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 결과

문서에서 목 차 (페이지 76-83)

이 연구는 구조화된 보드게임이 초등학교 1학년 ADHD아동의 주의력에 미치는 영 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설계되었으며 이러한 효과가 ADHD아동의 하위유형별로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함께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충동성 반응 감소에 미치는 효과

다음은 구조화된 보드게임이 초등학교 1학년 ADHD 아동의 주의력에 해당되는 충 동적인 반응 감소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결과이다. 또한 이러한 효과가 ADHD 아동의 하위유형별로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함께 살펴보았다. 충동적인 반응 감소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GDS 검사항목 중에 반응지연검사(Delay Tasks)결과를 알아보면 다음 과 같다.

1) 반응지연검사(Delay Tasks)

구조화된 보드게임이 초등학교 1학년 ADHD 아동의 충동적인 반응 감소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결과는 <표 8>과 같다.

<표 8>에 의하면 실험집단의 경우 아동 B와 C는 반응지연 검사에서 사전검사에서 의 전체 반응수가 비정상수준에 해당하는 낮은 점수를 보였으나 사후검사에서는 전체 반응수가 정상수준으로 오르는 등 매우 큰 폭으로 향상되어 충동성 수준을 나타내는 반 응 효율성 점수 또한 아동 B같은 경우에는 .43의 큰 점수 변화를 보였다. 아동 C같은 경우는 전체 반응수가 큰 폭으로 향상되면서 반응 효율성 점수가 .09정도 하락한 것으 로 나타났으나 전반적으로는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 외의 아동 A를 제외하고 아 동 D와 E도 충동성인 반응에서 조금씩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집단의 경우는 점 수의 변화가 나타났으나 점수의 변화량이 .04이하로 나타났으며 아동 B같은 경우에는 오히려 충동적인 반응이 .20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간의 변화량을 살펴 보면 실험집단의 아동들은 충동적인 반응에서 .40이상으로 감소하였으나 통제집단의 아 동들은 충동적인 반응에서 오히려 .24로 충동적인 반응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 ADHD 아동의 하위유형별 분석

<표 8>에 의하면 반응지연검사에서 ADHD 아동 중 복합형 아동으로 진단 분류된 B아동만이 반응 효율성에서 .43의 큰 폭으로 충동적인 반응이 감소하였으며 복합형 아 동 C아동이 전체 반응수와 정반응 수에서 30이상이 큰 폭의 변화량을 보였다. 큰 폭의 변화량을 보인 아동 모두 복합형 아동이었으나 아동 A는 오히려 충동성 수준이 -1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ADHD 아동 중 주의력결핍 우세형으로 진단 분류된 아동 C와 D는 통제집단에서 오른 점수변화량과 비슷한 반응을 보여 주로 충동적인 반응 감소에 서 큰 변화량을 보인 것은 모두 복합형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이것으로 보드게임이 ADHD 복합형 아동에게 충동적인 반응감소에 효과가 있었다고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표 8> 반응지연검사(Delay Tsks) 변화량 아동

(하위유형)

전체 반응 수 정 반응 수 반응 효율성

사전 사후 사전 사후 사전 사후

실험 집단

A (복합형)

76 77(-1) 48 48(+0) 0.63 0.62(-.01)

B B N N B B

B (복합형)

84 52(+32) 45 51(+6) 0.53 0.98(+.45)

A N N N B N

C (복합형)

23 59(+36) 23 54(+31) 1 0.91(-.09)

A N B N N N

<표 8> 계속 아동 (하위유형)

전체 반응 수 정 반응 수 반응 효율성

사전 사후 사전 사후 사전 사후

실험 집단

D (주의력결핍

우세형)

64 63(+1) 41 41(+0) 0.64 0.65(+.01)

N N B B B B

E (주의력결핍

우세형)

65 63(+0) 45 46(+1) 0.69 0.73(+.04)

N N N N B B

변화량 (+66) (+38) (+.40)

통제 집단

A (주의력결핍

우세형)

77 72(+5) 51 48(-3) 0.66 0.66(+.00)

B B N N B B

B (주의력결핍

우세형)

77 81(-4) 56 46(-10) 0.72 0.52(-.20)

B A N N B A

C (주의력결핍

우세형)

57 55(+2) 54 52(-2) 0.94 0.94(+.00)

N N N N N N

D (복합형)

50 55(-5) 49 50(+1) 0.98 0.90(-.08)

N N N N N N

E (복합형)

59 59(+0) 46 48(+2) 0.77 0.81(+.04)

N N N N B N

변화량 (-2) (-12) (-.24)

N→Normal 표준, B→Bordreline 경계선, A→Abnormal 비정상 / + 향상, - 감소

<표 9> 반응지연검사(Delay Tsks) 점수 표

Delay Tsks

기준 비정상 경계선 정상

전체 반응 수 >78 75-66 ≦65

정 반응 수 ≦21 22-41 ≧42

반응 효율성 0.51 0.52-0.78 0.79-1.0

2. 지속적인 주의력에 미치는 효과

다음은 구조화된 보드게임이 초등학교 1학년 ADHD아동의 주의력에 해당되는 지 속적인 주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결과이다. 또한 이러한 향상정도가 ADHD의 하위유형별로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함께 살펴보았다. 지속적인 주의력 향상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GDS 검사항목 중에 경계반응검사(Vigilance Tasks)결과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1) 경계반응검사(Vigilance Tasks)

구조화된 보드게임이 초등학교 1학년 ADHD아동의 지속적인 주의력 향상에 미치 는 효과에 대한 결과는 <표 10>과 같다.

<표 10>에 의하면 실험집단의 경우 아동 B는 경계반응검사에서 사전검사에서의 정 반응수가 비정상수준에 해당하는 낮은 점수를 보였으나 사후검사에서는 전체 반응수 가 정상수준으로 오르는 등 매우 큰 폭의 변화량을 보여 지속적인 주의력이 향상되었 다. 또한 아동 A 또한 경계선수준에 해당되는 점수를 보였으나 사후검사에서는 정 반응 수가 정상수준으로 지속적인 주의력이 향상되었다. 또한 두 아동 모두 놓친 반응이 0으 로 나타났으며 과 반응 오류 수 또한 평균 13.5정도 줄어들었다. 그 밖에도 E 아동을 제외하고 모든 점수에서 정반응전반적으로는 지속적인 주의력이 향상된 것을 볼 수 있 었다. 통제집단의 경우는 점수의 변화가 나타났으나 점수의 변화량이 정 반응수는 8정 도 향상되었으며 놓친 반응 수 또한 11정도 줄어들었으며 과 반응 오류 수 또한 15정도 줄어들어 지속적인 주의력이 조금씩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간의 변화량을 살펴보면 실험집단의 아동들은 정 반응수가 평균 30이상으로 향상되었으며 놓친 반응 수 또한 평균 27로 많은 감소를 보여주었다. 과 반응 오류 수 또한 평균 50정도가 감소 하여 실험집단의 아동이 지속적인 주의력에 해당되는 모든 수치에서 평균 2~3배 정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2) ADHD 아동의 하위유형별 분석

<표 10>에 의하면 경계반응검사에서 ADHD 아동 중 복합형 아동으로 진단 분류된 A아동과 B아동 모두 10이상의 점수 변화량을 보였으며 놓친 반응이 모두 0으로 사전검 사에서 놓쳤던 반응이 없어졌다. 또한 과 반응 오류 수 보다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에 서 5배 이상 줄어드는 등 지속적인 주의력이 크게 향상된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복합형에 속하는 C아동은 점수 변화량에서 향상되기는 하였으나 두 아동들처럼 큰 폭 의 변화는 보이지 않았으며 주의력 결핍 우세형 아동 D와 비슷한 향상을 보여주었다.

지속적인 주의력 향상을 나타내는 경계반응검사에서 큰 폭의 변화량을 보인 아동 모두 복합형 아동이었으나 복합형 아동인 C는 주의력결핍 우세형으로 진단 분류된 아동 D와 비슷한 수치의 향상을 보여 이것으로 보드게임이 ADHD 복합형 아동에게 지속적인 주 의력향상에 효과가 있었다고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표 10> 경계반응검사(Vigilance Tasks) 변화량 아동

(하위유형)

정 반응 수 놓친 반응 과 반응 오류 수

사전 사후 사전 사후 사전 사후

실험 집단

A (복합형)

33 45(+12)

9 0(+9) 14 3(+11)

B N B N

B (복합형)

28 45(+17)

17 0(+17) 23 7(+16)

A N A B

C (복합형)

42 45(+3)

3 0(+3) 21 13(+8)

N N A A

D (주의력결핍

우세형)

34 37(+3)

11 8(+3)

12 3(+9)

B B B N

E (주의력결핍

우세형)

38 33(-5)

7 12(-5)

13 7(+6)

B B B N

변화량 (+30) (+27) (+50)

통제 집단

A (주의력결핍

우세형)

35 37(+2)

3 1(+2)

25 15(+10)

B B A A

B (주의력결핍

우세형)

38 43(+5)

7 2(+5)

11 9(+2)

A N B B

C (주의력결핍

우세형)

38 34(-4)

7 10(+3)

35 30(+5)

B B A A

D (복합형)

33 39(+6)

12 13(-1) 28 30(-2)

B N A A

E (복합형)

38 37(-1)

7 5(+2) 5 5(+0)

B B N N

변화량 (+8) (+11) (+15)

N→Normal 표준, B→Bordreline 경계선, A→Abnormal 비정상 / + 향상, - 감소

<표 11> 경계반응검사(Vigilance Tasks) 점수 표 Vigilance Tasks

기준 비정상 경계선 정상

정 반응 수 ≦33 34-38 ≧39

과 반응 오류 수 ≧19 8-18 ≦7

3. 선택적인 주의력에 미치는 효과

다음은 구조화된 보드게임이 초등학교 1학년 ADHD아동의 주의력에 해당되는 선 택적인 주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결과이다. 또한 이러한 향상정도가 ADHD의 하위유형별로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함께 살펴보았다. 선택적인 주의력 향상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GDS 검사항목 중에 주의분산검사(Distractibility Tasks)결과를 알아보 면 다음과 같다.

1) 주의분산검사(Distractibility Tasks)

구조화된 보드게임이 초등학교1학년 ADHD아동의 선택적인 주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결과는 <표 12>와 같다.

<표 12>에 의하면 실험집단의 경우 아동 A는 주의분산검사에서 사전검사에서의 정 반응수가 비정상수준에 해당하는 무작위로 버튼을 누르는 반응을 보였으나 사후검사 에서는 정 반응수가 정상수준으로 오르는 등 매우 큰 폭의 변화량을 보여 선택적인 주 의력이 향상되었다. 또한 아동 A 또한 경계선수준에 해당되는 점수를 보였으며 사전검 사에서 뒤로 갈수록 무작위로 누르는 반응을 보였으나 사후검사에서는 선택적으로 주의 집중을 하여 정 반응수가 정상수준으로 향상되는 등 선택적 주의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그 밖에도 아동 C와 D, E 모두 사전검사와 사후 검사에서의 변화량이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그러나 통제집단의 경우 대부분 사전검사에서 보다 사후검사에서 변화량이 + 보다 - 변화를 보여 선택적 주의력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간의 변화량은 무작위 반응을 보인 아동들로 인하여 변화량을 따지는데 의미가 없어 보여 +와 - 반응 으로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실험집단의 아동이 선택적인 주의력에 해당되는 모든 수 치에서 큰 폭으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2) ADHD 아동의 하위유형별 분석

<표 12>에 의하면 주의분산검사에서 ADHD 아동 중 복합형 아동으로 진단 분류된 A아동과 B아동 C아동이 주의력결핍 우세형과 비교하여 점수의 변화량이 +반응을 보여 사전검사에서 보다 사후검사에서 선택적인 주의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주의력결핍 우세형 아동들은 선택적인 주의력에서 - 반응을 보여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 다. 이것으로 선택적인 주의력 향상을 나타내는 주의분산검사에서 큰 폭의 변화량을 보 인 아동 모두 복합형 아동이었으므로 보드게임이 ADHD 복합형 아동에게 선택적 주의 력 향상에 효과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표 12> 주의분산검사(Distractibility Tasks) 변화량 아동

(하위 유형)

정 반응 수 놓친 반응 과 반응 오류 수

사전 사후 사전 사후 사전 사후

실험 집단

A (복합형)

22 43(+21)

23 2(+)

29

(무작위) 3

A N A N

B (복합형)

15 27(+12)

30 18(+)

50

(무작위) 15

B N A B

C (복합형)

41 45(+4)

4 0(+4) 12 13(-1)

N N B B

D (주의력결핍

우세형)

15 13(-2)

40 32

151 (무작위)

121 (무작위)

B B A A

E (주의력결핍

우세형)

36 33(-3)

9 12(-3)

4 4(+0)

N N N N

통제 집단

A (주의력결핍

우세형)

41 31(-11)

4 12 22 262

(무작위)

N B A A

B (주의력결핍

우세형)

38 38(+0)

7 7(+0)

17 34(-17)

N N B A

문서에서 목 차 (페이지 76-8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