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교육 현장에서 다문화 배경을 지닌 학생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정부 는 이들의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다양한 교육지원 정책을 실행하고 있다(오성배, 박희훈, 2018: 72). 2012년 한국어(KSL) 교육과정 고시와 더불어 한국어 능력과 한국문화 이해 증진을 위해 초 중등학교에는 ‘다문화 예비학교’가 도입되었다.

2018년 현재 197개교(223학급, 시・도교육청 자체 지정 포함)에서 운영 중인 예비 학교에서는 중도입국・외국인 학생의 학교 적응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및 한국문 화 집중교육을 제공하여 원활한 공교육 진입을 지원하고 있다(교육부, 2018a: 1).

유아교육 현장에도 외국인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이 부족 한 유아의 취원 사례가 증가하고 있어, 이들 유아에 대한 한국어(KSL)2)교육 지원 에의 요구 또한 높아지고 있다. 특히 경기도 안산시, 안성시, 시흥시, 동두천시 등 외국인 주민 밀집 거주 지역 유치원의 경우 수업 진행이 어려운 경우도 나타나는 등 별도의 한국어교육 지원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유아기는 급속한 언어발달이 이루어지는 시기로, 향후 초등학교에서의 언어학 습과 다른 교과목 학습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이차숙, 2005; 정남미, 2013).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한국어 능력 부족으로 인한 초기 학습 지체가 추후 학습에 미치는 부정적이고 누적적인 영향을 고려할 때 유아교육 기관에서 다문화가정 유 아의 한국어 능력의 함양에 대한 교육지원이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교육부에서도 2017년 말 발표한 유아교육 혁신방안 중 하 나로 다문화유아(가정)에 대한 교육기회 확대를 제시하였고, 다문화유아 언어발달

2) KSL(Korean as a Second Language)는 모국어가 아닌 제2 언어로서의 한국어를 의미함.

지원, 일반유아의 통합・소통 프로그램 등을 통해 또래 유아와의 유대 형성 및 편 견 해소를 위한 지원을 모색하고 있다(교육부, 2017). 또한 다문화유아 대상 통합 (개별)언어 교육 제공 등 교육을 지원을 위한 다문화유치원이 운영 중이다. 그러 나 다문화 유치원은 국내 출생 다문화유아 언어발달 지원을 중심으로 운영하여 외국인 유아 집중지원은 한계를 보인다. 이에 실제적인 유아교육 사각지대에 놓 인 외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유아에게 적합한 교육기회 제공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외국인 유아 대상 제2 언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지원 필요성을 확인하고, 무엇보다 유치원 특성에 적합한 한국어학급 도입에 대한 검토와 그를 토대로 한 한 국어교육 지원 모형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유아의 언어 발달 수준에는 개인차가 존 재할 수 있으며 다양한 유아들의 언어발달 수준을 파악하여야 적합한 지원이 가능하 므로(윤진주, 2007; 김순환・전우용, 2016) 유아의 한국어 성취 정도를 가늠하는 기 준, 척도 등에 대한 검토도 필요하다. 특히 이주 가정의 유입이 많은 국가들의 유아 교육 현장에서 언어교육(ESL: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JSL: Japanese as a Second Language 등) 사례 검토를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유아와 유아교육 현장의 요구에 부합하는 유치원 한국어학급 운영에 대한 검토와 한국어교육 지원방안에 대한 제언을 담고자 한 다. 이에 본 연구는 외국인가정 유아의 한국어 능력 함양을 위해 유아교육기관에 서의 언어교육 지원 국외 사례를 고찰하고, 현재 외국인 가정 유아의 한국어교육 을 담당하는 교사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유치원 ‘예비학교’

운영을 중심으로 하는 한국어교육 지원 방안을 구체화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연구 내용

유치원에서의 외국인 학생을 위한 한국어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본 연 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교육현장에서의 한국어교육 지원 제도를 파 악한다. 현재 초・중・고에서 운영 중인 예비학교 및 특별학급 제도를 살펴보고, 다 문화유치원 현황을 검토한다.

둘째, 외국인 관련 통계와 다문화교육 관련 통계자료를 수합하여, 한국어교육 지원이 필요하게 된 유치원의 환경 변화를 살펴본다. 또한 교육부에서 제시한 2018 유치원 예비학교 운영계획을 확인한다.

셋째, 언어교육 지원 관련 국외 사례를 고찰하여 유치원에서의 한국어교육 지원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무엇보다 이주 가정의 유입이 많고 학교에서의 언어교육 지 원의 역사가 깊은 일본, 독일, 호주, 캐나다 등 국외 사례를 발굴 검토하여 유치원 한 국어학급 운영 및 한국어능력 평가방안 등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한다. 구체적으로 사 례 국가에서 외국인 또는 이민자 등의 언어교육 지원에 대한 운영 배경 및 목적, 관 련법령, 지원유형, 운영방법, 성취평정방법 및 도구, 특징 등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넷째, 유아 대상 한국어능력 진단・성취평가에 대한 선행연구 및 현재 활용 중 인 도구를 파악한다. 3-5세 누리과정 의사소통 영역 평가척도, 영유아 언어인지 사회정서 발달 평가도구 등 관련 척도를 비교한다.

다섯째, 유치원 한국어교육 지원 현황과 개선요구를 파악한다. 유치원 현장에 서 한국어교육 지원을 담당하는 교원과 전문가를 통해 외국인 가정 유아 대상 지 원의 어려움과 개선방안을 구체화하여 예비학교 및 한국어교육 지원 확대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여섯째,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치원 내 한국어학급(예비학교) 운영 방안을 제안 한다. 교육부에서 제시한 2018 유치원 예비학교 운영계획을 기준으로 하되, 유아 교육 현장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유치원 내 한국어학급의 운영에 대해 한 가지의 운영 모형이 아닌 일반학급에서의 통합교육, 분리학급에서의 집중교육, 찾아가는 교육 등 고려될 수 있는 다면적인 방법에 대해 제언한다.

3 연구 방법

가. 문헌연구

문헌연구의 방법으로 다음을 파악하였다.

첫째, 다문화 가정(이주가정, 외국인가정) 유아 대상 한국어교육 선행연구를 검 토하였다.

둘째, 초・중・고에서 운영 중인 예비학교, 한국어학급(특별학급) 설치 기준을 살

한국어교육 지원 현황

1. 한국어교육 지원 현황 2. 유치원 예비학교 운영안 3. 유아용 한국어 진단도구 4. 선행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