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의 목적은 건강도시를 조성하고자 하는 계획수립 주체(지자체 등)의 입장에서 해당 지역의 근린환경이 건강도시가 지향하는 목표에 얼마나 부합한지를 진단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그 지역이 건강도시로 나아가기 위한 도시계획·설계 및 제도적 측면의 대안을 예시적으로 제시하는데 있다. 특히, 건강도시의 관점에서 근린환경 진단 및 개선안 마련에 대한 절차, 대상지 선정, 진단 방법, 결과 해석, 도시계획·설계적 대안 및 제도적 차원에서의 방안 마련 등의 일련의 과정에 대한 보편적이고 체계화된 정보를 포함한 안내서를 마련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인 동시에 최종 결과물이다.

2. 연구의 체계

1) 2차년(2013-2014년) 연구추진 프레임워크

‘웰빙사회를 선도하는 건강도시 조성방안 연구’는 작년에 이어 올해까지 2차년에 걸쳐 추진되었다. 우선 1차년도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실정에 적합한 건강도시의 방향성을 정립하고, 현실에 부합하는 도시계획 요소 등을 도출하여 최종적으로 건강도 시를 조성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다. 2차년도 연구에서는 건강도시 가이드 라인을 실제 근린환경에서 실천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근린환경 진단기준을 도출하고, 도시계획·설계 및 제도적 측면의 대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2) 2014년도 연구추진 프레임워크

올해 연구는 크게 다음의 5단계로 구성된다. 첫째, 1차년도에서 도출한 건강도시 조성 가이드라인에서 근린환경 수준을 평가하고 측정할 수 있는 항목을 선정하고, 기준 검토 및 검증을 거쳐 실천적인 진단기준 및 방법을 도출한다. 둘째, 도출된 기준 및 방법에 근거하여 주요 지자체에 시범적으로 적용하고, 적용 결과를 종합분석

하여 진단 기준 및 방법 등을 보완한다. 셋째, 근린환경 진단결과에 따라 도출된 우선처방지역에 대해 도시계획·설계 및 제도적 대안방안을 제시하여 신체활동 촉진, 안전한 도시환경, 모두가 건강한 도시환경, 쾌적한 도시환경, 공동체의식 증진 등 건강도시 5대 목표 달성을 위한 개선안을 예시적으로 마련하고자 한다. 넷째,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정리하여 건강도시를 만들기 위한 근린환경 진단 및 개선 안내서를 마련한다. 다섯째, 도시계획수립 및 도시정비 차원에서 안내서의 활용방안을 제안하 고자 한다(그림 1-1 참조).

<그림 1-1> 2013~2014년 연구추진 프레임워크

1. 토지이용계획

1. 신체활동 촉진을 위하여 토지이용을 혼합하고, 도로 연결성을 강화한다.

2. 건강 유해 환경을 최소화하는 토지이용을 계획한다.

2. 오픈스페이스

1. 어디서나 가깝고, 누구나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곳에 오픈스페이스를 계획하여 도시민의 신체활동을 증진시킨다.

2. 다양한 기능과 목적을 수용하는 오픈스페이스를 계획하여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공간으로 개편한다.

3. 안전한 오픈스페이스를 계획하여 안심하고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4. 휴식 및 신체 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오픈스페이스를 고루 배분하여 소외지역이 없도록 계획한다.

5. 자연친화적인 설계와 지속가능한 유지관리 계획을 수립하여 쾌적한 공간을 조성한다.

3. 주거 및 근린환경

1. 주거지역은 보행 및 자전거, 대중교통 접근이 편리하도록 계획하고, 근린시설은 보행권 내에 효율적으로 배치, 연결한다.

2. 심리적 안정과 신체적 활동을 보장하는 안전한 지역사회를 조성한다.

3. 건강한 생활 기반을 위해 깨끗하고 조용한 주거 및 근린환경을 조성한다.

4. 고령사회에 대응하고, 건강취약 계층을 배려한 주거 및 근린환경을 조성한다.

5. 심리적, 사회적으로 소속감을 느끼도록 편안하고 기분 좋은 환경을 조성한다.

4. 건강교통

1. 보행·자전거·대중교통 중심의 개발을 통해 건강교통 네트워크를 실현한다.

2. 건강한 생활을 위해 누구나 안전하게 통행 할 수 있도록 한다.

3. 외부 활동을 활성화 할 수 있는 건강한 가로환경을 조성한다.

5. 지역 보건의료환경

1. 보건 및 의료환경의 교통 접근성을 강화하고, 생활권별 응급체계를 구축한다.

2. 의료 취약지역에 대한 공공 의료시설의 우선적인 지원체계 마련과 생활권별 생애주기를 고려한 다양한 의료서비스를 배치한다.

6. 식품환경

1. 안전하고 건강한 식품을 어디서나 손쉽게 접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2. 친환경 식품을 장려하고, 유해식품 억제를 통해 안전한 식품환경을 조성한다.

7. 생활환경관리

1. 대기 및 실내공기의 질과 안전성으로 건강한 생활을 보장한다.

2. 건강한 수자원 공급 및 활용을 위한 계획을 수립한다.

3. 소음지도를 작성하고, 소음 피해를 방지하여 건강한 생활을 보장한다.

4.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에 대응하고, 건강에 유해한 환경을 제거한다.

<표 1-1> 건강도시 조성 가이드라인의 기본원칙 (7대 부문, 23대 기본원칙)

자료: 김태환 외. 2013.

※ 세부 가이드라인은 [부록 2-1] 참조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