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유형별 체형 특성

IV. 연구결과 및 고찰

3) 유형별 체형 특성

(1) 20대

군집분석 후 20대의 유형별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주성분 점수에 따른 유형의 집단 간 평균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 과 <표 65>와 같다. ‘몸통의 크기 및 굵기’(F=59.65, p<.001), ‘허리의 잘록한 정 도’(F=30.555, p<.001), ‘젖가슴의 처진 정도’(F=28.296, p<.001), ‘목밑둘레 크기 및 겨드랑둘레 크기와 형태’(F=28.381, p<.001), ‘젖가슴 크기 및 돌출 정 도’(F=13.452, p<.001), ‘젖가슴 부위의 몸통 두께’(F=31.122, p<.001), ‘상반신 몸통 젖힌 정도’(F=19.161, p<.001), ‘어깨의 솟은 정도’(F=49.562, p<.001), ‘어깨 부위 젖힌 정도’(F=22.38, p<.001), ‘상반신 몸통 짧은 정도’(F=20.462, p<.001), ‘어깨 크 기’(F=24.035, p<.001)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 모 형의 효과의 크기인 η2는 최소 0.12로 매우 큰 실제적 유의성을 보여주어 실제적 으로도 유형이 잘 분류가 되었다.

구체적으로 어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Duncan과 Games-Howell 방법에 의한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표 65)-(표 66), ‘몸통의 크 기 및 굵기’ 항목에서는 유형1, 2, 5, 6이 가장 큰 집단이며, 유형7이 2번째, 유형 4가 가장 작은 집단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두 집단 간 평균차이에 대한 ES인 Cohen의 d는 유형4 집단을 통제집단으로 간주하여 유형7 집단 간 평균차 이는(이하 ‘유형4와 유형7 집단 간에는’이라고 줄임.) 0.55로 중간정도 차이이며, 유형1, 2, 5, 6 과 유형7 집단 간에는 최소 0.61 이상으로 차이가 컸으며, 그 외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집단 간에는 최소 1.1 이상으로 실제적 유의성은 매우 컸다.

‘허리의 잘록한 정도’ 항목에서는 유형2, 5, 6이 가장 큰 집단이며, 유형3과 유 형4가 2번째, 유형1과 유형7이 가장 작은 집단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Cohen의 d는 유형1과 유형3, 4의 각 집단 간에는 0.54, 0.65이며, 유형3, 4와 유형 7의 각 집단 간에는 0.52, 0.58로 중간정도의 차이이며, 유형2와 유형3의 집단 간 에는 0.92로 큰 차이이며, 유형3과 유형5, 6의 각 집단 간 평균 차이는 0.72, 0.73 으로 큰 차이에 가까우며, 유형4와 유형5, 6 각 집단 간에는 0.6, 0.62로 중간보다

요인명칭 유형

Duncan test 결과 A<B<C<D<E Games-Howell test 결과 a<b

표 65. 20대 여성의 유형 집단 간 주성분점수의 차이 검증

평균차(d)

평균차(d)

요인명칭 유형 통제집단

1 2 3 4 5 6

어깨 부위 젖힌 정도

2 .94 (1.05)

3 .57 ( .64) -.36 ( .42)

4 -.04 ( .04) -.98 (1.13) -.61 ( .72)

5 .93 (1.05) 0 (0) .36 ( .43) .97 ( .90)

6 .16 ( .18) -.78 ( .90) -.41 ( .49) .2 ( .18) -.78 ( .83)

7 1.02 (1.15) -.09 ( .10) -.45 ( .53) -1.06 ( .99) -.09 ( .09) -.86 (1.01)

상반신 몸통의 짧은 정도

2 -.11 ( .12)

3 -.1 ( .11) .02 ( .02)

4 -.79 ( .87) -.68 ( .75) -.7 ( .73)

5 -1.2 (1.32) -1.08 (1.19) -1.1 (1.15) -.4 ( .46)

6 -.56 ( .61) -.45 ( .49) -.46 ( .48) .24 ( .27) .64 ( .81)

7 -.4 ( .44) .29 ( .32) .31 ( .32) -.39 ( .44) -.79 (1.00) -.15 ( .15)

어깨 크기

2 .87 ( .77)

3 1.18 (1.05) .31 ( .39)

4 1 ( .89) .13 ( .16) -.18 ( .19)

5 1.34 (1.19) .47 ( .59) .16 ( .17) .34 ( .47)

6 .45 ( .40) -.42 ( .53) -.72 ( .75) -.54 ( .74) -.89 ( .91)

7 1.34 (1.19) -.47 ( .59) -.16 ( .17) -.34 ( .46) 0 (0) -.88 ( .96)

표 66. 계속

으로 유형7에 비해 차이가 적었다. 그 외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집단 간에는 매 우 큰 실제적 유의성을 보여주었다.

‘목밑둘레의 크기 및 겨드랑둘레의 크기와 형태’ 항목에서는 유형 2가 가장 큰 집단이며, 유형3이 2번째, 유형7이 3번째, 유형6 집단이 가장 작은 집단으로 유의 한 차이가 있었으며, Cohen의 d는 유형6과 유형7의 집단 간에는 0.5이며, 유형3 과 유형7의 집단 간에는 0.62, 유형2와 유형3의 집단 간에는 0.47로 실제적 유의 성은 중간정도의 크기를 나타내었고, 그 외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집단 간에는 매우 큰 실제적 유의성을 보여주었다.

‘젖가슴 크기 및 돌출 정도’ 항목에서는 유형 7이 가장 큰 집단이며, 유형4가 2 번째, 유형1, 2, 5, 6집단이 가장 작은 집단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Cohen 의 d는 유형1, 2, 5, 6과 유형 4와의 집단 간에는 각각 0.54, 0.63, 0.44, 0.66으로 중간정도의 차이를 보였고, 유형 4와 유형7의 집단 간에는 0.31로 차이가 적었다.

그 외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집단 간에는 매우 큰 실제적 유의성을 보여주었다.

‘젖가슴 부위의 몸통 두께’ 항목에서는 유형4가 가장 큰 집단이며, 유형2, 3이 2번째, 유형7이 3번째, 유형1, 5, 6집단이 가장 작은 집단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 었으며, Cohen의 d는 유형1, 5, 6과 유형7의 집단 간에는 각각 0.56, 0.28, 0.5로

유형5와 유형 7집단 간에는 차이가 적었고, 유형1, 6과 유형7 집단 간에는 중간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유형2, 3과 유형7의 집단 간에는 0.39, 0.67로 유형2와 유 형7의 집단 간에는 중간정도의 차이를 보였으며, 유형4와의 평균차이는 각각 0.7 0.38로 유형2와 유형4의 집단 간에는 큰 차이를 나타내었지만, 유형3과 유형4 집 단 간에는 낮은 차이를 보였다. 그 외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집단 간에는 매우 큰 실제적 유의성을 보여주었다.

‘상반신 몸통의 젖힌 정도’ 항목에서는 유형7이 가장 큰 집단이며, 유형1, 6이 2번째, 유형4가 가장 작은 집단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Cohen의 d는 유형1 과 유형4, 유형4와 유형6의 집단 간에는 각각 0.43, 0.46으로 중간 정도의 차이를 보여주었고, 유형1과 유형7, 유형6과 유형7의 집단 간에는 0.44, 0.32로 유형1과 유형7의 집단 간에는 중간정도 차이이며, 유형6과 유형7의 집단 간에는 중간보다 차이가 적었고, 유형2와의 평균차이는 각각 0.4, 0.48로 중간정도 차이를 나타내 었으며, 유형4와 유형5와의 집단 간에는 0.34로 중간보다 적은 차이를 보여주었 다. 그 외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집단 간에는 매우 큰 실제적 유의성을 보여주었다.

‘어깨의 솟은 정도’ 항목에서는 유형5가 가장 큰 집단이며, 유형4가 2번째, 유 형1, 6이 3번째, 유형7이 4번째, 유형2가 가장 작은 집단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 으며, Cohen의 d는 유형2와 유형7과 집단 간에는 1.03으로 매우 큰 차이를 보였 고, 유형1, 6을 통제집단으로 유형7과의 평균차이는 0.44, 0.32로 유형1과 유형7의 집단 간에는 중간정도 차이이며, 유형6과 유형7의 집단 간에는 중간보다 차이가 적었고, 유형2와의 평균차이는 각각 0.4, 0.48로 중간정도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유형4와 유형5의 집단 간에는 0.34로 중간보다 작은 크기를 보였다. 그 외의 유 의한 차이가 있는 집단 간에는 매우 큰 실제적 유의성을 보여주었다.

‘어깨 부위 젖힌 정도’ 항목에서는 유형1, 4, 6이 가장 큰 집단이며, 유형3이 2 번째, 유형2, 5, 7이 가장 작은 집단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Cohen의 d는 유형2와 유형3, 유형3과 유형5, 유형3과 유형7의 집단 간에는 각각 0.42, 0.43, 0.53으로 중간정도의 차이를 보였고, 유형1과 유형3, 유형3과 유형4, 유형6과 유 형7 집단 간에는 각각 0.64, 0.72, 1.01로 유형1과 유형3, 유형3과 유형4 집단 간 에는 중간보다 큰 차이를 보였으며, 유형6과 유형7 집단 간에는 실제적 유의성이

보여주었다.

‘상반신 몸통의 짧은 정도’ 항목에서는 유형5가 가장 큰 집단이며, 유형4가 2번 째, 유형7이 3번째, 유형1, 2, 3이 가장 작은 집단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Cohen의 d는 유형1, 2, 3과 유형7 집단 간에는 각각 0.44, 0.32, 0.32로 중간보다 차이가 적었고, 유형4와 유형7집단 간에는 0.44로 중간정도의 차이를 보였으며, 유형4와 유형5는 0.74로 큰 차이를 보였다. 그 외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집단 간 에는 매우 큰 실제적 유의성을 보여줬다.

‘어깨 크기’ 항목에서는 유형5가 가장 큰 집단이며, 유형4가 2번째, 유형7이 3 번째, 유형1, 2, 3이 가장 작은 집단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Cohen의 d는 유형1, 2, 3과 유형7 집단 간에는 각각 0.44, 0.32, 0.32로 중간보다 차이가 적었 고, 유형4와 유형7집단 간에는 0.44로 중간정도의 차이를 보였으며, 유형4와 유형 5는 0.74로 큰 차이를 보였다. 그 외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집단 간에는 매우 큰 실제적 유의성을 보여주었다.

(2) 30대

군집분석 후 30대의 유형별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주성분 점수에 따른 유형의 집단 간 평균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 과 <표 67>과 같다. ‘몸통의 크기 및 굵기’(F=76.105, p<.001), ‘젖가슴 크기, 돌 출, 처진 정도’(F=29.031, p<.001), ‘허리의 잘록한 정도’(F=44.291, p<.001), ‘겨드 랑 둘레 크기 및 어깨의 좁음에 따른 솟은 정도’(F=50.875, p<.001), ‘상반신 몸통 의 크기와 젖힌 정도’(F=12.622, p<.001), ‘젖가슴 부위의 몸통 두께’(F=90.905, p<.001), ‘어깨 크기 및 숙인 정도’(F=50.928, p<.001), ‘상반신 몸통 짧은 정 도’(F=21.452, p<.001), ‘어깨부위 젖힌 정도’(F=45.252, p<.001) 모든 항목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 모형의 효과의 크기인 η2는 ‘상반신 몸통의 두께 및 숙인 정도’ 항목에서 0.09로 중간보다 큰 실제적 유의성을 보여주었고, 나머지 항목에서는 0.14 이상으 로 크거나 매우 큰 실제적 유의성을 보여주어 비교적 유형 분류가 잘 되었음을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어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Duncan과

요인명칭 유형

Duncan test 결과 A<B<C<D<E Games-Howell test 결과 a<b<c<d

표 67. 30대 여성의 유형 집단 간 주성분점수의 차이 검증

평균차(d)

6의 집단 간에는 각각 1.14, 1.1로 크거나 매우 큰 실제적 유의성을 보여주었다.

‘허리의 잘록한 정도’ 항목에서는 유형6이 가장 큰 집단이며, 유형1, 4가 2번째, 유형2가 3번째, 유형3이 4번째, 유형5가 가장 작은 집단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 으며, Cohen의 d는 유형1, 4와 유형6의 집단 간에는 각각 0.57, 0.44로 중간정도 의 차이를 보였으며, 유형1과 유형2, 유형2와 유형4의 집단 간에는 0.41, 0.66로 중간보다 적거나 큰 차이를 보였으며, 유형2와 유형3 집단 간에는 0.28, 유형3과 유형5의 집단 간에는 0.34로 차이가 적었다. 그 외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집단 간에는 매우 큰 실제적 유의성을 보여주었다.

‘겨드랑 둘레 크기 및 어깨의 좁음에 따른 솟은 정도’ 항목에서는 유형5, 6이 가장 큰 집단이며, 유형3이 2번째, 유형2가 3번째, 유형4가 4번째, 유형1이 가장 작은 집단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Cohen의 d는 유형3과 유형5, 6 집단 간 에는 각각 0.27, 0.4이며, 유형2와 유형3 집단 간에는 0.34, 유형2와 유형4의 집단 간에는 0.33, 유형1과 유형4의 집단 간에는 0.57로 유형1과 유형4는 중간정도의 차이를 보였으나 나머지 집단 간에는 차이가 적었다. 그 외의 유의한 차이가 있 는 집단 간에는 매우 큰 실제적 유의성을 보여주었다.

‘상반신 몸통 크기와 젖힌 정도’ 항목에서는 유형4가 가장 큰 집단이며, 유형5 가 2번째, 유형2, 3, 6집단이 가장 작은 집단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Cohen 의 d는 유형4와 유형5 집단 간에는 0.29로 차이가 적었고, 유형2와 유형5, 유형3 과 유형5, 유형5와 유형6 집단 간에는 각각 0.35, 0.57, 0.48로 유형4와 유형5는 차이가 적었고, 나머지는 중간 정도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그 외의 유의한 차이 가 있는 집단 간에는 큰 실제적 유의성을 보여주었다.

‘젖가슴 부위의 몸통 두께’ 항목에서는 유형5가 가장 큰 집단이며, 유형1, 6이

‘젖가슴 부위의 몸통 두께’ 항목에서는 유형5가 가장 큰 집단이며, 유형1, 6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