역사를 정립하 고 동북아시아 지역의 평화 및 번영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8)으로 설립된 국가 기구로 동북아시아 고대사 연구, 이웃나라의 한국관 연구와 대응, 독도에 관한 학제적 연구, 동해 명칭의 국제적 확산, 종합적이고 유기적인 ‘동아시아상’의 모색, 한․중․일 공동의 역사인식 지향, 학술교류와 역사화해, 시민사회의 교류와 협력강화라는 활동 방향을 가지고 있다.

동북아역사재단의 홈페이지에서는 고구려 벽화에 관한 정보와 위안소지도, 한일회 담 외교문서 DB, 동북아역사논총과 영문저널의 원문, 한일역사 공동연구보고서의 원 문 등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동북아 역사에 관련된 자료 가운데에서도 일본과 계속 되는 갈등을 빚으며 전 국민적인 관심을 받는 ‘동해’ 표기문제와 ‘독도’ 영유권 분쟁 관련 자료는 동북아역사재단이 독도문제에 대한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연구․분석과 전략․정책 대안의 개발 및 대정부 정책건의와 동해․독도 표기에 관련된 체계적인 오류를 시정하는 활동을 목적으로 2008년 설립한 독도연구소의 홈페이지를 통해 이 용할 수 있다.

6) <http://www.dokdohistory.com>.

7) <http://www.historyfoundation.or.kr>.

8) 동북아역사재단 설립․운영에 관한 법률.

사이버

2) 이용

독도연구소의 홈페이지에서 제공하고 있는 자료는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하다.

(그림 2-1) 독도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