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블라우스 착용 시 신체 부위별 불편정도 차이 검증

IV. 연구결과 및 고찰

2) 블라우스 착용 시 신체 부위별 불편정도 차이 검증

(1) 컵크기

블라우스 착용 시 신체 부위별 불편정도에 따른 컵크기 집단 간 평균의 차이 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표 31), 그 결과 목부위 (F=6.898, p<.01), 진동둘레(F=4.428, p<.05), 겨드랑앞벽사이길이(F=9.391, p<.001), 젖가슴둘레(F=18.868, p<.001), 허리둘레(F=6.318, p<.01), 엉덩이둘레(F=7.775, p<.001), 어깨사이길이(F=3.369, p<.05), 위팔둘레(F=5.537, p<.01), 소매밑단둘레 (F=4.107, p<.05)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 모형의 효과 의 크기인 η2는 젖가슴둘레 0.18로 실제적 유의성이 매우 컸고, 목부위 0.07, 겨 드랑앞벽사이길이 0.10, 허리둘레 0.07, 엉덩이둘레 0.08, 위팔둘레 0.06으로 중간 정도의 실제적 유의성을 보였고, 소매밑단둘레 0.05, 진동둘레 0.05, 어깨사이길이 0.04로 실제적 유의성은 차이가 작았다.

효과의 크기인 η2는 일원배치 분산분석에서는 주효과로 종속변수의 전체 변량 중 해당 효과에 의해 설명 또는 예측되는 비율을 나타내며 Howell의 r-family에 해당한다. Cohen은 0.01이면 소효과, 0.06이면 중효과, 0.14를 대효과로 제시하였 다. 또한 d는 두 집단 평균비교에 대한 효과의 크기를 말하며 Howell의 d-family에 해당한다. Cohen은 d(또는 g)가 0.2정도를 소효과, 0.5정도를 중효과, 0.8정도를 대효과로 분류하였다(임시혁, 2015, pp. 46-48).

구체적으로 어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등분산이 가 정된 항목의 Duncan 방법과 등분산이 가정되지 않는 항목의 Games-Howell 방 법에 의한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표 31)-(표 32), 허리둘레 항목에서는 C, D컵 집단(Mean=2.84, S.D.=.64)이 불편정도가 가장 높았고, 목부위 항목에서는 B컵

변수 브래지어 컵크기

F ES(η2) A

(n=87) B

(n=61) C, D (n=32) 목부위 2.20 (1.02) 2.78 ( .88) 2.48 ( .81)

6.898** .07

A B AB

겨드랑둘레 2.45 ( .94)A 2.85 ( .92)B 2.88 ( .79)B 4.428* .05 겨드랑앞벽사이길이 2.35 ( .89) 2.88 ( .80) 2.93 ( .75)

9.391*** .10

a b b

젖가슴둘레 2.42 (A .96) 3.13 (B .93) 3.44 (B .76) 18.868*** .18 허리둘레 2.28 ( .89) 2.63 ( .78) 2.81 ( .64)

6.318** .07

a ab b

엉덩이둘레 2.23 (a .94) 2.67 (b .82) 2.84 (b .64) 7.775*** .08 어깨사이길이 2.73 (1.03)A 2.77 (A .83) 3.22 (B .83) 3.369* .04 겨드랑뒤벽사이길이 2.47 ( .94) 2.67 ( .80) 2.77 ( .72) 1.863 .02 옷길이 2.93 (1.04) 2.87 ( .96) 3.03 ( .87) .289 .00 위팔둘레 2.42 (1.00) 2.85 ( .82) 2.9 ( .75)

5.537** .06

a b b

소매밑단둘레 2.23 (A .86) 2.57 (B .67) 2.58 (B .76) 4.107* .05 소매길이 2.83 (1.08)  2.82 ( .91) 2.71 ( .90) .165 .00

***p<.001, **p<.01, *p<.05 Duncan test 결과 A<B Games-Howell test 결과 a<b

표 31. 블라우스 착용 시 신체 부위별 불편정도에 따른 컵크기 집단 간 평균의 차이 검증

집단(Mean=2.78, S.D.=.88)이 가장 높았으며, 그 외 항목에서는 B컵과 C, D컵 집 단이 불편정도가 가장 높았다.

항목별로 보면 목 부위 항목에서는 A컵과 C, D컵 집단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A컵 집단을 통제집단으로 간주하여 C, D컵 집단 간 평균차이(이하 ‘A컵 과 C, D컵 집단 간에는’으로 줄임)에 대한 ES인 Cohen의 d는 0.28로 효과의 크 기는 작았다.

진동둘레 항목에서는 A컵과 B컵, A컵과 C, D컵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Cohen의 d는 A컵과 B컵 집단 간에는 0.42이며, A컵과 C, D컵 집단 간에는 0.45로 중간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평균차(d)

변수 컵크기 통제집단

A B

목부위 비교

집단 B -.59 ( .58)

C, D -.29 ( .28) .3 ( .34)

겨드랑둘레 비교

집단 B -.4 ( .42)

C, D -.42 ( .45) -.02 ( .03)

겨드랑앞벽사이길이 비교

집단 B -.53 ( .60)

C, D -.58 ( .65) -.05 ( .06)

젖가슴둘레 비교

집단 B -.71 ( .74)

C, D -1.02 (1.06) -.3 ( .33)

허리둘레 비교

집단 B -.35 ( .40)

C, D -.53 ( .60) -.18 ( .23)

엉덩이둘레 비교

집단 B -.43 ( .46)

C, D -.61 ( .64) -.17 ( .21)

어깨사이길이 비교

집단 B -.03 ( .03)

C, D -.49 ( .47) -.45 ( .54)

위팔둘레 비교

집단 B -.43 ( .43)

C, D -.48 ( .48) -.05 ( .06)

소매밑단둘레 비교

집단 B -.33 ( .39)

C, D -.35 ( .40) -.01 ( .02) 표 32. 블라우스 착용 시 신체 부위별 불편정도에 따른 컵크기 집단 간 평균 차의 ES

한 차이가 있었으며, Cohen의 d는 A컵과 B컵 집단 간에는 0.6, A컵 과 C, D컵 집단 간에는 0.65로 중간보다 차이가 컸다.

젖가슴둘레 항목에서는 A컵과 B컵, A컵과 C, D컵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Cohen의 d는 A컵과 B컵 집단 간에는 0.74로 차이가 컸고, A컵과 C, D컵 집단 간에는 1.06로 매우 큰 차이를 보였다.

허리둘레 항목에서는 A컵과 C, D컵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Cohen의 d는 A컵과 C, D컵 집단 간에는 0.6으로 중간보다 큰 차이를 보였다.

엉덩이둘레 항목에서는 A컵과 B컵, A컵과 C, D컵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Cohen의 d는 A컵과 B컵 집단 간에는 0.46으로 중간보다 차이가 낮았 고, A컵과 C, D컵 집단 간에는 0.64로 중간보다 큰 차이를 보였다.

어깨사이길이 항목에서는 A컵과 C, D컵, B컵과 C, D컵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Cohen의 d는 A컵과 C, D컵 집단 간에는 0.47, B컵과 C, D컵 집단 간에는 0.54로 중간정도의 크기를 보였다.

위팔둘레 항목에서는 A컵과 B컵, A컵과 C, D컵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Cohen의 d는 A컵과 B컵 집단 간에는 0.43, A컵과 C, D컵 집단 간에

는 0.48로 중간정도의 크기를 보였다..

소매밑단둘레 항목에서는 A컵과 B컵, A컵과 C, D컵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 가 있었으며, Cohen의 d는 A컵과 B컵 집단 간에는 0.39, A컵과 C, D컵 집단 간 에는 0.4로 중간보다 낮은 차이를 보였다.

그 외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항목을 보면 목부위를 제외한 모든 항목 에서 컵크기가 클수록 불편정도가 높은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2) BMI

블라우스 착용 시 신체 부위별 불편정도에 따른 BMI 집단 간 평균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표 33), 그 결과 모든 항목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변수 BMI

F ES(η2) 저체중

(n=30) 표준

(n=101) 과체중이상 (n=33)

목부위 2.31 (1.11) 2.41 ( .98) 2.41 ( .80) .132 .00 겨드랑둘레 2.48 ( .95) 2.58 ( .96) 2.88 ( .87) 1.583 .02 겨드랑앞벽사이길이 2.43 ( .84) 2.59 ( .95) 2.78 ( .79) 1.169 .01 젖가슴둘레 2.41 ( .91) 2.83 (1.06) 2.97 ( .97) 2.541 .03 허리둘레 2.24 ( .95) 2.47 ( .88) 2.63 ( .71) 1.521 .02 엉덩이둘레 2.14 ( .92) 2.45 ( .93) 2.53 ( .67) 1.810 .02 어깨사이길이 2.72 ( .84) 2.73 ( .96) 2.91 (1.03) .443 .01 겨드랑뒤벽사이길이 2.48 ( .95) 2.45 ( .88) 2.81 ( .74) 2.105 .03 옷길이 2.79 (1.08) 2.90 (1.07) 2.84 ( .88) .128 .00 위팔둘레 2.48 (1.02) 2.57 ( .89) 2.81 ( .97) 1.128 .01 소매밑단둘레 2.24 ( .83) 2.38 ( .82) 2.56 ( .76) 1.220 .02 소매길이 2.90 (1.05) 2.79 (1.05) 2.72 ( .99) .227 .00 표 33. 블라우스 착용 시 신체 부위별 불편정도에 따른 BMI 집단 간 평균의 차이 검증

그러나 평균치를 보면 전체적으로 목부위, 옷길이, 소매길이 항목을 제외한 나 머지 모든 항목에서 과체중일수록 불편정도가 높은 경향을 보이고 있다. 과체중 이상 집단의 불편정도가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겨드랑둘레, 겨드랑앞벽사 이길이, 허리둘레, 어깨사이길이, 겨드랑뒤벽사이길이, 위팔둘레 등이며, 결과를 통해서 패턴의 여유분이나 사이즈 체계의 개선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3) 젖가슴둘레

블라우스 착용 시 신체 부위별 불편정도에 따른 젖가슴둘레 집단 간 평균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표 34), 그 결과 목 부 위(F=3.141, p<.05), 겨드랑앞벽사이길이(F=5.156, p<.01), 젖가슴둘레(F=11.95, p<.001), 허리둘레(F=6.25, p<.01), 엉덩이둘레(F=9.802, p<.001), 위팔둘레 (F=8.576, p<.001), 소매밑단둘레(F=6.739, p<.01)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 모형의 효과의 크기인 η2는 젖가슴둘레 0.12로 큰 차이를 나타내었고, 엉덩이둘레 0.1, 위팔둘레 0.09, 소매밑단둘레 0.07, 허리둘레 0.07, 겨 드랑앞벽사이길이 0.06으로 중간 이상의 크기를 보였고, 목부위 0.03으로 실제적 유의성은 작았다.

구체적으로 어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Duncan 과 Games-Howell 방법에 의한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표 34)-(표 35), 유의한 차 이를 보이는 항목 중에 90 초과 집단은 겨드랑앞벽사이길이(Mean=2.84, S.D.=.85), 젖가슴둘레(Mean=3.27, S.D.=.98), 허리둘레(Mean=2.75, S.D.=.8) 항목에서 불편정 도가 높았고, 85 초과 90 이하 집단은 목부위(Mean=2.59, S.D.=.8), 위팔둘레 (Mean=2.93, S.D.=.81) 항목에서 불편정도 평균이 높았다. 항목별로 보면, 목부위 항목에서는 85 이하와 85 초과 90 이하, 85 이하와 90 초과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 이가 있었으며, 두 집단 간 평균차이에 대한 ES 인 Cohen 의 d는 85 이하와 85 초과 90 이하 집단 간에는 0.36 이며, 85 이하와 90 초과 집단 간에는 0.35 로 중간 보다 낮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항목별로 보면, 겨드랑앞벽사이길이 항목에서는 85이하와 85초과 90이하, 85이 하와 90초과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Cohen의 d는 85이하와 85초 과 90이하 집단 간에는 0.43이며, 85이하와 90초과 집단 간에는 0.52로 중간정도

변수 젖가슴둘레(㎝)

F ES(η2) 85이하

(n=66) 85초과 90이하

(n=62) 90초과 (n=52)

목부위 2.21 (1.06)A 2.59 ( .80)B 2.58 ( .99)B 3.141* .03 겨드랑둘레 2.47 ( .96) 2.74 ( .81) 2.82 ( .97) 2.442 .03 겨드랑앞벽사이길이 2.36 ( .91)A 2.75 ( .82)B 2.84 ( .85)B 5.165** .06 젖가슴둘레 2.42 ( .98)A 2.93 ( .89)B 3.27 ( .98)B 11.95*** .12 허리둘레 2.23 ( .89)A 2.57 ( .74)B 2.75 ( .80)B 6.25** .07 엉덩이둘레 2.12 ( .87)A 2.70 ( .82)B 2.70 ( .84)B 9.802*** .10 어깨사이길이 2.71 (1.03) 2.92 ( .90) 2.88 ( .89) .850 .01 겨드랑뒤벽사이길이 2.44 ( .93) 2.70 ( .82) 2.64 ( .80) 1.643 .02 옷길이 2.94 (1.08) 3.02 ( .83) 2.80 (1.03) .672 .01 위팔둘레 2.30 ( .93)A 2.93 ( .81)B 2.76 ( .92)B 8.576*** .09 소매밑단둘레 2.17 ( .89)a 2.67 ( .65)a 2.40 ( .76)a 6.739** .07 소매길이 2.80 (1.13)  2.93 ( .85)  2.64 ( .94)  1.221 .01

***p<.001,**p<.01,*p<.05 Duncan test 결과 A<B

표 34. 블라우스 착용 시 신체 부위별 불편정도에 따른 젖가슴둘레 집단 간 평균의 차이 검증

차이를 보였다.

젖가슴둘레 항목에서는 85이하와 85초과 90이하, 85이하와 90초과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Cohen의 d는 85이하와 85초과 90이하 집단 간에는 0.52 로 중간정도 차이를 보였고, 85이하와 90초과 집단 간에는 0.87로 차이가 컸다.

허리둘레 항목에서는 85이하와 85초과 90이하, 85이하와 90초과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Cohen의 d는 85이하와 85초과 90이하 집단 간에는 0.39 로 중간보다 차이가 낮았고, 85이하와 90초과 집단 간에는 0.58로 중간정도의 차 이를 보였다.

엉덩이둘레 항목에서는 85이하와 85초과 90이하, 85이하와 90초과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Cohen의 d는 85이하와 85초과 90이하 집단 간, 85이하

평균차(d)

변수 젖가슴둘레 통제집단

85이하 85초과 90이하

목부위 비교

집단 85초과 90이하 -.38 (.36)

90초과 -.37 (.35) .01 (.01)

겨드랑앞벽사이길이 비교

집단 85초과 90이하 -.39 (.43)

90초과 -.47 (.52) -.09 (.11)

젖가슴둘레 비교

집단 85초과 90이하 -.51 (.52)

90초과 -.85 (.87) -.34 (.38)

허리둘레 비교

집단 85초과 90이하 -.35 (.39)

90초과 -.52 (.58) -.17 (.23)

엉덩이둘레 비교

집단 85초과 90이하 -.58 (.67)

90초과 -.58 (.67) 0 (.01)

위팔둘레 비교

집단 85초과 90이하 -.63 (.68)

90초과 -.46 (.49) .17 (.21)

소매밑단둘레 비교

집단 85초과 90이하 -.51 (.57)

90초과 -.23 (.26) .27 (.42) 표 35. 블라우스 착용 시 신체 부위별 불편정도에 따른 젖가슴둘레 집단 간 평균 차의 ES

와 90초과 집단 간 모두 0.67로 중간보다 높은 차이를 보였다.

위팔둘레 항목에서는 85이하와 85초과 90이하, 85이하와 90초과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Cohen의 d는 85이하와 85초과 90이하 집단 간에는 0.68 로 중간 보다 높은 차이이며, 85이하와 90초과 집단 간에는 0.49로 중간정도 차 이를 보였다.

소매밑단둘레 항목에서는 일원배치분산분석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사 후분석 결과 집단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Cohen의 d는 85이하와 85초 과 90이하 집단 간에는 0.57로 중간 정도의 차이를 보였으며, 85초과 90이하와 90초과 집단 간에는 0.42로 중간보다 낮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 외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항목을 보면, 90초과 집단은 겨드랑둘레 (Mean=2.82, S.D.=.97)항목에서 불편정도가 높았고, 85초과 90이하 집단은 어깨사 이길이(Mean=2.92, S.D.=.9), 겨드랑뒤벽사이길이(Mean=2.7, S.D.=.82), 옷길이 (Mean=3.02, S.D.=.83), 소매길이(Mean=2.93, S.D.=.85) 항목에서 가장 불편정도가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