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위계적 선형 모형을 통한 조직수준 가설검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7-92)

제3절 가설검증

<표 4-13> 조직정체성 강도가 조직동일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위계적 선형모형

†p < 0.1, * p < 0.05, ** p < 0.01, *** p < 0.001

모형 1 : Level-1, 조직동일시=β0j + rij, Level-2, β0j = γ00 + u0j 모형 2 : Level-1, 조직동일시=β0j + β1j*(성) + β2j*(연령) + β3j*(학력)

+ β4j*(직급) + rij

Level-2, β0j = γ00 + u0j, β1j = γ10, β2j = γ20, β3j = γ30, β4j = γ40

모형 3 : Level-1, 조직동일시=β0j + β1j*(성) + β2j*(연령) + β3j*(학력) + β4j*(직급) + rij

Level-2, β0j = γ00 + γ01*(정체성) + γ02*(조직원수) + γ03*(업종더미) + γ04*(조직역사), β1j = γ10, β2j = γ20, β3j = γ30, β4j = γ40 독립변수

종속변수 : 조직동일시

모형 1 모형 2 모형 3

Coef(γ) SE Coef(γ) SE Coef(γ) SE 개인수준

절편 3.596** 0.040 3.596** 0.042 3.595** 0.033

성 -0.062 0.062 -0.059 0.061

연령 0.148** 0.039 0.130** 0.039

학력 0.069† 0.038 0.073† 0.037

직급 0.049† 0.028 0.056* 0.028

조직수준

조직역사 0.028 0.041

조직원수 -0.052† 0.027

업종더미

1=제조, 2=기타 -0.089 0.072

정체성 강도 0.624** 0.113

나. 가설 1-2 검증 : 지각된 외부 이미지가 조직동일시에 미치는 영향

다음으로 가설 1-2를 검증하기 위한 위계적 선형 모형을 보면 모형 2에서 개인 수준의 변수인 연령, 학력, 직급은 지각된 외부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조직수준의 변수가 투입된 모형3에서 본 연구의 가설과 일치하는 지각된 외부 이미지의 감마값이 0.477(p=.01)로 조직동일시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나 가설 1-2는 지지되었다.

<표 4-14> 지각된 외부 이미지가 조직동일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위계적 선형모형

†p < 0.1, * p < 0.05, ** p < 0.01, *** p < 0.001 모형 1, 모형2의 모형 방정식은 표<4-13>과 동일

모형 3 : Level-1, 조직동일시=β0j + β1j*(성) + β2j*(연령) + β3j*(학력) + β4j*(직급) + rij

Level-2, β0j = γ00 + γ01*(이미지) + γ02*(조직원수) + γ03*(업종더미) + γ04*(조직역사), β1j = γ10, β2j = γ20, β3j = γ30, β4j = γ40 독립변수

종속변수 : 조직동일시

모형 1 모형 2 모형 3

Coef(γ) SE Coef(γ) SE Coef(γ) SE 개인수준

절편 3.596** 0.040 3.596** 0.042 3.599** 0.036

성 -0.062 0.062 -0.064 0.061

연령 0.148** 0.039 0.141** 0.039

학력 0.069† 0.038 0.064† 0.038

직급 0.049† 0.028 0.053† 0.028

조직수준

조직역사 0.013 0.046

조직원수 -0.031 0.030

업종더미

1=제조, 2=기타 -0.049 0.079

지각된 외부

이미지 0.477** 0.115

다. 가설 2-1, 2-2 검증 : 조직사회화가 조직정체성 강도, 지각된 외부 이미지와 조직동일시에 미치는 조절효과

가설 2는 조직사회화가 선행변수와 조직동일시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 내는지 확인한 것이다. 분석을 위해 모형의 독립변수들을 센터링하여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였다. 상호작용항을 센터링하지 않고 그대로 투입할 경우 선형관계가 존재하 여 다중공선성(multi collinearity)이 발생 할 수 있기 때문에 mean centering방식을 사용하였다.

모형 3-1은 조직사회화 정도가 높을수록 조직정체성 강도가 조직동일시에 미치 는 정(+)영향력이 커질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정체성 강도도 여전 히 조직동일시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조직사회화와 정체성 강도 변수를 동시에 투입했을 때 조직동일시에 미치는 조절효과가 입증되었다. 따라서 가설 2-1은 지 지되었다.

모형 3-2는 지각된 외부 이미지가 조직동일시에 미치는 영향에 조직사회화가 조 절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결과를 보면 지각된 외부 이미지는 여전 히 조직동일시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지각된 외부 이미지와 조직사회화 변수를 동시 투입했을때 조직동일시와의 관계에서 조직사회화는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는 조직사회화가 조직정체성을 체화하기 위한 조직 내부의 과정이라고 볼 때, 조직외부에서 조직을 바라보는 시각인 지각된 외부 이미지와는 관계가 없는 것 이라 해석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설 2-2는 기각되었다.

<표 4-15> 조직사회화가 정체성강도와 조직동일시에 미치는 조절효과 분석

†p < 0.1, * p < 0.05, ** p < 0.01, *** p < 0.001

모형 3-1 : Level-1, 조직동일시=β0j + β1j*(성) + β2j*(연령) + β3j*(학력) + β4j*(직급) + rij

Level-2, β0j = γ00 + γ01*(조직사회화) + γ02*(정체성강도) + γ03*(사회화*정체성) + γ04*(조직원수),

β1j = γ10, β2j = γ20, β3j = γ30, β4j = γ40

모형 3-2 : Level-1, 조직동일시=β0j + β1j*(성) + β2j*(연령) + β3j*(학력) + β4j*(직급) + rij

Level-2, β0j = γ00 + γ01*(조직사회화) + γ02*(외부 이미지) + γ03*(사회화*이미지) + γ04*(조직원수),

β1j = γ10, β2j = γ20, β3j = γ30, β4j = γ40 독립변수

종속변수 : 조직동일시

독립변수

종속변수 : 조직동일시

모형 3-1 모형 3-2

Coef(γ) SE Coef(γ) SE

개인수준 개인수준

절편 3.594** 0.032 절편 3.597** 0.034

성 -0.059 0.060 성 -0.067 0.060

연령 0.131** 0.038 연령 0.139** 0.039

학력 0.080* 0.037 학력 0.074* 0.038

직급 0.054† 0.027 직급 0.049† 0.028

조직수준 조직수준

조직원수 -0.041* 0.018 조직원수 -0.030 0.019

조직사회화 0.102 0.084 조직사회화 0.174* 0.080

정체성강도 0.531** 0.130 지각된외부

이미지 0.432** 0.117 조직사회화

*정체성강도 0.381* 0.177 조직사회화

*지각된외부이미지 0.241 0.174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7-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