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우리나라의 물가 추이와 수준

(1) 물가 상승률의 국제적 추이

한 나라 안에서 소비되는 여러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을 종합하 여 평균적 수준으로 표현한 것을 ‘물가’라고 한다. 물가의 구체적 측 정은 ‘물가지수(price index)’를 통해 구현되는데, 물가지수는 여러 종 류의 상품들의 가격을 일정한 방식으로 평균한 경제지표이다. 물가 수준의 변화를 나타낼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물가지수는 소비자물 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인데, 가계가 소비생활을 영위할 때 소요되는 비용의 변화를 측정한다는 측면에서 대표적인 물가지수라 할 수 있다. <그림 Ⅱ-1>에는 1970년대부터 최근 2007년까지의 우리 나라의 소비자물가지수의 연 증가율 추이 및 같은 기간 중 G7 및 OECD 회원국의 평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나타나 있다. 그림에서 보듯이 1970년대의 우리나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선진국에 비해 상당히 높았음을 알 수 있다. 1970년대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 연평 균 상승률은 16.5%로서 G7 평균 8.8%, OECD 평균 9.9%에 비해 월 등히 높다. 이후 우리나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9811990년 기간 동안 연평균 6.4%, 19912000년 기간 동안 연평균 5.1%로 점점 낮 아져 같은 기간 중 OECD 평균(각각 기간 중 연평균 8.3%, 4.6%)에 하회 하거나 가까워졌다. 하지만 G7 국가와 비교해 보면 상당히 높은 수

❙그림 -1. 소비자 물가 상승률 추이 국제 비교

0.0 5.0 10.0 15.0 20.0 25.0 30.0 35.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연도

%

Korea G7 OECD

자료: OECD

❙표 -1. 소비자물 가 상승률 국제 비교

(단위: %) 구분 19711980년

평균

19811990년 평균

19912000년 평균

20012007년

평균 200 5 20 06 2 007

한국 16.5 6.4 5.1 3.1 2.8 2.2 2.5

G7 8.8 4.8 2.4 2.0 2.4 2.4 2.2

OECD 9.9 8.3 4.6 2.6 2.6 ·2.6 2.5

자료: OECD

준의 증가율을 보였다. 최근 20012007년 기간 중 우리나라의 소비 자물가의 연평균 증가율은 3.1%로 나타나 같은 기간 중 G7 평균 2.0%, OECD 평균 2.6%에 상당히 근접한 수준을 보였다. 근래 3년 동안의 소비자물가 상승률만을 비교해 보면 우리나라와 G7 및 OECD 간의 격차는 거의 사라져(<표 Ⅱ-1> 참조)우리나라도 선진국

❙그림 -2. 물가 상 승률과 무역

: 전 세계 평균 자료: Fitoussi(2007)

수준의 안정적인 물가 상승률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들어 곡물가격 및 유가 급증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인플 레이션 압력이 거세지고 있지만 1990년대 이후 십여 년간 중・선진 국에서 지속된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하락은 주목할 만한 현상이었 고 세계경제의 안정적 성장의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이 같은 낮은 물가 상승률의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로 세계화를 꼽는 주장들이 많 이 나오고 있다. 이 주장을 뒷받침하는 정형화된 사실(stylized fact)로 1990년대 중반 이후로 세계무역량이 급증하였고 이와 동시에 물가 상승률의 하락도 뚜렷해졌다는 것을 들기도 한다. <그림 Ⅱ-2>는 전 세계 평균 GDP 대비 수출 비중과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나타낸 것 인데 1990년대 중반 이후 GDP 대비 수출 비중이 뚜렷한 성장추세 를 보이기 시작하면서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급격히 하락세를 보이 기 시작하였다. 즉 세계화의 대표적 현상의 하나로 무역의 증대를

들 수 있으며 세계 무역이 급속하게 늘면서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하 락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세계화가 낮은 물가 상승률의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지지하는 측에 따르면 세계화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물가 안정 효과를 얻는 다는 것이다. 즉 세계화의 중요한 현상 중의 하나는 무역장벽의 해 소이고 이를 통해 수입품의 가격이 낮아지는 직접적 효과를 가진다. 또한 값싼 수입품이 비싼 국산품을 대체하는 효과와 함께 국내 산업 들이 경쟁압력의 증가로 보다 효율적으로 변화하게 되는 간접적 효 과도 생긴다. 즉 세계화의 진전으로 국내 기업들은 국제경쟁에 보다 많이 노출되었고 비용절감, 임금 상승 억제, 생산성 향상 등에 보다 노력함으로써 제품가격의 하락을 가져오는 간접적 효과도 생긴다. 이러한 직・간접 효과가 합쳐져 전체 가격 수준의 상승을 제어하게 된다는 것이다.

세계화와 물가 간의 음(-)의 관계를 뒷받침하고 있는 연구로는 Sachsida, Carneiro, and Loureiro(2003), Rogoff(2004), Borio, C. and A. Filardo(2007)등이 있다.3) Sachsida, Carneiro, and Loureiro의 경 우 패널분석을 통해 무역개방도(trade openess)와 인플레이션 간에는 음(-)의 관계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Rogoff는 세계화로 인한 경쟁압 력 증가가 낮은 인플레이션의 주요 원인이라고 주장하였다. 또한 Rogoff는 세계화 과정은 세계경제의 구조를 근본적으로 바꾸는 것 이기 때문에 인플레이션 압력은 과거보다 영속적(permanently)으로 낮은 상태가 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Borio, C. and A. Filardo 의 연구에서는 인플레이션에 대해 해외 부문 변수가 국내 부문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제시하면서 세계화와 국내 인플레이 3) 세계화와 물가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박형근・박정민(2007) 참조

션은 깊은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반면 Ball(2006)은 세계화가 인플레이션의 장기 수준(long-run level) 및 동학적 구조(structure of inflation dynamics)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고 주장하였다. 또한 Ball은 무역의 증대가 인플레이션에 미친 영향 은 미미한 수준이며, 최근 십여 년 동안 지속된 저인플레이션에는 중앙은행의 신뢰성 증대 등의 다른 요인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Alfaro(2005)의 경우 단기적으로 개방도의 인플레이션 억제효과는 크 지 않고 각국의 정책공조를 통한 고정환율의 유지가 보다 더 큰 인 플레이션 억제효과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우선 저렴한 수입소비재 로 인한 가격 안정효과는 일반균형론적 차원에서는 제한적일 수 있 다는 견해(Wynne and Kersting, 2007)가 있다. 값싼 소비재로 인해 가계 의 지출여력이 늘어나게 되고, 이는 다른 상품 및 소비재 구매로 이 어져 총수요 압력을 증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전 세계적인 가격 안정은 그 동안 주요국의 통화정책이 성공함에 따라 기대인플 레이션이 하향안정화된 데 기인한다는 견해(Mishkin, 2007)도 있다.

(2) 세계화와 물가: 우리나라의 경우

우리나라의 경우 세계화의 진전이 물가 상승률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간단한 실증분석을 해보았다. 경제의 개 방도를 세계화의 척도로 삼아 개방도와 소비자물가 상승률과의 관 계를 살펴본다. 먼저 개방도 변수를 ‘GDP 대비 수출입 총액’4)으로 측정한 후 이 변수의 변화가 소비자물가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보는

4) 개방도= (실질수출액+실질수입액)/실질GDP. 무역의존도라는 개념으로도 많이 쓰인다.

것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개방도 증가율 간의 상관계수는 -0.27

(기간: 1990년 1분기∼2008년 1분기)이다. 상관계수로만 보면 소비자물가 와 개방도 간에는 음(-)의 관계가 존재한다. 추가적 분석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간단한 물가방정식을 설정한 후 추정하였다.

∆  ∆ ∆ (1) 단, ∆ = 소비자물가 상승률

 = GDP 갭률5): 100×(실제GDP-잠재GDP)/잠재 GDP

∆ = 개방도의 증감률, 개방도

=(실질수출액+실질수입액)/실질GDP

설명변수로는 총수요 압력을 나타내는 GDP 갭률, 전기의 소비자 물가 상승률, 개방도의 변화율을 채택하였다. 이 식의 추정결과가

<표 Ⅱ-2>의 <추정식 1>이다. 모든 추정계수들의 부호는 경제적 논 리에 의거하여 예상되는 부호로 추정되었다. 개방도 증감률에 대한 추정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음(-)의 값을 가져 개방 확대가 물가 안정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그 외 변수들의 추정계수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나머지 3 개의 추정식은 위의 식(1)에 조금씩 변화를 준 형태이다. 추정식 2는 개방도 증감률 대신 개방도 그 자체를 변수로 선택한 예이다. 추정 식 3은 전기의 GDP 갭률 대신 현재의 GDP 갭률을 사용한 경우이 다. 추정식 4는 전기의 GDP 갭률 대신 현재의 GDP 갭률을, 개방도 5) GDP 갭은 분기별 실질GDP(계절조정)HP(Hodrick-Prescott) Filtering하여 잠재

GDP를 추출한 후 실질GDP와의 차이를 구하여 계산하였음.

증감률 대신 개방도 그 자체를 변수로 선택한 경우이다. 모든 경우 에 있어서 개방도 관련 변수의 추정계수는 음(-)의 값을 가졌으며 특 히 개방도 증감률 대신 개방도 자체 변수를 사용하였을 때 통계적 유의성이 높았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추정식을 통하여 얻은 결과를 종합하면, 변수의 시차 및 선정에 따라 통계적 유의성은 차 이가 있었지만 개방도의 확대가 물가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 는 실증적 증거는 얻을 수 있었다. 즉 세계화 또는 무역의 확대가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억제한다는 최근 주장과 부합하는 실증적 증 거가 우리나라에서도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6)

❙표 -2. 물가 방정 식 추정결과

종속변수: 

기간: 19901분기∼20082분기

설명변수

추정식 1 추정식 2 추정식 3 추정식 4

추정

계수 t통계 추정

계수 t통계 추정

계수 t통계 추정

계수 t통계

상수 1.00 5.92*** 1.97 4.49*** 1.01 5.37*** 1.91 4.08***

(-1)

 0.09 2.61** 0.11 2.73*** 0.03 0.53 0.02 0.32

   0.17 1.86* 0.05 0.59 0.18 1.77* 0.07 0.63



 -0.07 -1.37 -1.30 -2.70*** -0.09 -1.64 -1.25 -2.52**

추정통계

= 0.15 Adj- = 0.11

DW = 2.09

= 0.19 Adj- = 0.16

DW = 2.02

= 0.09 Adj- = 0.05

DW = 2.09

= 0.16 Adj- = 0.08

DW = 2.01 : White Heteroskedasticity-Consistent 표준오차 적용

6) 한편 저렴한 수입소비재로 인한 가격 안정효과를 반영하기 위해 개방도 대신 수입비중 (수입액/GDP) 변수를 사용하여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추정결과는 생략) .

(3) 우리나라의 물가 수준 비교

소비자물가 상승률 추이를 통해서 한 나라의 물가 상승 추이를 알 수 있지만 그 나라의 물가 수준이 국제적으로 어떤 수준인지를 알기는 어렵다. 한 나라의 물가 수준을 다른 나라와 비교하여 어느 정도 수준인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PPP(Purchasing Power Parity)환율 을 이용하여야 한다. 시장환율은 외환시장에서 타 국가의 통화와 교 환비율인 반면, PPP환율은 동일한 구매력을 가지는 통화교환비율이 다. 한 나라의 상대적 물가 수준(comparative price level)은 PPP환율을 시장환율로 나누어(PPP환율/시 장환율)구할 수 있다. 시장환율은 통상 달러당 환율을 사용하며 (PPP환율/시 장환율) 값이 1보다 크면 클수록 해당국의 화폐는 달러에 대해 구매력 측면에서 고평가되어 있으며, 1보다 작으면 저평가되어 있는 것이다.7)

OECD 평균을 100으로 할 때 2006년 현재 우리나라의 물가 수준 은 78로서 30개국 중 24번째로 높은 수준으로 OECD 회원국 중에서 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아이슬란드가 147로 가장 높고, 슬로바 키아가 57로 가장 낮다. 한편 우리나라의 상대적 물가 수준 추이를 살펴보면 OECD 가입 시기인 1996년 우리나라의 물가 수준은 81(OECD=100)이었으며 비교대상 30개국 중 23번째 수준이었다. 그 이후 물가 수준은 점차 하락하여 2001년 이후에는 60대 후반과 70

7) 예를 들어 원/달러 PPP환율이 1,000원이고 시장환율이 2,000원이라고 하면 상대적 물가 수준은 0.5이다. /달러 PPP환율 1,000원이 의미하는 바는 미국에서 가격이 1달러인 A상품 한 단위를 우리나라에서는 1,000원이면 구입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시장에서의 교환환율은 달러당 2,000이므로 실제로는 1달러를 환전하여 A 2단위를 구입할 수 있다. 결국 미국보다 물가가 절반 정도로 낮다는 것이다. 반대 (PPP환율/시장환율)1보다 크면 클수록 그 만큼 달러를 자국화폐로 교환하여 구매할 수 있는 구매력이 떨어지므로 물가는 상대적으로 비싸다고 할 수 있다.

대 후반 사이에서 유지하고 있으며 순위도 26, 27번째의 낮은 수준 을 유지하고 있다.

한편 단순히 한 나라의 상대적 물가 수준뿐만 아니라 그 나라의 경제 규모에 비해 물가 수준이 어떠한지를 알아 볼 필요가 있다. 통 상 한 나라의 물가 수준은 그 나라의 국민소득과 비례하는 것으로

❙그림 -3. 주요 OECD 회원국의 상대적 물가 수준(2006년 기준)

1 04

6 2 14 2

11 2 1 09 1 47

12 4 1 07 1 05

78 11 3

6 5 6 0 87

5 7 9 3

12 2

62 1 18

9 8 10 0

0 20 40 60 80 1 00 1 20 1 40 1 60

Aus tralia Czech Republic

Denmark Franc e

Germany Ic eland

Ireland Italy

J apan Korea Luxem

bourg Mexic o

Poland Portugal Slov ak Re

public Spain

Swede n

Turkey U nited Kingdom

United State s

OECD

자료: OECD

❙그림 -4. 한국의 물가 수준 추이

76

56

64 70

65 68 68 68

75 78

81

23

26 26

23 25

26 26

27 27

26 2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연 도

20 22 24 26 28 30 32 34

가격 지 수 한국 순 위

: OECD=100 자료: OECD

알려져 있다. 즉 국민소득이 높아질수록 물가 수준도 높아진다는 것 이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통상 다음과 같은 설명이 따른다. 개인의 소득이 높아질수록 서비스업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그 나라 경제 에서 서비스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진다. 반면 서비스업을 구 성하는 상당수의 상품과 용역은 비교역재이기 때문에 교역재와 같 이 무역에 따른 경쟁으로 인한 가격인하를 기대하기가 힘들다. 따라 서 국민소득이 증가할수록 서비스 상품 및 용역 가격이 상승하고 이 로 인해 전체 물가 수준도 높아진다는 것이다.

<그림 Ⅱ-5>는 1인당 국민소득과 물가 수준을 두 축으로 하여 OECD 회원국의 2006년 현재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룩셈부르크와 같이 국민소득에 비해 물가가 상당히 낮은 예외적 경우도 있지만 대 부분의 국가들은 국민소득과 물가 수준의 비례관계를 만족하는 것 으로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도 국민소득과 물가 수준의 추세선8) 상(또는 조 금 낮은 수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8) 룩셈부르크는 특이점(out lier)으로 판단하고 추세선 추정에서 제외하였다.

❙그림 -5. OECD 회원 국의 1인당 국민소득과 물가 수 준(2006년 기준)

Ic eland Denmark

S witzerland Norway Ireland Sweden France UK

Italy Netherlands

Japan Canada Spain USA

New Zealand

Greec e P ortugal

Korea Mexico

Turk ey Poland Hungary

Slovak RepublicCz ec k Republic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Korea

: 1. 물가 수준은 2006년 현재 OECD 평균을 100으로 설정하였을 때 상대적 수준 2. 1인당 GDP2000년 기준 OECD 평균(PPP 적용)100으로 했을 때 2006

현재 각국의 상대적 수준 자료: OEC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