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E. 대상자의 자가관리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Ⅵ.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혈액투석을 받는 당뇨병성 신증 환자의 자가관리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며 혈액투석을 받는 당뇨병성 신 증 환자의 자가관리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혈액투석을 받는 당뇨병성 신증 환자 10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자가관 리행위 정도는 최대 115점에 평균 85.03점으로 중간 이상의 점수로 나타났고, 자기효능감은 최대 36점에 평균 25.12점이었으며, 건강정보이해력은 최대 56점 에 평균 39.11점이었다. 연구대상자의 자가관리행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혈액투석을 받는 당뇨병성 신증 환자의 자가관리행위와 자기효능감(r=.63, p<.0 01), 자가관리행위와 건강정보이해력(r=.31, p=.001)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자가관리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자기효 능감(β=.59, p<.001), 건강정보이해력(β=.22, p=.004)이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확 인되었으며(F=40.88, p<.001) 변수에 대한 설명력은 43.5%였다.

본 연구는 혈액투석을 받는 당뇨병성 신증 환자의 자가관리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혈액투석을 받는 당뇨병성 신증 환자의 자가관리행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자가관리행위를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B. 제언

이상의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혈액투석을 받는 당뇨병성 신증 환자의 하부영역별 자가관리행위 정도를 파 악한 후 취약 부분을 개선하기 위한 중재 전략이 필요하다.

2. 혈액투석을 받는 당뇨병성 신증 환자의 자기효능감을 강화하고 건강정보이 해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3. 혈액투석을 받는 당뇨병성 신증 환자의 건강정보이해력 수준을 고려한 차별 화된 교육 자료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4. 혈액투석을 받는 당뇨병성 신증 환자의 심리적 변인에 대한 연구와 정서적 지지를 증진시킬 수 있는 중재 전략이 필요하다.

5. 본 연구를 일반화 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지역으로 확대하여 반복연구 할 것을 제언한다.

참고문헌

강승자, 서남숙. (2019). 혈액투석환자의 삶의 질 구조모형.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7), 589-598.

김난희. (2015). 특집 : 당뇨병성 신증의 최신 지견. 대한내과학회지, 89(3), 265-270.

김상숙, 조현숙, 강명수. (2017). 혈액투석 환자의 식이 교육프로그램이 식이지식, 식이 자가간호 이행 및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지속효과.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9(2), 51-59.

김수진, 정향미. (2015). 가족참여 심장재활 프로그램이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 환자의 자기효능감, 건강행위이행 및 가족지지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21(2), 143-153.

김수현, 이은주. (2008). 노인의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이 지각된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2), 195-203.

김주현, 김매자. (1995). 혈액 투석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인간호학회지, 7(2), 299-312.

김주희, 김우중, 김인수, 강희준, 원유동, 김영옥. (2016). 당뇨병성 혈액투석 환자에서 우연히 발견된 무증상 기종성 신우신염. 대한내과학회지, 91(2), 202-205.

김준호, 박종연, 강신희. (2019). 우리나라 국민의 건강정보이해력 수준과

연구. 가천대학교 대학원, 인천.

대한신장학회(2019). 우리나라 신대체 요법의 현황. Web site: http://www.

ksn.or.kr

대한당뇨병협회(2015). 당뇨병 팩트 시트. Web site: http://dibetes.or.kr 박영주, 이해정. (2015). 혈액투석 환자의 신체활동 수준과 우울, 삶의 질, 행위: 주관적 건강의 매개효과.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9(1), 543-556.

손나영, 양진향. (2013). 노인 당뇨병환자의 인슐린요법 관련 자가간호행위에 술학회논문지, 13(12), 5993-6000.

양정란. (2014). 만성질환 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자기효능감이

약물복용이행에 미치는 영향. Health & Nursing, 26(1), 29-38.

오예성, 안재영, 김미향, 최선정, 정종철. (2017). 혈액투석 환자에서 당뇨병 유무에 따른 영양상태와 영양섭취량 비교.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23(1), 1-13.

오지혜, 박은옥. (2017). 지역사회 노인 고혈압 환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이 고혈압 자가관리행위에 미치는 영향.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4(1), 35-45.

유은우, 이윤미. (2018). 노인 당뇨병 환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과 자가관리행위.

성인간호학회지, 30(4), 376-384.

유혜선. (2016). 혈액투석 노인의 건강 문해력, 자가 관리 지식과 자가 간호 행위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인천.

윤수지. (2017). 당뇨병 환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과 복약 순응도 및 자가 관리와의 관계. Health & Nursing, 29(1), 27-38.

윤순호. (2008). 혈액투석환자의 투석기간에 따른 사회 심리적 적응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삼육대학교 대학원, 서울.

이경미, 이은영, 길효욱, 박삼엘, 조남준, 김욱준. (2019). Sun-334 : 신장조직검사에서 확인된 당뇨병성 신증 환자에서 예후인자.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2019(1), 458-458.

이설희. (2016). 당뇨병성 신증 환자의 치료식 지식정도와 교육요구도 조사.

인하대학교 대학원, 인천.

이수진, 박향숙, 한진희, 김해진, 서민원, 최은아, 임은영, 최미란, 최선숙 박광옥, 김경옥. (2009). 개별교육프로그램이 역할불이행 혈액투석환자의

질에 미치는 영향. 동서간호학연구지, 21(1), 1-9.

이윤미, 손연정, 이은주. (2012). 당뇨병 환자의 건강정보 활용능력, 질병관련 지식, 자기효능감 및 자가간호행위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4(6), 3087-3101.

이정표. (2014). 당뇨병성 말기신부전 혈액투석 환자에서 HbA1c를 이용한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5(2), 271-279.

조영제, 신영희. (2011). 혈액투석환자의 우울, 자가간호이행 및 생리적지표의 관계. 계명간호과학, 15(1), 115-122.

조윤희. (2016). 혈액투석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공주대학교 대학원, 공주.

조윤희. (2019). 혈액투석환자의 자가간호행위 구조모형. 공주대학교 대학원, 공주.

조윤희, 박연숙. (2017). 성별에 따른 혈액투석 환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8), 631-643.

최미경, 안수연. (2015). 만성신체질환자의 정신건강과 자기효능감, 자존감 및 정서적 지지.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1), 439-452.

허정, 김애정. (2010). 혈액투석환자의 자기효능감, 양생정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동서간호학연구지, 16(1), 76-83.

허혜경, 최지혜, 최은희, 문학희. (2015). 제2형 당뇨환자의 우울과 당뇨관리 자기효능감과의 관계에서 지각된 장애의 매개효과.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5(4), 235-243.

황경남, 원혜정, 장인순, 이지연. (2018).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따른

관상동맥질환 관련 서면정보의 제공이 환자의 건강행위 이행에 대한 자기효능감, 질병 지식, 불안,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의료커뮤니케이션, 13(2), 233-241.

황혜남. (2016). 농촌 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암지식 및 암예방행위. Asian Oncology Nursing, 16(4), 234-241.

황혜남. (2017). 농촌 지역 여성노인의 대장암 지식과 건강정보이해능력이

Aljasem, L. I., Peyrot, M., Wissow, L., & Rubin, R. R. (2001). The impact of barriers and self-efficacy on self-care behaviors in type 2 diabetes. Diabetes Educ, 27(3), 393-404.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2009).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 Web site: https://www.diabetes.org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 Rev, 84(2), 191-215.

Barlow, J., Wright, C., Sheasby, J., Turner, A., & Hainsworth, J. (2002).

Self-management approaches for people with chronic conditions: a review. Patient Educ Couns, 48(2), 177-187.

Blok, A. C. (2017). A Middle-Range Explanatory Theory of

Self-Management Behavior for Collaborative Research and Practice.

Nurs Forum, 52(2), 138-146.

Burrowes, J. D. (2014). Nutrition and Health (2nd ed.). Totowa: Springer Publishing Company.

Cavanaugh, K. L., Wingard, R. L., Hakim, R. M., Eden, S., Shintani, A., Wallston, K. A., Huizinga, M. M., Elasy, T. A., Rothman, R. L., &

Ikizler, T. A. (2010). Low health literacy associates with increased mortality in ESRD. J Am Soc Nephrol, 21(11), 1979-1985.

Coelho, S. (2016). What is the Role of HbA1c in Diabetic Hemodialysis Patients? Semin Dial, 29(1), 19-23.

Como, J. M. (2018). Health Literacy and Health Status in People With Chronic Heart Failure. Clin Nurse Spec, 32(1), 29-42.

Dahal, P. K., & Hosseinzadeh, H. (2019). Association of health literacy and diabetes self-management: a systematic review. Aust J Prim Health. doi:10.1071/py19007

Dantas, L. G. G., de Seixas Rocha, M., Junior, J. A. M., Paschoalin, E. L., Paschoalin, S., & Sampaio Cruz, C. M. (2019). Non-adherence to Haemodialysis, Interdialytic weight gain and cardiovascular mortality:

a cohort study. BMC Nephrol, 20(1), 402.

doi:10.1186/s12882-019-1573-x

Gela, D., & Mengistu, D. (2018). Self-management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patients with end-stage renal disease undergoing hemodialysis at health facilities in Addis Ababa, Ethiopia. Int J Nephrol Renovasc Dis, 11, 329-336.

Ghannadi, S., Amouzegar, A., Amiri, P., Karbalaeifar, R., Tahmasebinejad, Z.,

& Kazempour-Ardebili, S. (2016). Evaluating the Effect of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n Self-Management in Type 2 Diabetic Patients on Dialysis. J Diabetes Res, 2016, 3730875.

doi:10.1155/2016/3730875

Hadden, K., Martin, R., Prince, L., & Barnes, C. L. (2019). Patient Health Literacy and Diabetic Foot Amputations. J Foot Ankle Surg, 58(5), 877-879.

Heijmans, M., Waverijn, G., Rademakers, J., van der Vaart, R., & Rijken, M.

(2015). Functional, communicative and critical health literacy of chronic disease patients and their importance for self-management.

Patient Educ Couns, 98(1), 41-48.

Hsu, K. L., Fink, J. C., Ginsberg, J. S., Yoffe, M., Zhan, M., Fink, W.,

self-efficacy in diabetes management: a cross-sectional study of primary care in Japan. BMC Fam Pract, 14, 40.

doi:10.1186/1471-2296-14-40

Ishikawa, H., Takeuchi, T., & Yano, E. (2008). Measuring functional, communicative, and critical health literacy among diabetic patients.

Diabetes Care, 31(5), 874-879.

John, A., Alpert, P. T., Kawi, J., & Tandy, R.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fluid and dietary compliance in hemodialysis patients. Clinical Scholars Review, 6, 98-104.

Kallenbach, J. Z. (2015). Review of hemodialysis for nurses and dialys is personnel. Maryland Heights, Missouri: Mosby.

Kaminski, M., Frescos, N., & Tucker, S. (2012). Prevalence of risk factors for foot ulceration in patients with end-stage renal disease on haemodialysis. Intern Med J, 42(6), e120-128.

KDOQI (2018). KDOQI guideline. Web site: http://www.kidney.org/

Kim, S. H., & Youn, C. H. (2015). Efficacy of chronic disease

self-management program in older Korean adults with low and high health literacy. Asian Nurs Res (Korean Soc Nurs Sci), 9(1), 42-46.

Kimmel, P. L., Varela, M. P., Peterson, R. A., Weihs, K. L., Simmens, S. J., Alleyne, S., Amarashinge, A., Mishkin, G. J., Cruz, I., & Veis, J. H.

(2000). Interdialytic weight gain and survival in hemodialysis patients:

effects of duration of ESRD and diabetes mellitus. Kidney Int, 57(3), 1141-1151.

Lai, A. Y., Ishikawa, H., Kiuchi, T., Mooppil, N., & Griva, K. (2013).

Communicative and critical health literacy, and self-management behaviors in end-stage renal disease patients with diabetes on

hemodialysis. Patient Educ Couns, 91(2), 221-227.

Lee, E. H., Lee, Y. W., Lee, K. W., Nam, M., & Kim, S. H. (2018). A new comprehensive diabetes health literacy sca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Int J Nurs Stud, 88, 1-8.

Lee, E. H., Lee, Y. W., & Moon, S. H. (2016). A Structural Equation Model Linking Health Literacy to Self-efficacy, Self-care Activiti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sian Nurs Res (Korean Soc Nurs Sci), 10(1), 82-87.

Lee, Y. J., Shin, S. J., Wang, R. H., Lin, K. D., Lee, Y. L., & Wang, Y. H.

(2016). Pathways of empowerment perceptions, health literacy, self-efficacy, and self-care behaviors to glycemic control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 Educ Couns, 99(2), 287-294.

Lee, Y. M., Yu, H. Y., You, M. A., & Son, Y. J. (2017). Impact of health literacy on medication adherence in older people with chronic diseases. Collegian, 24(1), 11-18.

Li, H., Jiang, Y., & Lin, C. (2014). Factors associated with self-management by people undergoing hemodialysis: A descriptiv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51, 208-216.

Lin, M. Y., Liu, M. F., Hsu, L. F., & Tsai, P. S. (2017). Effects of

self-management on chronic kidney disease: A meta-analysis. Int J Nurs Stud, 74, 128-137.

Marciano, L., Camerini, A. L., & Schulz, P. J. (2019). The Role of Health

1(3), e136-e144.

Miller, T. A. (2016). Health literacy and adherence to medical treatment in chronic and acute illness: A meta-analysis. Patient Educ Couns, 99(7), 1079-1086.

Mohammed, K. I., Zaidan, A. A., Zaidan, B. B., Albahri, O. S., Albahri, A.

S., Alsalem, M. A., & Mohsin, A. H. (2019). Novel technique for reorganisation of opinion order to interval levels for solving several instances representing prioritisation in patients with multiple chronic diseases. Comput Methods Programs Biomed, 185, 105151.

doi:10.1016/j.cmpb.2019.105151

Natashia, D., Yen, M., Chen, H. M., & Fetzer, S. J. (2019). Self-Managem ent Behaviors in Relation to Psychological Factors and Interdialytic Weight Gain Among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in Indonesia.

J Nurs Scholarsh, 51(4), 417-426.

Nesrallah, G. E., Mustafa, R. A., Clark, W. F., Bass, A., Barnieh, L., Hemmelgarn, B. R., Klarenbach, S., Quinn, R. R., Hiremath, S., Ravani, P.,Sood, M. M., & Moist, L. M. (2014). Canadian Society of Nephrology 2014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iming the initiation of chronic dialysis. Cmaj, 186(2), 112-117.

Nutbeam, D. (2000). Health literacy as a public health goal: a challenge for contemporary health education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into the 21st century.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15(3), 259-267.

Parker, R. M., Baker, D. W., Williams, M. V., & Nurss, J. R. (1995). The test of functional health literacy in adults: a new instrument for measuring patients' literacy skills. J Gen Intern Med, 10(10), 537-541.

Poureslami, I., Nimmon, L., Rootman, I., & Fitzgerald, M. J. (2017). Health

literacy and chronic disease management: drawing from expert knowledge to set an agenda. Health Promot Int, 32(4), 743-754.

Qiu, C., Zhang, X., Zang, X., & Zhao, Y. (2019). Acceptance of illness mediate the effects of health literacy on self-management behaviour.

Eur J Cardiovasc Nurs, 1474515119885240.

doi:10.1177/1474515119885240

Ramezani, T., Sharifirad, G., Rajati, F., Rajati, M., & Mohebi, S. (2019).

Effect of educational intervention on promoting self-care in hemodialysis patients: Applying the self-efficacy theory. J Educ Health Promot, 8, 65. doi:10.4103/jehp.jehp_148_18

Rivara, M. B., & Mehrotra, R. (2017). Timing of Dialysis Initiation: What Has Changed Since IDEAL?. Semin Nephrol, 37(2), 181-193.

Schmidt-Busby, J., Wiles, J., Exeter, D., & Kenealy, T. (2019).

Self-management action and motivation of Pacific adults in New Zealand with end-stage renal disease. PLoS One, 14(9), e0222642.

doi:10.1371/journal.pone.0222642

Shirazian, S., Crnosija, N., Weinger, K., Jacobson, A. M., Park, J.,

Tanenbaum, M. L., Gonzalez, J. S., Mattana, J., & Hammock, A. C.

(2016). The self-management experience of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nd chronic kidney disease: A qualitative study. Chronic Illn, 12(1), 18-28.

Health Literacy, Cancer-Related Knowledge, and Preventive Health

Health Literacy, Cancer-Related Knowledge, and Preventive Health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