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B. 혈액투석을 받는 당뇨병성 신증 환자의 자가관리행위 영향요인

Ⅲ. 연구방법

본 연구는 혈액투석을 받는 당뇨병성 신증 환자의 자기효능감, 건강정보이 해력과 자가관리행위 정도를 파악하고, 자가관리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B. 연구대상자

본 연구의 표적모집단은 당뇨병성 신증을 진단받고 말기신질환으로 이환되 어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이며 근접 모집단은 경기도 S시 소재 투석병상 32bed 규모 대학병원 1곳과 투석병상 68bed 규모 개인병원 1곳에서 당뇨병성 신증을 진단받고 말기신질환으로 이환되어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로 대학병원과 개인병 원 모두 입원환자가 아닌 혈액투석 치료를 위해 내원하는 외래 환자만을 대상 으로 하였고 대상자 선정기준에 부합되며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서 면 동의한 대상자 109명을 편의 추출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대상자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당뇨병성 신증을 진단받고 혈액투석 치료를 받는 자

2) 주 2∼3회 정기적으로 혈액투석을 받고, 투석 기간이 3개월 이상인 자 3)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설문지의 내용을 이해하고 답할 수 있는 자

본 연구에서 당뇨병성 신증을 진단받고 혈액투석 치료를 받는 자는 당뇨병 의 미세혈관 합병증으로 만성콩팥병이 진행됨에 따라 만성콩팥병 5단계, 사구

체 여과율 15ml/min/1.73㎡미만의 상태에서 요독증을 포함한 체액과다, 불응성 고칼륨혈증, 불응성 산혈증과 같은 증상으로 투석을 통한 교정이 필요한 자이 다(Nesrallah et al., 2014).

본 연구에서 연구대상자를 혈액투석을 받은 지 3개월 이상인 환자로 선정한 이유는 대상자들이 혈액투석으로 인한 신체적 변화와 혈액투석 치료 및 간호에 대한 사회. 심리적 적응시간이 필요하며. 사회 심리적 적응의 첫 번째 시기가 동정맥 회로를 통해 투석이 가능한 6주에서부터 약 3∼6개월경이기 때문이다 (윤순호, 2008).

표본크기는 G*Power 3.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에 필요한 표본 수를 계산한 결과 검정력 .80, 유의수준 .05, 장형숙 등(2015)의 연구결과를 근 거로 한 효과크기 .15, 독립변수 5개를 적용한 결과 92명이었으며, 탈락율을 고 려하여 총 120명을 설문조사 하였고 이중 답변 내용이 불충분한 11부를 제외하 고 109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C. 연구도구

3. 자가관리행위

자가관리행위는 전영희(2018)가 당뇨병성 신증 혈액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총 23문항, 6개의 하부영역으로 식이관리 7문항, 운동관리 3문항, 매일 모니터 3문항, 약물복용 3문항, 투석 혈관 관리 3 문항, 스트레스 및 정보관리 4문항으로 구조화 되어 있으며 각 항목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까지 리커트 5점 척도로, 최저 23점에 서 최고 115점까지이며 각 문항의 점수를 더한 총점이 높을수록 당뇨병성 신증 혈액투석 환자의 자가관리행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개발당시 연구의 신뢰도 Cronbach’s α 값은 .83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도구의 Cronbach’s α 값은 .82였 다.

D. 자료수집방법 및 절차

E. 자료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고 구체 적인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질병관련 특성, 자기효능감, 건강정보이해력, 자가관 리행위는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산출하였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자가관리행위의 차이는 Ind ependent t-test와 one-way ANOVA로 분석하였다.

3. 대상자의 자기효능감, 건강정보이해력, 자가관리행위와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4. 대상자의 자가관리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위계적 다 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Ⅳ. 연구결과

A. 대상자의 일반적 및 질병관련 특성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은 남자가 60명(55%), 여자가 49명(45%)으 로 나타났다. 연령은 29∼89세로 평균 61.45(±13.02)세였으며, 결혼 상태는 미혼 이 12명(10.9%), 기혼이 70명(63.6%), 이혼(사별)이 27명(24.5%)이었다. 교육정 도는 초등학교 졸업 이하가 22명(20.2%), 중학교 졸업이 15명(13.8%), 고등학교 이상 졸업이 72명(66.1%)으로 나타났다. 경제상태는 상(월수입 250만원 이상)이 24명(22%), 중(월수입 150∼250만원)이 15명(13.8%), 하(월수입 150만원 미만) 가 70명(63.2%)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주거형태는 본인만 생활하 는 경우가 22명(20.2%)였으며, 가족과 함께 생활하는 경우가 87명(79.8%)으로 나타났다. 직업은 있다가 15명(13.8%), 없다가 94명(86.2%)으로 대부분을 차지 하였다.

<표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N=109)

특성 구분 실수 백분율(%) 평균±표준편차

성별 60 55

49 45

나이(세) 61.45±13.02

(29∼89세)

결혼상태 미혼 12 10.9

기혼 70 63.6

이혼/사별 27 24.5

교육정도 초졸이하 22 20.2

중졸 15 13.8

고졸이상 72 66.1

경제상태 상(250만원 이상) 24 22

중(150∼250만원) 15 13.8

하(150만원 이하) 70 63.2

주거형태 본인 22 20.2

2.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으로 당화혈색소는 평균 7.01(±1.30)%였으며 칼륨은 평균 5.43(±0.83)mMol/L, 인은 평균 5.15(±1.59)mMol/L로 나타났다. 칼슘인의 곱은 평균 45.54(±14.52)mMol/L였으며 투석간 체중증가는 정상군이 27명(24.8%

), 비정상군이 82명(75.2%)으로 다수를 차치하였다. 합병증이 있다는 70명(64.2

%)이었으며, 없다는 39명(35.8%)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평균 투석 기간은 4.4 년(±4.5), 평균 당뇨유병기간은 17.2년(±10.9)으로 나타났다.

<표 2>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 (N=109)

특성 정상범위 구분 실수(백분율) 평균±표준편차

당화혈색소 < 7% 7.01±1.30

칼륨 < 5.5mMol/L 5.43±0.83

< 5.5mg/dL 5.15±1.59

칼슘인의 곱 < 55mg/dL 45.54±14.52

투석간 체중증가 건체중의 4%미만 정상 27(24.8)

비정상 82(75.2)

합병증 70(64.2)

39(35.8)

투석기간(년) 4.4±4.5

당뇨유병기간(년) 17.2±10.9

B. 대상자의 자가관리행위, 자기효능감, 건강정보이해력 정도

대상자의 자가관리행위, 자기효능감, 건강정보이해력 정도는 <표 3>과 같 다. 대상자가 지각하는 자가관리행위 정도는 최소 55점 최대 113점으로 평균 85.03(±13.1)점으로 나타났다. 하부영역별 자가관리행위 정도를 살펴보면 식이 관리는 최소 14점 최대 35점으로 평균 25.22(±5.22)점이었으며, 운동관리는 최 소 3점 최대 15점으로 평균 10.40(±3.42)점이었다. 매일모니터는 최소 3점 최대 15점으로 평균 8.10(±3.40)점, 약물관리는 최소 9점 최대 15점으로 평균 14.00(

±1.60)점, 투석혈관관리는 최소 4점 최대 15점으로 평균 12.21(±2.51)점, 스트레 스 및 정보관리는 최소 4점 최대 20점으로 평균 15.11(±3.94)점으로 나타났다.

자가관리행위 하부영역 중 약물관리가 문항평균 4.66(±0.53)점으로 가장 높았 으며 매일 모니터 부분이 문항평균 2.70(±1.13)점으로 점수가 가장 낮은 것으 로 나타났다. 대상자가 지각하는 자기효능감 정도는 최소 11점 최대 35점으로 평균 25.12(±5.39)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가 지각하는 건강정보이해력 정도는 최소 14점 최대 56점으로 평균 39.11(±9.57)점이며 하부영역을 살펴보면 기능 적 건강정보이해력은 최소 5점 최대 20점으로 평균 14.45(±4.65)점으로 나타났 다. 소통적 건강정보이해력은 최소 5점 최대 20점으로 평균 14.03(±3.94)점으로 나타났으며, 비판적 건강정보이해력은 최소 4점 최대 16점으로 평균 10.59(±3.

82)점으로 나타났다.

<표 3> 대상자의 자가관리행위, 자기효능감, 건강정보이해력 정도 (N=109)

변수 평균±표준편차 최솟값 최댓값 가능범위

자가관리행위 85.03±13.1 55 113 23∼115

식이관리 25.22±5.22 14 35 7∼35

운동관리 10.40±3.42 3 15 3∼15

매일모니터 8.10±3.40 3 15 3∼15

약물관리 14.00±1.60 9 15 3∼15

투석혈관관리 12.21±2.51 4 15 3∼15

스트레스 및

정보관리 15.11±3.94 4 20 4∼20

자기효능감 25.12±5.39 11 35 9∼36

건강정보이해력 39.11±9.57 14 56 14∼56

기능적 14.45±4.65 5 20 5∼20

소통적 14.03±3.94 5 20 5∼20

비판적 10.59±3.82 4 16 4∼16

C. 대상자의 일반적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자가관리행위 차이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가관리행위 차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가관리행위 차이는 <표 4>와 같다. 대상자 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가관리행위는 나이 50세 이하는 83.95(±13.18)점, 51 세에서 65세는 84.53(±11.95)점, 66세 이상은 86.09(±14.40)점으로 나타났으며 이 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0.24 p=.786). 성별은 남자가 86.00(±13.4 2)점, 여자가 83.86(±12.75)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t=0.85, p=.398)는 없 었다. 결혼 상태는 기혼이 82.58(±10.47)점, 미혼이나 이혼(사별)한 그룹이 85.94 (±13.18)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t=0.97, p=.336)가 없었다. 교육정도는 초등학교 졸업 이하가 81.45(±13.31)점, 중학교 졸업이 89.53(±15.54)점, 고등학 교 졸업 이상이 85.19(±12.37)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F=1.73, p=.182)는 없었다. 경제 상태 ‘상’ 그룹은 82.96(±14.01)점, ‘중’ 그룹은 88.73(±14.15)점, ‘하’

그룹은 84.96(±12.59)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F=0.90, p=.410)는 없었다.

주거형태는 혼자 생활하는 그룹이 85.32(±13.44)점, 가족과 같이 생활하는 그룹 이 86.5 6(±13.05)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t=-1.20, p=.236)는 없었다. 직 업이 있는 그룹은 79.67(±13.96)점, 없는 그룹은 85.89(±12.84)점으로 직업이 없 는 그룹의 자가관리행위 점수가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t=-1.72, p=.088)는 없었다. 이상의 일반적 특성의 변수는 자가관리행위와 통계적으로 의

<표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가관리행위 차이 (N=109)

특성 구분 실수 평균±표준편차 t or F p

나이 50세 이하 21 83.95±13.18 0.24 .786

51∼65세 45 84.53±11.95

66세 이상 43 86.09±14.40

성별 60 86.00±13.42 0.85 .398

49 83.86±12.75

결혼상태 기혼 70 82.58±10.47 0.97 .336

미혼,이혼(사별) 39 85.94±13.18

교육정도 초졸이하 22 81.45±13.31 1.73 .182

중졸 15 89.53±15.54

고졸이상 72 85.19±12.37

경제상태 상(월250만원 초과) 24 82.96±14.01 0.90 .410

중(월150∼250만원) 15 88.73±14.15

하(월150만원 미만) 70 84.96±12.59

주거형태 혼자 22 85.32±13.44 -1.20 .236

가족 87 86.56±13.05

직업 15 79.67±13.96 -1.72 .088

94 85.89±12.84

2.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자가관리행위 차이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자가관리행위 차이는 <표 5>와 같다. 당화 혈색소 7% 미만 그룹의 자가관리행위 점수는 85.18(±12.84)점, 7∼8.5%인 그룹 은 86.24(±12.95)점, 8.5% 이상인 그룹은 83.78(±14.20)점으로 당화혈색소가 높 은 그룹이 자가관리행위가 낮았으나 통계적 의미는 없었다(F=0.21, p=.808). 칼 륨이 5.5mMol/L 미만으로 정상인 그룹의 자가관리행위 점수는 85.63(±12.91)점 이었으며 5.5mMol/L 이상으로 높은 그룹의 자가관리행위 점수는 84.38(±13.41) 이었다. 정상군에서 자가관리행위 점수가 높았으나 통계적 의미는 없었다(t=0.4 9, p=.622). 인이 5.5mMol/L 미만으로 정상인 그룹의 자가관리행위 점수는 84.0 0(±13.56)점이었으며, 5.5mMol/L 이상으로 높은 그룹의 자가관리행위 점수는 8 6.90(±12.20)점으로 통계적 의미는 없었다(t=-1.11, p=.271). 칼륨인의 곱이 55m Mol/L 미만으로 정상인 그룹의 자가관리행위 점수는 84.92(±12.81)점이었으며 55mMol/L 이상인 그룹의 자가관리행위 점수는 85.55(±14.53)점으로 통계적 의 미는 없었다(t=-0.20, p=.840). 투석간 체중증가가 4% 미만으로 잘 조절되는 정 상 그룹의 자가관리행위 점수는 87.41(±16.26)점이었고 투석간 체중증가가 4%

이상되는 비정상 그룹의 자가관리행위 점수는 84.26(±11.90)점이었으며, 정상그 룹의 자가관리행위 점수가 높았으나 통계적 의미는 없었다(t=-1.08, p=.281). 합 병증이 있는 그룹의 자가관리행위 점수는 86.43(±13.63)점이었고, 합병증이 없 는 그룹은 82.54(±11.86)점으로 통계적 의미는 없었다(t=1.49, p=.138). 투석 기 간이 2년 미만인 그룹의 자가관리행위 점수는 82.46(±14.56)점이었고, 2∼5년인 그룹의 자가관리행위 점수는 84.53(±12.52)점이었으며 5년 이상 투석한 그룹의

<표 5>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자가관리행위 차이 (N=109)

특성 구분 실수 평균±표준편차 t or F p

당화혈색소 7% 미만 61 85.18±12.84 0.21 .808

7∼8.5% 33 86.24±12.95

8.5% 이상 15 83.78±14.20

칼륨 5.5mMol/L 미만 57 85.63±12.91 0.49 .622

칼륨 5.5mMol/L 미만 57 85.63±12.91 0.49 .62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