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생산자물가 상승의 결정요인

(1) 분석모형과 분석자료 1) 분석모형

본 연구에서는 주요 산업별 생산자물가의 상승의 원인을 주요 요 인별로 분해하고자 한다. 생산자물가 상승요인은 크게 나누어 생산 에 있어서 원부자재 등 중간재투입가격의 변화, 임금 상승, 세금, 이 자율 등 금융비용의 증가에서 찾을 수 있다. 이를 보다 세분화하면 중간재의 경우 국내 중간재가격의 변화, 수입된 원자재 또는 자본재 가격의 변화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산자물가 상승요인을 생산자물가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지되고 있는 국산 원자재가격, 수입 원자재 가격 및 임금 상승과 같은 요인과 이들 가격의 변화에 따른 생산방 식의 변화, 즉 생산성 변화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기본모형은 후지가와교시(籐川淸史)(2005)의 모형과 이 에 바탕을 둔 Jin-Myon Lee, Takatoshi Watanabe and Kiyoshi Fujikawa(2006)의 모형을 활용하고자 한다. 우선 생산자물가 상승의 요인별 분해를 위한 분석모형을 살펴보자.

생산자물가 상승의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모형은 산업연관표 상의 투입-산출관계에서 균형가격 결정모형에서 유도할 수 있다. 산 업연관표상 균형가격은 중간투입으로 사용되는 상품의 가중평균가격 에 임금, 금융비용과 같은 부가가치 부문의 가격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생산자물가를 결정하는 균형식은 다음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

여기서 : 산업별 국내 가격벡터, : 산업별 수입 가격벡터,

: 수입 중간재투입계수 행렬, : 노동 투입계수(대각행렬), : 임 금 벡터, : 피용자보수 외 다른 부가가치요인,      : 레 온티에프 역행렬, : 국내 중간재투입계수 행렬을 나타낸다.

이 식에서 시점 2와 시점 1 간의 가격 변화는 두 기간의 균형가격 식의 차이로 표시된다. 즉

     

이를 후지가와교시(籐川淸史)(2005)의 방법에 따라 재정리하면 두 시 점 간의 가격 변화의 구성요인은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     

   <수입 중간재투입에 의한 가격 변화>

  

<수입 중간재투입에 의한 생산성 변화>

   <임금 변 화>

   <노동생산성 변 화>

     

<국내 중간재투입의 생산성 변화>

 <피용자보수 외 다른 부가가치요인의 변 화>

따라서 이 식을 활용하면 두 기간의 생산자물가 상승은 수입 중 간재투입에 의한 가격 변화, 수입 중간재투입에 의한 생산성 변화, 임금 변화, 노동생산성 변화, 국내 중간재투입의 생산성 변화, 피용 자보수 외 다른 부가가치요인의 변화에 의한 부분으로 분해할 수 있 게 된다. 이 중 수입 중간재의 가격 변화, 임금 변화, 피용자보수 외 다른 부가가치요인의 가격(금융 비용)변화는 가격을 상승시키는 요인 으로 작용하고, 중간재투입에 의한 생산성 변화, 노동생산성 변화, 국내 중간재투입의 생산성 변화는 가격을 하락시키는 요인으로 작 용하게 된다. 이런 요인들로부터 생산자물가 상승을 가져오는 요인 이 무엇인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2) 분석자료

생산자물가 상승을 가져온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이상의 방법론 은 국내 중간재투입계수 행렬(), 수입 중간재투입계수 행렬(), 노동투입계수()와 같이 산업연관표에서 작성될 수 있는 계수행렬 을 필요로 한다. 아울러 산업연관표와 동일한 산업분류기준의 산업 별 국내 가격벡터(), 산업별 수입 가격벡터(), 임금벡터() 등 을 필요로 한다. 또한 총투입은 중간투입과 부가가치부분으로 구성 된다는 투입산출관계, 중간수요와 최종수요의 합계가 총산출이 되는 관계가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런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자료는 한국은행에서 발간하고 있는 󰡔연속불변산업연관표󰡕 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연속불

변산업연관표󰡕 는 1990년, 1995년, 2000년을 연결한 󰡔1990-1995-2000 년 접속불변산업연관표󰡕 가 작성되었을 뿐이다. 이 자료를 활용할 경 우 각종 중간투입계수 행렬을 구할 수 있으며, 경상가격표와 불변가 격표로부터 관련 가격벡터를 구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를 위한 목적에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의 생산자물가 상승요인을 규명 하기 위한 목적에 비추어 최근의 자료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불변 산업연관표를 좀더 최근까지 연장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1990-1995-2000년 접속불변산업연관표󰡕 를 이 용하되 이미 발표된 2003년의 경상가격 산업연관표와 국민계정(경제 활동별 국내 총생산과 요소소 득)의 산업부문별 총산출, 중간투입, 부가가 치 자료를 활용하여 2005년 불변산업연관표를 추계하기로 하였다. 불변화를 위해서는 각종 물가자료(생산자물가, 수입물가, 임금)를 활용하 여 기존 접속불변산업연관표에서 구해진 가격지표를 연장하였다. 물 가자료 가운데 산업별 생산자물가지수는 통계청의 생산자물가지수 (기 본분류)를 사용하였다. 수입물가지수는 통계청의 수입물가지수(기 본분류)를 사용하였다. 여기서 서비스부문 하위 수준 항목의 물가 중 미비한 부문은 전체 서비스 부문의 물가 상승률을 사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목적에 맞는 연구를 위해 2005년까지 산업연관표 를 연장하는 데 있어서는 산업분류를 2005년도 국민계정(경제활동별 국내총생 산과 요소소득 )자료의 산업부문과 일치시키기 위한 산업코드 매칭 작업이 필요했다. 산업코드 매칭은 2005년도까지 연장표를 만 들기 위해 경제활동별 국내총생산과 요소소득에서 제공하는 산업분 류기준으로 하는 것이 필요했는데, 이는 접속불변산업연관표의 75개 산업부문(<표 Ⅱ-22> 참조)을 국민계정상의 산업분류표(<표 Ⅱ-23> 참조) 로 통합하였다.

국민계정상의 산업분류표는 농업 임업 및 어업, 광업과 1) 식・음 료품, 담배 2) 섬유및 가죽 3) 목재, 종이, 출판 및 인쇄 4) 석유, 석 탄 및 화학제품 5) 비금속광물제품 6) 금속제품 7) 기계 및 전기전 자기기 8) 운수장비 9) 가구 및 기타제조업의 9개 제조업, 그리고 전 기, 가스, 수도사업, 건설업,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 운수, 창고 및 통 신업, 금융보험업,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업,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 보장,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 사업의 9개 서비스업, 총 20 개 산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20개 산업부문 의 생산자물가 상승요인을 앞서 언급한 물가 상승의 구성요인별로 분해하여 물가 상승요인을 구분하고자 하는 것이다.

2003년 경상산업연관표의 불변화, 2005년 불변산업연관표의 작성 을 위해서는 전통적으로 많이 활용되는 RAS방법을 활용하였다.22) 특히 2005년도의 산업연관표 작성을 위해 RAS방법을 적용하는 데 있어서는 중간수요와 최종수요 비중이 2003년과 동일하다는 가정을 전제로 하였고, 부가가치 부문에 있어서 노동분배율이 역시 2003년 과 동일하다고 가정하였다.

22) Suahasil Nazara, Dong Guo, Geoffrey J. D(2003), Hewings and Chokri Dridi PyIO: Input-Output Analysis with Python, Regional Economics Applications Laboratory,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을 활용하였다.

❙표 -22. 연결 불변산 업연관표 산업분류(75개 부문)

부문 산업 명 부문 산 업명

00 1 작물 03 9 도자 기 및 점 토제품

00 2 축산 04 0 시멘트 및 콘크 리트제 품

00 3 임산 물 04 1 기 타 비금속 광물 제품

00 4 수산 물 04 2 선철 및 조 강

00 5 석탄 04 3 철강 1차제 품

00 6 원유 및 천연가 스 04 4 비 철금속 괴 및 1차 제품

00 7 금속광 석 04 5 금 속제품

00 8 비 금속 광물 04 6 일반목 적용 기계 및 장 비 00 9 육류 및 낙농 품 04 7 특수목 적용 기계 및 장 비 01 0 수 산가 공품 04 8 전 기기계 및 장치 01 1 정 곡 및 제분 04 9 전자 기기 부분 품 01 2 제 당 및 전분 05 0 영 상, 음 향 및 통신 기기 01 3 빵, 과자 및 국 수류 05 1 컴퓨 터 및 사 무기기 01 4 조미 료 및 유 지 05 2 가정 용 전 기기 기 01 5 과채 가공 품 및 기타 식료 품 05 3 정 밀기기

01 6 음료 품 05 4 자 동차

01 7 배합사 료 05 5 선박

01 8 담배 05 6 기타 수 송장비

01 9 섬유 사 05 7 가구

02 0 섬유직 물 05 8 기타 제조 업제 품

02 1 의복 및 장신 품 05 9 전력

02 2 기타 섬유 제품 06 0 도 시가스 및 수도 02 3 가죽 및 가죽제 품 06 1 건 축 및 건축 보수

02 4 목재 및 나무제 품 06 2 토 목건설

02 5 펄 프 및 종이 06 3 도 소매

02 6 인 쇄, 출판 및 복제 06 4 음 식점 및 숙박

02 7 석탄제 품 06 5 운수 및 보 관

02 8 석유제 품 06 6 통신 및 방 송

02 9 유 기화학 기 초제품 06 7 금융 및 보 험

03 0 무 기화학 기 초제품 06 8 부 동산

03 1 합 성수 지 및 합성 고무 06 9 사업 서비 스

03 2 화학섬 유 07 0 공 공행정 및 국방

03 3 비 료 및 농약 07 1 교육 및 연 구 03 4 의약 품 및 화장 품 07 2 의 료, 보 건 및 사회 보장

03 5 기타 화학 제품 07 3 문화오 락서 비스

03 6 플 라스틱 제품 07 4 기 타 서 비스

03 7 고무제 품 07 5 사 무용품

03 8 유리제 품

❙표 -23. 경제활동별 국내총생산과 요소소득에서 의 산업분류

부문 산업부문

1 농업 임업 및 어업

2 광업

3 제조업

4 1) 식음료품 담배

5 2) 섬유 및 가죽

6 3) 목재, 종이, 출판 및 인쇄

7 4) 석유, 석탄 및 화학제품

8 5) 비금속광물제품

9 6) 금속제품

10 7) 기계 및 전기전자기기

11 8) 운수장비

12 9) 가구 및 기타제조업

13 전기, 가스, 수도사업

14 건설업

15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

16 운수,창고 및 통신업

17 금융보험업

18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업

19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20 교육서비스업

21 보건 및 사회복지 사업

(2) 생산자물가 상승원인 분석

두 기간에 걸쳐 생산자물가 상승을 가져온 요인을 분해한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두 기간에 걸친 생산자물 가 변화에서 수입 중간재의 가격 변화, 임금 변화, 피용자보수 외 다

른 부가가치요인의 가격(금융비용) 변화는 가격을 상승시키는 요인으 로 작용하고, 중간재투입에 의한 생산성 변화, 노동생산성 변화, 국 내 중간재투입의 생산성 변화는 가격을 하락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하게 된다.

이상에서 분석대상이 된 21개 산업분류에서 생산자물가의 변화요 인에서의 현저한 특징을 19902000년간과 20002005년간의 두 기 간에 걸쳐 살펴보았다.

우선, 가장 현저한 특징은 생산자물가의 상승에 중간재의 가격 변 화로 인한 영향이 가장 크게 나타나고 있다. 수입 중간재가격 변화 에 따른 투입계수의 변화, 임금인상에 따른 노동투입계수의 변화의 총체적인 효과로서 생산자가격의 상승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둘째, 생산자가격의 변화에 임금인상의 역할이 매우 크다는 사실 이다. 대부분 산업에서 임금인상이 생산자 가격의 변화에 커다란 기 여를 하고 있다. 이처럼 높은 임금인상에도 불구하고 노동생산성 증 가 역시 현저하게 높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임금 상승이 노동생산성 증가를 크게 능가하고 있다.

셋째, 수입 원자재가격 상승의 역할 역시 생산자물가의 상승에 상 당한 기여를 하고 있다. 하지만 수입 원자재가격 상승에 대해서는 수 입 원자재를 절약하려는 생산성 증가노력 역시 크게 진전되고 있다.

넷째, 기타 부가가치 구성요인에 의한 금융비용은 점차 감소하면 서 대부분 산업부문에서 물가 상승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 다. 안정에 기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