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과거 직장포함)유연근무제 이용 경험 여부에 대한 결과를 보면, 자녀연령이 만2 세인 경우, 단시간 근로제도 이용경험이 높게(31.9%) 나타났고, 자녀 아버지 (16.3%) 보다 자녀 어머니(31.8%)의 이용경험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 아버지의 경우 직장종류에 따른 경험 비율의 차이가 다소 나타났다. 사업장규 모별로 보면, 아주 소규모이거나 대규모인 경우에는 중간 규모의 사업장 보다 상대 적으로 이용경험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차출퇴근제의 경우 기관/공기업 종사자의 이용경험 비중이 높게 나타났고, 남 녀 및 자녀연령에 따른 이용경험 비중의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Ⅳ-2-8> (과거 직장포함)유연근무제 이용 경험 여부

단위: %(명)

구분 이용경험 있음 이용해 본 적 없음

만2세 31.9 68.1 100.0(166)

만3세 26.7 73.3 100.0(180)

만4세 22.2 77.8 100.0(180)

만5세 23.2 76.8 100.0(185)

자녀 와의 관계

31.8 68.2 100.0(488)

16.3 83.7 100.0(547)

직장 종류(모)

기관/공기업 27.9 72.1 100.0(197)

민간기업 22.3 77.7 100.0(717)

기타 24.0 76.0 100.0(121)

직장 종류(부)

기관/공기업 31.6 68.4 100.0(174)

민간기업 22.1 77.9 100.0(770)

기타 20.9 79.1 100.0(91)

사업장규모(모)

30인 미만 19.3 80.7 100.0(358)

30~100인 미만 23.7 76.3 100.0(219)

100~300인 미만 33.0 67.0 100.0(185)

300~500인 미만 31.7 68.3 100.0(82)

500~1000인 미만 20.8 79.2 100.0(72)

1000인 이상 17.6 82.4 100.0(119)

사업장규모(부)

30인 미만 16.8 83.2 100.0(226)

30~100인 미만 25.4 74.6 100.0(197)

100~300인 미만 24.7 75.3 100.0(215)

300~500인 미만 31.7 68.3 100.0(145)

500~1000인 미만 27.2 72.8 100.0(81)

1000인 이상 20.5 79.5 100.0(171)

유연근무제를 이용한 주된 이유를 살펴보면, 모든 제도에 있어서 ‘자녀양육 및 교육’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시간근로제도의 경우 ‘자 녀양육 및 교육’이 48.0%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을 뿐만 아니라 자녀연령별로 보았을 때, 만0세의 경우 해당 이유가 차지하는 비중이 62.5%로 매 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자녀 아버지(34.8%) 보다는 자녀 어머니(55.5%)의 경우 양육 및 교육 때문에 해당 제도를 이용한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표 Ⅳ-2-9> 유연근무제 이용 주요 이유

단위: %(명)

구분 전혀

필요 없음 별로

필요 없음 보통 대체로 필요함

매우

필요함 평균

전체 2.7 6.5 23.6 42.0 25.2 100.0(1,035) 3.81

자녀 연령

만0세 2.5 4.4 15.7 39.0 38.4 100.0(159) 4.06

만1세 3.6 6.7 18.8 39.4 31.5 100.0(165) 3.88

만2세 0.6 7.2 23.5 43.4 25.3 100.0(166) 3.86

만3세 1.7 6.1 26.1 46.7 19.4 100.0(180) 3.76

만4세 4.4 6.1 26.7 42.2 20.6 100.0(180) 3.68

만5세 3.2 8.1 29.2 41.1 18.4 100.0(185) 3.63

자녀와의 관계

2.3 4.7 20.5 43.6 28.9 100.0(488) 3.92

3.1 8.0 26.3 40.6 21.9 100.0(547) 3.70

직장 종류(모)

기관/공기업 5.6 7.1 25.9 35.5 25.9 100.0(197) 3.69

민간기업 1.5 5.9 22.3 44.9 25.4 100.0(717) 3.87

기타 5.0 9.1 27.3 35.5 23.1 100.0(121) 3.63

직장 종류(부)

기관/공기업 5.2 9.8 21.3 37.9 25.9 100.0(174) 3.70

민간기업 1.7 6.0 24.2 43.2 24.9 100.0(770) 3.84

기타 6.6 4.4 23.1 39.6 26.4 100.0(91) 3.75

사업장규모(모)

30인 미만 2.2 6.1 21.8 48.3 21.5 100.0(358) 3.81

30~100인 미만 2.7 5.5 27.4 36.5 27.9 100.0(219) 3.81 100~300인 미만 2.7 5.4 20.0 50.8 21.1 100.0(185) 3.82 300~500인 미만 6.1 8.5 28.0 32.9 24.4 100.0(82) 3.61 500~1000인 미만 2.8 9.7 20.8 29.2 37.5 100.0(72) 3.89 1000인 이상 1.7 7.6 26.1 33.6 31.1 100.0(119) 3.85 사업장규모(부)

30인 미만 2.7 6.6 27.4 38.1 25.2 100.0(226) 3.77

30~100인 미만 1.5 5.6 22.3 40.6 29.9 100.0(197) 3.92 100~300인 미만 2.8 6.5 21.9 46.5 22.3 100.0(215) 3.79 300~500인 미만 4.8 5.5 23.4 47.6 18.6 100.0(145) 3.70 500~1000인 미만 4.9 8.6 22.2 39.5 24.7 100.0(81) 3.70 1000인 이상 1.2 7.0 22.8 39.8 29.2 100.0(171) 3.89

3. 소결

두 조사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결과를 보면, 주된 양육 방식에서 만0세의 경우 기관보다는 자녀 어머니 혹은 조부모/친척의 비중이 월등히 높았고, 맞벌이 부부

만 조사한 결과에서는 조부모/친척의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비중은 연령이 높아지면서 점차 낮아지고, 어린이집 이용의 비중이 매우 높아져 만2세의 경우 전체 가구 대상일 때는 59.1%로 조사되었고, 맞벌이부부 대상일 때는 63.6%

로 나타났다.

이용 기관 유형을 보면, 만0세의 경우, 민간어린이집(38.1%) 다음으로 가정어린 이집 이용률(22.6%)이 높게 나타난 반면에 만1세와 만2세의 경우 민간어린이집을 제외하고는 가정어린이집과 국공립어린이집 이용률에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다.

만 0세의 경우 기관 보다는 가정(혹은 개인)양육을 선호하며, 상황에 따라서는 입소대기 등의 여건 때문에 기관을 이용하더라도 상대적으로 진입이 쉬운 가정어 린이집 이용율이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만0세’ 자녀의 개인양육(부모포 함)에 대한 실질적인 양육 지원방안이 필요해 보인다.

맞벌이 부부 대상 조사에서 유연근무제를 이용한 주된 이유를 살펴보면, 모든 제도에 있어서 ‘자녀양육 및 교육’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맞벌이 부부에 있어서 자녀양육을 위한 시간 확보 지원 정책이 매우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육아휴직과 같은 상대적으로 긴 기간 이용할 수 있는 정책을 활성 화 하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직무의 특성, 사업장의 인력 구성 등 다양한 상황으로 인하여 해당 정책을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를 고려하되, 근로를 병행하면서 양육할 수 있는 실질적인 시간 확보를 위하여 유연근무제를 적극 활용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정착시켜야 하겠다.

전체 취업모 가운데 30.5%는 취업 상태를 중단한 적이 있으며, 그 시기는 ‘임신 했을 때’가 65.3%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은 ‘출산 혹은 출산휴가 직 후’라고 응답하였다(26.7%). 취업을 중단한 이유로는 ‘자녀를 믿고 맡길 곳이 마땅 치 않다’는 응답이 42.0%로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30대 여성의 높은 경력단절이 임신·출산 등의 초기 양육 때문이라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 시기에 보다 효과적으로 양육을 지원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 한다.

V

영아 양육지원 수요조사

01 조사개요 02 분석 결과 03 분석 04 소결

대분류 소분류 내용

기본 문항

일반특성

 연령, 성별, 결혼여부(미혼/기혼/이혼 또는 사별), 학력, 거주지역규모(대도 시/중소도시/읍면지역)

 자녀수, 36개월 미만 자녀의 수, 36개월 미만 자녀의 월령(가장 어린 자녀 기준)연령, 가족 구성원,

 소득, 소득의 수입원

고용상태  모 취업형태, 모 고용형태, 모 근무형태, 모 사업장 형태

부모 취업 여부

맞벌이 및 모홑벌이 가구

 출퇴근시각, 평균근로시간(주), 근무기간, 휴일 근무 여부

 휴일 근무 일수, 장시간 근로 일수, 긴급 상황 시 돌봄제공자 부홑벌이

가구  (모)취업중단여부-중단 시 자녀월령, 중단이유

영아 양육지원정책

 비용 지원 정책 이용여부와 만족도(아동수당, 영유아보육료, 가정양육수당, 아이돌보 서비스, 어린이 국가 예방접종 지원사업, 시간제 보육, 시간연장형 보육 등)

 비용지원 정책 중 우선적으로 필요한 정책

 서비스(프로그램) 지원 정책 이용여부와 만족도(육아종합지원센터(장난감 도서관 포함), 건강가정 지원센터, 표준모자 보건수첩, 국민연금 출산 크레 딧, 부모교육, 공동육아나눔터)

 육아종합지원센터 중점 이용 서비스, 육아종합지원센터 미이용 이유,

1. 조사개요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