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는 전방지역에 위치한 1개 공병여단의 예하 공병대대를 중심으로 총 6개 중대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대상자는 첫째, 중대 장의 계급이 대위 이상이며, 현재 근무중인 중대와 둘째, 중대원은 이등병부터 병장까지를 선정하였다.

본조사 기간은 2001년 2월 24일 2월 28일 사이에 부대를 직접 방 문하여 설문지를 실시∙회수하였다. 설문지는 총 350부 배포∙회수 하였 으며 이 중에서 기재사항이 누락되거나 부실한 26부는 폐기하고 324부를 본 연구의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자료로 이용한 설문지의 응답자별∙중대장별 인구통계적 특성 은 〈표 4-1〉과 〈표 4-2〉와 같다. 표본의 내용 중 먼저 부하(병사)들을 살펴보면〈표4-1〉, 연령은 만 21~22세(66.4%)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만 19~20세(21.9%)이다. 학력별로는 전문대재 (35.2%)가 가장 많고, 고졸(33.0%), 대재(29.0%)순이다.

다음으로 리더(중대장)를 살펴보면〈표 4-2〉, 연령은 만 27~28세 (50.0%)가 가장 많고 만 29~30세(33.3%), 만 31~32세(16.7%)로나타났 다.

학력별로는 대졸(100.0%)로 부하들보다 더욱 학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출신별로는 삼사(33.3%), 학사(33.3%), 학군(16.7%), 육사 (16.7%)의 순이다.

이상의 연구대상의 특성에서도 알 수 있듯이 몇 가지 특성이 나

타난다.

첫째, 고학력자들의 군입대로 인한 병영생활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즉, 현재 신세대들의 사고에 맞춰 리더십과 커뮤니케이션, 직 무만족을 적용해 나가야 하는 시대적 흐름인 것이다.

둘째, 연령에 있어서도 고학력에 따른 고연령화의 결과로 병사 (만 21 22, 66.4%), 중 대장(만 29~30, 48.8%) 군내에서 지적인 사고가 높아짐에 따라 병사들이나 장교들이 요구하는 사고들이 한층 높아 짐을 알 수 있다.

셋째, 군내에서도 병사들의 이런 성격적 특성을 고려한 병영문화 를 제시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어진다. 즉, 부하들이나 장교들의 사 고에 맞게 효율적인 훈련이나 전투력향상 극대화에 눈 높이를 맞추 게 될 것으로 보인다.

<표 IV-1> 부하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11-15개월 77 23.8 60.7

16-20개월 66 20.4 81.1

21개월 이상 61 18.8 100.0

<표 IV-2> 리더(중대장)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16-20개월 1 16.7 100.0

21개월이상 0 .000 .000

제 2 절 변수들의 평균, 표준편차 및 신뢰도 분석결과

항 목 측 정 요 인 해당항목 제외시 α 값 론바하의 알파계수(Cronbach's Alpha)를 사용하였다. <표 IV-3>에 있어서 각 요인의 마지막 줄에는 각 요인별 전체항목을 포함시켰을 때의 신뢰도 계수가 나타나 있는 데 일반적으로 α계수가 0.5이상이 면 비교적 신뢰도가 높다고 볼 수 있으므로52), 본 연구의 항목들에

대한 신뢰도는 모두가 0.8이상의 신뢰성을 나타내고 있다. 표의 우

구조주도형 공적 의사소통 사적 의사소통 직무만족 구조주도형

배려형 .663**

공적

의사소통 .662**

사적

의사소통 .559** .724**

직무만족 .522** .508** .503**

주) ** p<0.05를 나타내고, **는 p<0.01를 나타냄.

제 3 절 변수들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변수들간의 상관관계를 아래의 <표 IV-5>과 같이 제 시하였다. <표 IV-5>를 살펴보면 예측변수와 결과변수간의 상관관계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리더십 스타일이 결과변수에 대한 직접적인 주효과의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고, 리더십 조절변수와 결과 변수간에도 상당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통하여 간접효 과의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다.

< 표 IV-5 > 상관관계분석

배려형 리더십 스타일과 구조주도형 리더십 스타일간에도 상당히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의 평가 대 상자들이 대부분 고-구조 및 고-배려 리더십 스타일을 발휘하는 것 으로 보여진다. 기존 연구에서도 2개의 유형의 스타일이 같이 발휘 되는 것으로 구분하고 있다.

제 4 절 가설검증 및 결과

독립변수의 변화로부터 종속변수의 변화를 예측하여 선형조합으로 설명하는 기법으로 회귀분석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수가 복수이 기 때문에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동시투입방식(enter)을 선택하였 다. 그리고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설 명력(R2)의 변화를 검증하고, Scheffe53) 테스트를 통하여 집단간 평균차 를 검증하였다.

1. <가설1> 구조주도형의 리더십 스타일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공적 의사소통에 의하여 조절될 것이다.

공적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의 결과 는 다음의 <표 IV-8>과 같다.

<표 IV-6> 공적 의사소통의 조절효과 검증 결과 종속변수 모형 R2

Δ

R2

Δ

F Sig. F

직무만족

1 .272 .270 120.139 .000 2 .319 .315 22.066 .000

3 .328 .321 3.930 .048

모형 1: 성과 = 구조주도형 (A)

모형 2: 성과 = A + 공적 의사소통(B) 모형 3: 성과 = A + B + A․B

53) Scheffe, H. 1959. The Analysis of variance. New York: Wiley

위의 결과에서 공적 의사소통이 조절변인의 역할로서 회귀방정 식에 추가되었을 경우, 회귀식 설명력의 변화가 유의하게 변화하였다.

즉, 종속변수 직무만족과 독립변수 구조주도형 리더십 스타일 의 관계는 공적 의사소통에 의해서 조절되었다고 할 수 있다.

1) 상호조절효과

조절효과를 구체적으로 알아 보기 위하여 일원분산 분석과 사후분석 으로 Scheffe 테스트를 실시하고 조절효과 그래프를 표현하였다.

우선, 분산분석을 실시하기 위하여, 각 변수들의 평균으로 나누어 평 균보다 높은면 높은 집단, 평균으로 낮으면 낮은 집단으로 나누었다. 그 다음에 구조주도형 리더십이 낮고, 공적 의사소통이 낮은 집단을 1번 집단, 구조주도형 리더십이 낮고 공적 의사소통이 높은 집단을 1번 집 단, 구조주도형 리더십이 높고 공적 의사소통이 낮은 집단을 3번 집단.

구조주도형 리더십이 높고 공적 의사소통이 낲은 집단을 4번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 표 IV-7 > 분산분석 결과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Sig.

직무만족

집단간 35.541 3 11.547 37.036 .000 집단내 102.040 319 320

합계 137.581 322

일원분산분석을 통한 분석결과 집단간 차이는 F값이 37.036 (P<.01)

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셀의 평균차를 분석하기 위하여 Scheffe 테스트를 한 결과는 아 래의 <표 IV-9>, <표 IV-10>과 같고, <그림 IV-1>은 종업원의 독립 욕구별 리더의 효과성과 카리스마적 리더십과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표 IV-10>은 분산분석을 통하여 집단간 차이를 검증한 이후 사후 분석으로서 집단간 중 어떤 집단간이 차이가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표 IV-8> 종업원의 독립욕구 차이에 따른 효과성 평균 구조주도형

리더십 공적 의사소통 직무만족 집 단 낮 음

낮 음 3.6020 1

높 음 3.7731 2

낮 음 3.7273 3

높 음 높 음 4.3359 4

<표 IV-9> 각 셀의 리더의 효과성 평균차 분석

I J 평균차

(I-J) 표준오차 p 1

2 -.1711 .109 .485

3 -.1252 .099 .660

4 -.7329 .072 .000

2

1 .1711 .109 .485

3 4.584E-02 .129 .989

4 -.5618 .110 .000

3

1 .1252 .099 .660

2 -4.58E-02 .129 .989

4 -.6077 .100 .000

4

1 .7329 .072 .000

2 5618 .110 .000

3 .6077 .100 .000

(I, J란은 <표 6-9>에 집단란 참조)

<그림 IV-1> 독립욕구별 리더의 효과성과 리더십간의 관계

위의 그림에서 직무만족과 구조주도형 리더십간의 관계는 종업 원의 독립욕구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더가 공적인 의사소통을 많이 쓰는 집단에서는 구조주도형 리더십을 발휘할수록 직무만족이 급속하게 증가하는 반면, 리더가 공적 인 의사소통을 적게 쓰는 집단에서는 리더가 구조주도형 리더십 스타일 발휘해도 직무만족은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가설2> 배려형의 리더십 스타일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은 사적 의사소통에 의하여 조절될 것이다.

가설1 검증방법과 동일하게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조절변수의 설 명력을 검증하였고, 차후에 일원분산분석 및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사적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의 결 과는 다음의 <표 IV-12>과 같다.

<표 IV-10> 공적 의사소통의 조절효과 검증 결과 종속변수 모형 R2

Δ

R2

Δ

F Sig. F

직무만족

1 .368 .368 186.474 .000 2 .377 .009 4.848 .028 3 .400 .023 11.964 .001

모형 1: 성과 = 구조주도형 (A)

모형 2: 성과 = A + 공적 의사소통(B) 모형 3: 성과 = A + B + A․B

위의 결과에서 사적 의사소통이 조절변인의 역할로서 회귀방정식에 추가되었을 경우, 회귀식 설명력의 변화가 유의하게 변화하였다.

즉, 종속변수 직무만족과 독립변수 배려형 리더십 스타일의 관계는 사적 의사소통에 의해서 조절되었다고 할 수 있다.

1) 상호조절효과

가설1 검증방법과 마찬가지로, 조절효과를 구체적으로 알아 보기 위 하여 일원분산 분석과 사후분석으로 Scheffe 테스트를 실시하고 조절효 과 그래프를 표현하였다.

우선, 분산분석을 실시하기 위하여, 배려형 리더십이 낮고, 공적 의 사소통이 낮은 집단을 1번 집단, 배려형 리더십이 낮고 공적 의사소통 이 높은 집단을 1번 집단, 배려형 리더십이 높고 공적 의사소통이 낮은 집단을 3번 집단. 배려형 리더십이 높고 공적 의사소통이 낲은 집단을 4번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 표 IV-11 > 분산분석 결과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Sig.

직무만족

집단간 44.481 3 14.827 50.804 .000 집단내 93.100 319 .292

합계 137.581 322

일원분산분석을 통한 분석결과 집단간 차이는 F값이 50.804(P< .01) 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셀의 평균차를 분석하기 위하여 Scheffe 테스트를 한 결과는 아 래의 <표 IV-10>, <표 IV-11>과 같고, <그림 IV-1>은 종업원의 독립 욕구별 리더의 효과성과 카리스마적 리더십과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표 IV-12>은 분산분석을 통하여 집단간 차이를 검증한 이후 사후

분석으로서 집단간 중 어떤 집단간이 차이가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여

<그림 IV-2> 독립욕구별 리더의 효과성과 리더십간의 관계

위의 그림에서 직무만족과 배려형 리더십간의 관계는 종업원의 독립 욕구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더가 사적인 의사소통을 많이 쓰는 집단에서는 배려형 리더십을 발휘할수록 직무만족이 급속하게 증가하는 반면, 물론 그림으로 보면 비슷하게 보이지만, 사후분석에서 1, 2, 3번 집단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

리더가 사적인 의사소통을 많이 쓰는 집단에서는 배려형 리더십을 발휘할수록 직무만족이 급속하게 증가하는 반면, 물론 그림으로 보면 비슷하게 보이지만, 사후분석에서 1, 2, 3번 집단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