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일반적 특성

1)가정간호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가정간호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인 연령,성별,진단명,일상생활수행능력,가정간 호서비스 받은 기간,월 평균 방문횟수를 조사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가정간호대상자는 과반수 정도(50.4%)가 여성이었으며,이들의 평균연령은 68.63

±20.27세로서 80세 이상 군이 35.8%로 가장 많았으며,그 다음이 70~79세군(28.5%) ,59세 이하 군(21.1%),60~69세군(14.6%)순으로 나타났다.진단명은 뇌⋅신경계 질환이 36.6%로 가장 많았고,악성종양(32.5%),기타 만성질환(30.9%)순으로 나타 났으며,일상생활수행능력은 완전 의존적인 대상자가 51.2%로 가장 많았고,부분 의 존적(37.4%),독립적(11.4%) 순으로 나타났다.가정간호서비스 받은 기간은 평균 28.68±34.27개월로서,12개월 이하가 49.6%로 가장 많았고,그 다음이 37개월 이상 (32.5%),13개월~36개월(17.9%)순으로 나타났다.월 평균 방문횟수는 월 4회 이상 이 57.7%로 가장 많았고,그 다음이 월 1회(26.0%),월 2~3회(16.3%)순으로 나타 났다.

특성 구분 실수(%) 평균±표준편차 연령(세) 59이하 62(21.1) 68.63±20.27

60~69 18(14.6) 70~79 35(28.5) 80이상 44(35.8)

성별 남 61(49.6)

여 62(50.4)

진단명 뇌⋅신경계 질환 45(36.6) 악성종양 40(32.5) 기타 만성질환 38(30.9)

일상생활수행능력 완전 의존적 63(51.2) 부분 의존적 46(37.4) 독립적 14(11.4)

가정간호서비스 12이하 61(49.6) 28.86±34.27 받은 기간 (월) 13~36 22(17.9)

37이상 40(32.5) 월 평균 방문횟수 1 32(26.0)

(회) 2~3 20(16.3)

4이상 71(57.7)

<표 1> 가정간호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N=123)

2)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인 연령,성별,직업,교육수준,주관적 경제수준,환자 와의 관계,일 평균 간호시간,주돌봄자 지지체계,주관적 건강상태를 조사한 결과 는 <표 2>와 같다.

연구대상자의 대부분이 여자(74.8%)이고 직업이 없었으며(75.6%),평균연령은 59.00±15.79세로서 70세 이상 군이 30.9%로 가장 많았으며,그 다음이 49세 이하 군 (28.5%),50~59세군(21.1%),60~69세군(19.5%)순으로 나타났다.교육수준은 전문대 졸 이상과 고졸이 각각 35.0%,34.1%이고,중졸 이하라고 응답한 연구대상자가 30.9%인 것으로 나타났다.주관적 경제수준은 과반수 정도가 ‘중’(53.7%)이라고 응 답하였으며 그 다음 ‘하’(42.2%),‘상’(4.1%)순으로 나타났다.환자와의 관계를 ‘배우 자’라고 답한 경우가 44.7%로 가장 많았고,그 다음이 자녀/며느리(35.8%),부모 (16.2%),형제/자매(3.3%)순으로 나타났는데,이들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보통이다’

라고 응답한 연구대상자가 45.5%로 가장 많았고,그 다음이 ‘나쁘다’(26.0%),‘매우 나쁘다’(13.9%),‘좋다’(13.0%),‘매우 좋다’(1.6%)순으로 나타났다.일 평균 환자를 돌보는 시간은 평균 13.60±9.02시간으로서,17~24시간이라고 응답한 연구대상자가 40.7%로 가장 많았고,그 다음이 8시간 이하(39.8%),9~16시간(19.5%)순으로 나타 났으며,가족 중 주돌봄자의 지지체계가 ‘없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52.0%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성 구분 실수(%) 평균±표준편차

2.연구대상자의 간호요구도와 부담감

1)연구대상자의 간호요구도

연구대상자의 간호요구도는 평균 3.61±0.65점으로,구체적으로 7개 영역별로 측 정한 결과를 살펴본 결과,‘질병,치료 및 간호와 관련된 정보 요구도’가 4.20±0.83점 으로 가장 높았고,그 다음으로 ‘신속한 대응 요구도(4.17±0.19)’,‘치료적 의사소통 요구도(3.73±1.15),‘인정의 요구도(3.43±1.08)’,‘사회적 지지 및 상담의 요구도(3.36±

1.41)’,‘부동과 관련된 간호문제관리 요구도(3.33±1.19)’,‘신체기능 관련 교육 및 요 양 요구도(3.29±0.99)’순으로 나타났다.

하부영역별 간호요구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질병,치료 및 간호와 관련된 정 보 요구도 영역에서는 ‘질병의 합병증을 예방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원한다’에 대 한 간호요구도가 4.46±0.98점으로 가장 높았고,그 다음이 ‘질병의 합병증 증세에 대 한 정보를 원한다(4.35±0.96)’,‘질병의 진행과 회복을 예측할 수 있는 정보를 원한다 (4.30±0.99)’,‘약물사용 및 부작용에 대한 정보를 원한다(4.21±1.08)’,‘안전유지 및 사 고 예방에 대한 정보를 원한다(4.20±1.00)’,‘환자를 심리적으로 지지하는 방법에 대 한 정보를 원한다(4.15±0.97)’,‘질병의 원인에 대한 정보를 원한다(4.02±1.07)’,‘치료 기구의 사용법에 대한 정보를 원한다(3.90±1.31)’순으로 나타났다.

신속한 대응 요구도 영역에서는 ‘도움을 요청하면 신속하게 처리해주면 좋겠다’

에 대한 간호요구도가 4.25±0.92점으로 가장 높았고,그 다음이 ‘간호가 신속하게 이 루어졌으면 좋겠다(4.08±1.00)’순으로 나타났다.

치료적 의사소통 요구도 영역에서는 ‘환자와의 치료적인 대화법에 대해 알고 싶 다’에 대한 요구도가 3.73±1.15점이었다.

인정의 요구도 영역에서는 ‘잠시나마 환자를 잊고 쉴 수 있게 도와주었으면 좋 겠다’에 대한 간호요구도가 3.67±1.20점으로 가장 높았고,그 다음이 ‘내가 걱정이나 불안을 가지고 있음을 알아주고 표현할 수 있게 도와주면 좋겠다(3.47±1.20)’,‘환자 를 돌보는 피곤함을 인정받고 싶다(3.36±1.31)’,‘나의 헌신적인 행위에 대해 인정받

고 싶다(3.22±1.32)’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 및 상담의 요구도 영역에서는 ‘설명할 때 쉬운 용어를 사용해주길 원한다’에 대한 간호요구도가 4.13±1.03점으로 가장 높았고,그 다음이 ‘간호사의 관 심과 친절을 원한다(4.11±1.06)’,‘간호사와의 상담을 원한다(3.89±1.06)’,‘가족과 대화 하고 사랑할 수 있도록 도와주면 좋겠다(3.33±1.31)’,‘내가 사회활동에 참여하도록 도와주면 좋겠다(3.04±1.39)’,‘경제적 문제에 대한 상담을 원한다(2.87±1.40)’,‘종교인 의 방문을 원한다(2.78±1.41)’,‘환자 가족들의 모임에 참여하도록 도와주면 좋겠다 (2.74±1.16)’순으로 나타났다.

부동과 관련된 간호문제관리 요구도 영역에서는 ‘욕창 예방/관리를 해주길 원한 다’에 대한 간호요구도가 3.59±1.37점으로 가장 높았고,그 다음이 ‘유치도뇨관/실금 관리를 해주길 원한다(3.31±1.41)’,‘환자의 변비/배변 관리를 해주길 원한다(3.08±1.3 8)’순으로 나타났다.

신체기능 관련 교육 및 요양 요구도 영역에서는 ‘환자에게 적합한 근육운동과 관절운동에 대해 교육해주길 원한다’에 대한 간호요구도가 4.06±1.11점으로 가장 높 았고,그 다음이 ‘환자가 활동하거나 이동할 때 도와주길 원한다(3.46±1.31)’,‘환자가 운동할 때 도와주길 원한다(3.31±1.24)’,‘환자의 구강(입안)을 청결하게 할 때 도와 주길 원한다(3.26±1.38)’,‘환자의 자세변경이나 유지할 때 도와주길 원한다(3.21±1.33 )’,‘환자의 세면 및 목욕 시 도와주길 원한다(3.21±1.26)’,‘환자의 옷을 벗기거나 갈 아입힐 때 도와주길 원한다(2.29±1.33)’,‘환자의 식사 시 도와주길 원한다(2.85±1.28)

’순으로 나타났다.

영 역 평균±표준편차

2)연구대상자의 부담감

이 4.13±1.01점으로 가장 높았고,그 다음이 ‘나는 환자를 보면 고통스럽다(3.49±1.34 )’,‘나는 환자를 간호하는 데 보람을 느낀다(3.43±1.17)’,‘나는 환자를 보거나 간호 하노라면 우울해진다(3.15±1.23)’,‘나는 환자를 보거나 간호할 때 죄책감을 느낀다 (2.98±1.20)’,‘나는 환자를 보거나 간호하는 것이 즐겁다(2.85±1.08)’,‘나는 환자를 간 호하노라면 화가 난다(2.75±1.25)’,‘나는 환자가 원망스럽다(2.20±1.13)’,‘나는 환자 때문에 수치심을 느낀다(1.89±0.97)’순으로 나타났다.

영 역 평균±표준편차

3.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요구도와 부담감의 차이

1)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요구도의 차이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인 연령,성별,주관적 경제수준,환자와의 관계,일 평 균 간호시간,주돌봄자 지지체계,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른 간호요구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던 반면에 직업 유무와 교육수준에 따른 간호요구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직업이 있는 군의 간호요구도가 3.81±0.72점으로 ‘없 다’라고 응답한 군의 간호요구도(3.54±0.62점)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t=1.788,p=.048).그리고 연구대상자의 교육수준에 따른 간호요구도 는 전문대졸 이상 군의 간호요구도가 3.78±0.69점으로 중졸 이하 군(3.42±0.58)에 비 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3.159,p=.046).

특성 구분 실수 평균±표준편차 F/t(p) Scheffe

2)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담감의 차이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인 연령,성별,직업,교육수준,주돌봄자 지지체계에 따른 부담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던 반면에 주관적 경제수준, 환자와의 관계,일 평균 간호시간,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른 부담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부담감은 ‘하’라고 응답한 군 의 부담감이 3.35±0.52점으로 ‘중’이라고 응답한 군(3.10±0.58)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 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3.526,p=.033).환자와의 관계에 따른 부담감은 배 우자 군의 부담감이 3.32±0.56점으로 형제/자매 군(2.65±0.73)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 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2.751,p=.046).일 평균 간호시간에 따른 부담감은, 17~24시간이라고 응답한 군의 부담감이 3.35±0.60점으로 8시간 이하라고 응답한 군 (3.02±0.50)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4.934,p=.009).주 관적 건강상태에 따른 부담감은 매우 나쁘다라고 응답한 군의 부담감(3.50±0.37)과 나쁘다라고 응답한 군의 부담감(3.48±0.56)이 매우 좋다라고 응답한 군(2.38±0.42)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7.607,p<.001).

특성 구분 실수 평균±표준편차 F/t(p) Scheffe

부담감

간호요구도 총합 .507***

인정의 요구도 .537***

사회적 지지 및 상담의 요구도 .467***

부동과 관련된 간호문제관리 요구도 .432***

신속한 대응 요구도 .378***

치료적 의사소통 요구도 .321***

신체기능 관련 교육 및 요양 요구도 .297**

질병,치료 및 간호와 관련된 정보 요구도 .151 4.연구대상자의 간호요구도와 부담감의 상관관계

연구대상자의 간호요구도와 부담감과의 상관관계는 <표 7>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간호요구도와 부담감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간호 요구도가 높을수록 부담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507,p<.001).

이를 간호요구도 하부영역과 부담감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인정의 요구 도와 부담감과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으며(r=.537,p<.001),그 다음이 사회적 지지 및 상담의 요구도와 부담감(r=.467,p<.001),부동과 관련된 간호문제관리 요구도와 부담감(r=.432,p<.001),신속한 대응 요구도와 부담감(r=.378,p<.001),치료적 의사 소통 요구도와 부담감(r=.321,p<.001),신체기능 관련 교육 및 요양 요구도와 부담 감(r=.297,p<.01)순으로 나타났다.반면 질병,치료 및 간호와 관련된 정보 요구도 와 부담감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r=.151,p>.05).

<표 7> 간호요구도 하부영역과 부담감과의 상관관계

(N=123)

*p<.05 , **p<.01, ***p<.00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