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지금까지 추진된 도시계획적 차원에서 접근한 건강도시 연구는 대부분 학술연구로, 실제적으로 건강도시를 조성하고자 하는 도시나 지역들이 염두에 두어야 할 내용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실효성 높은 연구는 거의 없었던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의 가장 큰 차별성은 건강도시를 만들기 위해 계획가나 정책입안자 등이 초점을 두어야 할 계획방향이나 실천적인 가이드라인, 건강도시 관점에서의 현 도시환경의 진단 및 개선안 마련의 방법 등에 대한 내용을 도출하고자 한 것이다.

구 분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연구목적 연구방법 주요 연구내용

1

∙ 과제명: 건강도시 구현을 위한 공간계획 및 정책방안 연구

∙ 연구자(연도): 국토연구원 (2010)

∙ 연구목적: 도시환경 요인이 건 강에 미치는 영향 규명 및 건강 도시 계획방향 제시

∙ 국내외 건강도시 문헌 조사

∙ 통계․계량 분석을 통한 실증분석

∙ 주민인식조사

∙ 건강도시 개념정립 및 관련이론 검토

∙ 국내외 건강도시 사례 조사

∙ 도시환경 영향요인 분석

∙ 주민인식조사 및 경제적 가치추정

∙ 건강도시 구현을 위한 공간계획 및 정 책방안

2

∙ 과제명: 녹색성장형 건강도시 의 경제적 가치추정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연구자(연도): 국토연구원 (2011)

∙ 연구목적: 우리나라 건강도시 정책의 현주소 진단 및 도시환 경의 개선을 통한 사회적 효용 추정

∙ 국내외 문헌 검토

∙ 전문가 설문조사

∙ 인과관계도 작성 및 SD 모형 개발

∙ 관련 전문가의 의견수렴

∙ 개념정립 및 선행연구 고찰

∙ 관련현황 및 주요사례 조사

∙ 건강도시 지표설정 및 지수산정

∙ 건강도시 구현을 통한 사회적비용 절감 효과 추정

∙ 건강도시 활성화 방안

3

∙ 과제명: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역별 건강장수도시 실태진단 연구

∙ 연구자(년도): 국토연구원 (2012)

∙ 연구목적: 우리나라 도시를 건 강장수도시 관점에서 진단하고 정책방향 설정

∙ 통계분석

∙ 전국 기초지자체를 대상 으로 한 설문조사

∙ 도시환경의 건강장수도 실태 조사

∙ 시민의 건강장수도 분석

- 전국 대상 건강장수도를 비교 분석하여 삶의 질 측면에서 도시정책의 주요 과제 로서 지역별 건강장수 격차 부각

∙ 도시환경의 건강장수도 진단 - 제도기반, 물리환경, 시민실천, 사회환

경 등으로 실태를 진단하고 정책방향 제시

4

∙ 과제명: 웰빙사회를 선도하는 건강도시 조성방안 연구(Ⅰ)

∙ 연구자(년도): 국토연구원 (2013)

∙ 연구목적: ‘시민건강’가치를 도 시계획 수립과정에 구현하는 건강도시 조성 가이드라인 수

∙ 문헌검토

∙ 통계분석 및 GIS 분석

∙ 전문가 설문조사

∙ 건강도시 방향성 설정

- 국내외 관련 문헌검토를 통한 정책적 접근방법 확인

∙ 건강도시 가이드라인의 구성과 내용 검토

- 학술문헌, 해외 가이드라인, 보건의료 전문가 의견 검토

∙ 가이드라인의 주요 구성요소에 대한 실증분석

- 4개 지역 5개 주제의 실증분석 실시

∙ 건강도시 조성 가이드라인 수립 - 3차에 걸친 전문가 설문조사 실시

본 연구

∙ 과제명: 웰빙사회를 선도하는 건강도시 조성방안 연구(Ⅱ)

∙ 2차 연도(2014): 시민이 건강한 도시 조성을 위한 근린환경 진 단 및 개선 안내서 수립

∙ 선행연구 검토

∙ 사례지역별 시범적용 및 평가

- 도면·데이터 분석 - 현장조사 - 지역주민 설문조사

∙ 건강도시 진단을 위한 내용과 방법

∙ 건강도시 진단도구 개발

∙ 건강도시 진단도구 시범적용 및 개선방 안 도출

∙ 근린환경 진단 및 개선 안내서 마련

∙ 건강도시 진단 및 개선을 위한 안내서 활용방안

<표 1-2> 선행연구와 본 연구와의 차별성

chapter II

건강도시 진단의 내용 및 방법

C H A P T E R

건강도시 진단의 내용 및 방법

본 장에서는 1차년도 연구를 통하여 도출한 건강도시 조성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측정가능한 지표로 재분류하여 도시의 물리적 환경을 보다 명확한 관점을 가지고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해외의 건강도시 개발을 위한 평가기준 및 분석, 신체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디자인 체크리스트, 보행편의성 측정 등을 살펴보고 건강도 시 진단을 위한 방법 및 평가항목 구성 등을 검토한 후, 본 연구의 진단 방법론을 정립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