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영아가구의 보육‧교육서비스 이용 현황 및 요구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최초 기 관 이용은 2015년과 2018년 모두 대부분(약 98%)이 어린이집을 통해 이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최초 이용 기관이 유치원인 경우는 2015년 0.3%, 2018년 0.1%이며 반일제 학원은 2015년 0.5%, 2018년 0.8%에 그쳤다.

영아가구에서 기관을 처음 이용하게 된 이유는 2015년은 부모가 돌보기 어려워 서(25.5%), 전인적 발달을 위해(22.3%), 사회성 발달을 위해(20.5%), 양육부담 경

집 이용을 중단한 사유를 보면, 원장이나 교사에 대한 불만, 아이의 적응 어려움이 19.8%로 가장 많았다.

〈표 Ⅳ-1-11〉 어린이집 이용 영아가구의 맞벌이 특성, 기관유형, 기관이용 중단 사유(2015) 단위: %(명)

조사항목 구분 보육 연령

0세 1세 2세

어린이집 이용 영아가구의 맞벌이 특성

맞벌이 44.9 43.4 40.1

외벌이 54.6 53.5 58.1

둘 다 무직 - 1.3 0.7

비해당/모름 0.5 1.8 1.1

계(수) 100.0 (121) 100.0 (370) 100.0 (525)

이용 어린이집 유형

국공립 4.2 8.4 11.2

법인 0.9 3.5 3.6

법인‧단체 등 0.7 3.6 2.3

민간 41.2 54 59.6

가정 53 29.2 21.8

직장 - 1.4 1

부모협동 - - 0.4

계(수) 100.0 (121) 100.0 (370) 100.0 (525) 어린이집 이용

중단 경험 있다 9.6 (2,030)

0.8 (867) 9.6 (566) 17.4 (597)

어린이집 이용 중단 사유

시설 환경 불만족 - 5.7 11.1

프로그램 불만족 - 5.1 4.9

원장‧ 교사 불만족 11.9 21.1 19.5

아이 적응 곤란 39.9 22.7 17.4

비용 부담 - -

-집과의 거리 - 4.3 6.3

해당 연령반없음 - 6.1 0.6

이용 시간 안맞음 - 5.5 1.1

다른 기관 이용 - 1.6 2.3

이사 8.3 8.7 25

주변 환경 불만족 - 0.5

-기타 39.9 18.8 11.8

계(수) 100.0 ( 4) 100.0 ( 52) 100.0 (102) 주: 1) 유치원 이용 2세(보육연령) 아동 7명을 제외하고 분석함.

2) 중단 사유는 어린이집을 다니다가 중간에 그만둔 적이 ‘있다’라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임

자료: 김은설・유해미・최은영 외 (2016). 2015년 전국보육실태조사-가구조사 보고.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p. 123 <표 Ⅴ-2-2>, p. 154~155 <표 Ⅵ-1-1>, p. 157 <표 Ⅵ-1-3>, p. 158 <표 Ⅵ-1-4>.

2018년 조사에서 어린이집 이용자 중 맞벌이 가구의 비중은 연령별로 0세 68.6%, 1세 54.8%, 2세 49.1%로 2015년보다 높은 수준이며, 0세의 맞벌이 비중이 가장 높다. 어린이집을 이용하다가 최근 그만 둔 경우가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3.3%

로 2015년에 비해 낮은 수치였다. 어린이집 이용을 중단한 사유를 보면, 0세는 어린 이집 관련 불만이 56.1%로 가장 많았고, 1세는 다른 기관에 보내려고 32.3%, 어린 이집과 조건이 안맞음이 29.1%, 아이가 적응을 못해서 26.3%순이었으며, 2세는 다 른 기관 보내려고 43.4%, 어린이집과 조건이 안맞음이 21.1%순이었다.

〈표 Ⅳ-1-12〉 어린이집 이용 영아가구의 맞벌이 특성, 기관이용 중단 경험, 중단 사유(2018) 단위: %(명)

조사항목 구분 보육 연령

0세 1세 2세

어린이집 이용 영아가구의 맞벌이 특성2)

맞벌이 68.6 54.8 49.1

외벌이 29.4 43.5 48.4

둘 다 무직 0.9 0.1

-비해당/모름 1.1 1.6 2.5

 계(수) 100.0 (117) 100.0 (386) 100.0 (495) 어린이집 이용

중단 경험 여부 있다 3.3 (1,911)

0.3 (803) 2.5 (540) 8.1 (568)

중단 사유

어린이집 관련 불만 56.1 - 12.5

아이가 적응을 못해서 - 26.3 12.0

어린이집과의 조건 안맞음4) 25.0 29.1 21.1

기관 폐원 및 이사 - 2.6 8.5

다른 기관 보내려고 - 32.3 43.4

집에서 양육 하려고 - 9.7

-안전에 대한 의구심 18.9 -

-기타 - - 2.5

계(수) 100.0 ( 3) 100.0 (13) 100.0 (44) 주: 1) 비율은 가중치를 적용한 수치이며, 사례수는 실제 응답자 수임.

2) 유치원 이용 아동 2세(보육연령) 아동 4명을 제외하고 분석함.

3) 중복응답. 1~3순위 응답을 합산한 결과임.

4) ‘어린이집과의 조건 안맞음’: 집과의 거리가 멂, 이용시간이 맞지 않음, 해당 연령반이 없음 등.

자료: 이정원・이정림・도남희 외 (2018). 2018년 전국보육실태조사-가구조사 보고.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pp. 193~194 <표 Ⅴ-2-2>, p. 199 <표 Ⅴ-3-3>

2015년 조사에서 전체 영아의 어린이집 평균 이용시간 6시간 53분으로 조사되었 다. 모의 취업 여부별로 살펴보면 취업모의 영아와 미취업모의 영아는 각각 7시간 38분, 6시간 23분으로 취업모의 경우에 어린이집 이용 시간이 길었다. 연령별로는 취업모의 0세아의 경우 7시간 51분으로 가장 길고, 모휴직의 경우는 0세가 5시간 42분으로 가장 짧아 다른 경향을 보이고 있다. 취업모의 0세아가 수적으로 적기는 하지만 이용 시간이 길다는 점은 가정 여건 상 어린이집 돌봄이 필요한 0세아를 위 해 질 좋은 장시간 돌봄을 제공하는 것을 정책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구분 전체

이용기관별 모 취업여부별

어린이집 유치원 반일제 이상

기관 취업 휴직중 미취업

5시간까지 5.3 2.6 8.7 16.5 2.9 3.7 8.4 5~6시간 15.7 15.5 13.2 41.9 10.2 23.8 21.1 6~7시간 30.6 33.6 26.2 23.1 25.2 34.8 36.5 7~8시간 27.8 25.8 32.6 15.8 29.5 21.1 26.6 8~9시간 13.0 13.4 13.4 1.3 18.4 14.1 6.3 9~10시간 5.4 6.1 4.8 - 9.3 2.5 1.1 10시간 이상 2.3 3.1 1.1 1.3 4.5 - 0.1

〈표 Ⅳ-1-13〉 영아가구의 연령 및 모 취업여부별 어린이집 이용시간(등원시간 제외)(2015) 단위: 시간(명)

구분 전체 보육연령

0세 1세 2세

취업모

평균 7시간 38분 7시간 51분 7시간 26분 7시간 46분

표준편차 1시간 44분 1시간 39분 1시간 56분 1시간 35분

(수) (385) (56) (137) (192)

모휴직

평균 6시간 32분 5시간 42분 6시간 33분 6시간 49분

표준편차 1시간 31분 1시간 9분 31분 2시간 7분

(수) (43) (9) (18) (16)

미취업모

평균 6시간 23분 6시간 12분 6시간 23분 6시간 24분

표준편차 1시간 6분 1시간 44분 59분 1시간 4분

(수) (584) (55) (214) (315)

전체

평균 6시간 53분 6시간 47분 6시간 49분 6시간 56분

표준편차 1시간 32분 1시간 51분 1시간 32분 1시간 29분

(수) (1,016) (121) (370) (525)

자료: 김은설・유해미・최은영 외 (2016). 2015년 전국보육실태조사-가구조사 보고.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p. 169 <표 Ⅵ-1-17>.

2018년 조사 보고서에서는 어린이집 평균 이용시간이 영아만으로 보고되지 않 아 영유아 전체 값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체 영유아의 어린이집 평균 이용 시간 7시간 12분으로 조사되었다. 모의 취업 여부별로 살펴보면 취업모의 영유아 와 미취업모의 영유아는 각각 7시간 42분, 6시간 48분으로 취업모의 경우에 어린 이집 이용 시간이 길었다.

〈표 Ⅳ-1-14〉 영유아가구의 이용기관 및 모 취업여부별 기관 이용시간(등·하원시간 미포함)(2018) 단위: %(명), 시간, 분

구분 전체

이용기관별 모 취업여부별

어린이집 유치원 반일제 이상

기관 취업 휴직중 미취업

평균 7시간 12분 7시간 24분 7시간 12분 6시간 12분 7시간 42분 6시간 54분 6시간 48분 표준편차 1시간 18분 1시간 18분 1시간 18분 1시간 6분 1시간 24분 1시간 12분 1시간 6분

계(수)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2,830) (1,753) (1,009) ( 68) (1,419) ( 135) (1,241) 주: 1) 비율은 가중치를 적용한 수치이며, 사례수는 실제 응답자 수임.

2) 유치원 이용 아동2세(보육연령) 아동 4명을 포함.

3) 평균은 소수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산출한 결과임.

4) 2018년도는 연령별이 아닌 이용기관별로 분석함.

자료: 이정원・이정림・도남희 외 (2018). 2018년 전국보육실태조사-가구조사 보고.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p. 213 <표 Ⅴ-3-14>

어린이집 운영시간을 초과하여 이용하는 빈도를 살펴보면 2015년에는 74.3%가 초과이용이 없으며, 월1회 이하가 10.2%, 2-4회가 10.3%로 20.5%정도가 주 1회 이하로 가끔 시간 초과 이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연령별로는 1세 영아 가 시간 초과 이용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에는 77.5%가 초과하는 경우가 없다고 응답하였고, 월1회 이하가 9.7%, 월 2-4회가 7.7%로 17.4%가 주 1회 이하로 가끔 시간을 초과하여 이용하는 것으 로 보인다. 연령별로는 2세 영아가 시간 초과 이용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표 Ⅳ-1-15〉 영아가구의 어린이집 이용시간 초과 이용 횟수(2015, 2018)

단위: %(명) 년도 구분 월 1회

이하 월 2~4회 주 2~3회 주 4~5회 매일 없음 계(수)

2015

영아 10.2 10.3 2.3 2.2 0.6 74.3 100.0 (1,016) 보육연령

0세 5.9 13.1 3.4 1.8 0.3 75.6 100.0 ( 121) 1세 11.8 10.5 4.0 1.0 0.3 72.4 100.0 ( 370) 2세 9.7 9.8 1.0 3.1 0.9 75.5 100.0 ( 525)

2018

영아 9.7 7.7 2.9 1.0 1.2 77.5 100.0 ( 998)

보육연령

0세 6.5 9.8 1.9 1.1 - 80.7 100.0 ( 117)

1세 9.2 8.1 3.1 1.0 0.9 77.7 100.0 ( 386)

2세 10.9 6.8 3.0 0.9 1.8 76.5 100.0 ( 495)

주: 비율은 가중치를 적용한 수치이며, 사례수는 실제 응답자 수임.

자료: 1) 김은설, 유해미, 최은영 외 (2016). 2015년 전국보육실태조사-가구조사 보고.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p. 170 <표 Ⅵ-1-18>

2) 이정원, 이정림, 도남희 외 (2018). 2018년 전국보육실태조사-가구조사 보고.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p. 291 <표 Ⅵ-1-19>

2015년 조사에서 부모가 원하는 어린이집 시작 시각을 보면, 오전 8시 31분~9

단위: %(명) 희망 등원시각

구분 어린이집

유치원 반일제 이상 기관

(영어학원 등) 전체

전체 종일반 맞춤반

7:30까지 12.0 12.9 8.7 7.3 3.0 10.0 7:31~8:00 10.3 10.7 8.7 10.5 4.7 10.1 8:01~8:30 13.8 15.2 8.8 17.7 17.1 15.3 8:31~9:00 39.9 39.7 40.5 45.6 41.8 41.9 9:01~9:30 16.4 15.5 19.9 13.3 23.2 15.6 9:31~10:00 7.3 5.7 13.1 5.6 9.3 6.8 10:01이후 0.3 0.4 0.3 0.2 0.9 0.3

계(수)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753) (1,380) ( 373) (1,009) ( 68) (2,830) 희망 하원시각

구분 어린이집

유치원 반일제이상 기관

(영어학원 등) 전체

전체 종일반 맞춤반

14:00까지 0.5 0.3 1.4 3.1 4.1 1.6 14:01~15:00 2.9 2.9 2.7 6.9 32.3 5.4 15:01~16:00 24.9 22.6 33.1 25.4 29.8 25.2 16:01~16:30 8.7 8.8 8.2 10.6 6.9 9.3 16:31~17:00 18.8 18.7 19.0 21.7 11.8 19.5 17:01~17:30 6.5 7.1 4.2 5.6 - 5.9 17:31~18:00 14.2 14.1 14.4 11.3 8.0 12.9 18:00~19:00 11.6 12.2 9.6 9.7 2.7 10.6 19:00~19:30 5.7 5.9 5.1 2.5 1.5 4.4 19:31이후 6.3 7.4 2.2 3.3 2.8 5.1

계(수)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753) (1,380) ( 373) (1,009) ( 68) (2,830) 주: 1) 비율은 가중치를 적용한 수치이며, 사례수는 실제 응답자 수임

2) 유치원 이용 아동2세(보육연령) 아동 4명을 포함.

3) 2018년도는 연령별이 아닌 이용기관별로 분석함.

자료: 이정원・이정림・도남희 외 (2018). 2018년 전국보육실태조사-가구조사 보고.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p. 218 <표 Ⅴ-3-18>

2015년 조사에서 영아부모가 원하는 어린이집 희망 이용시간은 하루에 6~7시 간 희망자가 26.8%로 가장 많았고, 7~8시간이 19.1%로 다음 순위를 차지하였다.

10시간 이상 희망자는 16.0%인데 특히 현재 어린이집 운영 시간인 12시간보다 더 장시간 이용을 희망하는 응답도 4.7%로 나왔다. 전체 평균 희망 이용시간은 8 시간 6분 정도로 산출되었다. 이는 2012년 조사 결과인 8시간 9분보다 3분정도 짧아진 응답이다. 그러나 실제 이용하고 있는 시간이 7시간임을 고려하면 현재보

구분 전체

계(수)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2,830) (1,753) (1,380) ( 373) (1,009) ( 68) (1,419) ( 135) (1,241) ( 35)

구분

어린이집

유치원 반일제 이상 기관

모 취업여부별 전체 맞춤반 전체

아님3) 맞춤반 취업 휴직중 미취업 모부재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수) (1,753) (1,380) ( 373) (1,009) ( 68) (1,419) ( 135) (1,241) ( 35) (2,830) 주: 1) 비율은 가중치를 적용한 수치이며, 사례수는 실제 응답자 수임.

2) 유치원 이용 아동2세(보육연령) 아동 4명을 포함 3) 맞춤반 아님: 유아반과 영아반 중 종일반을 의미함.

4) 평균은 소수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산출한 결과임.

자료: 이정원・이정림・도남희 외 (2018). 2018년 전국보육실태조사-가구조사 보고.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p. 222 <표 Ⅴ-3-22>.

2015년 조사에서 영아자녀에게 긴급하게 돌봄이 필요한 경우, 대부분의 경우 영아의 부모가 돌보는 것으로 나타났고(81.7%), 다음으로 혈연관계 17.4%, 비혈 연 또는 아이돌보미가 각각 0.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경향은 아이가 아플 때도 유사하게 나타났는데, 다만 비혈연 혹은 아이돌보미(각각 0.2%) 보다는 시간제보육을 사용하는 비율(0.8%)이 더 높게 나타났다.

〈표 Ⅳ-1-21〉 영아가구의 긴급상황 시 주된 돌봄제공자(2015)

단위: %(명)

구분

긴급 시 아플 때

부모 혈연 비혈연시간제 계(수) 보육

아이

돌보미 기타 부모 혈연 비혈연시간제 보육

아이 돌보미

영아 81.7 17.4 0.3 0.2 0.3 - 84.9 13.9 0.2 0.8 0.2 100.0 (1,016) 보육연령

0세 84.1 15.4 0.1 - 0.4 - 87.8 11.2 - 0.7 0.2 100.0 ( 121) 1세 79.1 20.0 0.1 0.4 0.5 - 82.2 16.3 0.4 0.7 0.3 100.0 ( 370) 2세 82.3 16.7 0.8 0.2 0.1 - 84.9 13.9 0.2 0.9 0.1 100.0 ( 525) 자료: 김은설・유해미・최은영 외 (2016). 2015년 전국보육실태조사-가구조사 보고.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p. 215 <표 Ⅵ-6-3>.

2018년 조사보고서에서는 영아로 한정하여 자료를 제시하고 있지 않아 영유아 전체값으로 살펴보면 긴급하게 돌봄이 필요할 경우, 대부분의 경우 영유아의 부모 가 돌보는 것으로 나타났고(74.9%), 다음으로 혈연관계 23.2%, 비혈연 1.0%, 아

2018년 조사보고서에서는 영아로 한정하여 자료를 제시하고 있지 않아 영유아 전체값으로 살펴보면 긴급하게 돌봄이 필요할 경우, 대부분의 경우 영유아의 부모 가 돌보는 것으로 나타났고(74.9%), 다음으로 혈연관계 23.2%, 비혈연 1.0%, 아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