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결과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6-61)

1. 연구요인의 기술통계 분석

본 연구의 연구요인에 대한 평균, 표준편차, 점수범위, 왜도, 첨도는 <표 8>과 같다.

학업탄력성의 측정변수 평균(표준편차)은 159.1(27.40)이며, 학업적응 평균은 62.3(12.53)이며, 희망의 평균은 27.2(5.75)이다. 유대감의 평균은 89.7(14.92), 역 경의 평균은 4.42(5.34)로 나타났다.

<표 8> 연구요인의 기술통계 분석 (N=334)

측정변인 평균(표준편차) 범위 왜도 첨도

학업탄력성 159.1(27.40) 1-235 .457 -.211

학업적응 62.3(12.53) 1-100 .468 .500

희 망 27.2(5.75) 1-40 .608 .267

유대감 89.7(14.92) 1-155 .311 -.382

역경 4.42(5.34) 0-105 1.97 4.76

역경에 관한 35문항의 경험분포를 살펴보면, 청소년이 지각하는 역경은 가까운 친구들이 흡연이나 음주를 한다는 75(22.5%)명으로 가장 많이 선택하였으며, 다음 으로 외모에 문제가 있음이 73(21.9%)명이였다. 그리고 매우 친하던 친구와 헤어 진 것은 70(21.0%)명이 있으며 이성친구와 헤어짐이 64(19.2%)명이였으며 용돈이 부족함이 60(18.0%)명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이 지각하는 역경은 가까운 친구들이 흡연이나 음주를 하는 것이며, 외모 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였으며, 매우 친하던 친구와 헤어지거나 이성친구와 헤어 진 것, 용돈의 부족 등이 있었다. 역경에 대한 기술통계를 <부록 6>에 제시하였다.

2. 학업탄력성, 희망, 유대감과 학업적응과의 상관관계 분석

연구요인 간의 전반적인 관계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표 9>에 제시하였다.

학업적응은 학업탄력성(r=.75, p<.01), 희망(r=.76, p<.01), 유대감(r=.66, p<.01)과 높은 상관을 보이며, 학업탄력성은 희망(r=.78, p<.01), 유대감(r=.84, p<.01)과 높은 상관을 보였다. 희망은 유대감(r=.62, p<.01)과 높은 상관을 보였 다.

<표 9> 연구요인 간의 상관관계 분석 (N=334)

구분 학업적응 학업탄력성 희망 유대감

학업적응 1.00

학업탄력성 .75** 1.00

희망 .76** .78** 1.00

유대감 .66** .84** .62** 1.00

**p<.01

3. 역경수준에 따른 학업탄력성, 희망, 유대감이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분석

회귀분석의 선행분석으로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의 문제가 발생할 때 회 귀분석의 기본가정이 무시되어 심각한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즉 다중공산성의 문 제는 요인간의 상관계수가 .90이상의 높은 상관을 보일 경우 주로 발생한다(조선 배, 2002).

다중공성선성 문제를 진단하기 위해 학업적응을 종속변인으로 하고 학업탄력성, 희망, 유대감을 모드 투입시키는 회귀분석에서 Dubin-Watson의 검증을 실시하였 으며, VIF값도 산출하였다. 이 결과 Dubin-Watson의 검증에서 나타난 D값이 2.03값으로 산출되었으며, VIF값도 모든 변수들에서 2~5사이의 분포 값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요인들 사이의 다중공선성 문제가 심각하지 않음을 시사한다.

연구대상 전체인 334명의 학업탄력성, 희망, 유대감이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10>과 같다.

<표 10>에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학업탄력성, 희망, 유대감이 학업적응에 미 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1단계 학업탄력성(β=.75, p<.001)에 대한 설명변량이 56%로 나타났다. 2단계의 희망(β=.45, p<.001)과 유대감(β=.13, p<.05)에 대한

설명변량은 64%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업적응을 설명하는데 있어 학업탄력 성, 희망, 유대감은 유의하게 나타났다.

<표 10> 전체집단에서 학업적응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N=334)

측정변인 B β t F R2

학업탄력성 .34 .75 20.95*** 438.94*** .56

학업탄력성 .13 .28 3.73***

205.35*** .64

희망 .99 .45 8.70***

유대감 .09 .13 2.21*

*p<.05. ***p<.001

다음으로 역경수준에 따라 학업탄력성, 희망, 유대감이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을 알아보기 위해서 회귀분석에 앞서 역경의 수준을 평균값 6을 이용하여 나누었 다. 역경수준을 나눈 기준은 역경을 경험한 학생들의 점수 합을 평균으로 한 평균 값 6점을 이용하여 역경수준 하 집단과 역경수준 상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청소년 이 한 번의 역경도 경험 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경우가 90명(26.9%)이며, 역경수준 이 하 집단은 168명(50.3%)이고, 역경수준이 상 집단은 76명(22.8%)으로 나타났 다.

연구대상 중에 역경수준 하 집단의 학업적응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는 <표 11>

과 같다.

역경수준 하 집단에 학업탄력성, 희망, 유대감이 학업적응에 미치는 요인을 살펴 본 결과, 1단계에서 학업탄력성이 유의하였으며(β=.74, p<.001), 설명력은 54%로 나타났다. 2단계에서 희망과 유대감을 투입한 결과 희망(β=.59, p<.001)이 유의하 였으며, 유대감(β=.00, p>.05)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요인들의 설 명력은 65%였다. 즉 역경수준 하 집단에 대한 학업탄력성과 희망은 학업적응을 설 명하는데 있어 유의하였다.

<표 11> 역경수준 하 집단에서 학업적응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N= 168)

측정변인 B β t F R2

학업탄력성 .34 .74 14.19*** 201.61*** .54

학업탄력성 .11 .24 2.38*

104.86*** .65

희망 1.32 .59 7.19***

유대감 .00 .00 .01

*p<.05. ***p<.001

연구대상 중에 역경수준 상 집단의 학업탄력성, 희망, 유대감이 학업적응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를 <표 12>에 제시하였다.

역경수준 상 집단에 학업탄력성, 희망, 유대감이 학업적응에 미치는 요인을 살펴 본 결과, 1단계 학업탄력성(β=.75, p<.001)에 대한 설명변량이 57%로 나타났으며, 2단계 희망(β=.31, p<.01)과 유대감(β=.41, p<.05)에 대한 설명변량은 62%로 나 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역경수준 상 집단의 학업적응을 설명하는데 있어 희망과 유대감 요인이 유의하였다.

<표 12> 역경수준 상 집단에서 학업적응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N= 76)

측정변인 B β t F R2

학업탄력성 .33 .75 10.02*** 100.46*** .57

학업탄력성 .08 .19 .94

40.08*** .62

희망 .59 .31 2.76**

유대감 .29 .41 2.53*

*p<.05. **p<.01. ***p<.001

이상에서 나타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학업탄력성, 희망, 유대감은 학업적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업적응을 설명하는 요인이 역경경험 수준 에 따라서 조금씩 차이가 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역경수준에 관계없이 희망은 학업적응에 추가 요인으로 유의하였으나, 유대감은 역경수준 상 집단은 유의하고 역경수준이 낮아지자 유의하지 않았다.

4. 높은 수준의 역경상황에서 학업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학업탄력성, 희망, 유대감의 세부요인 분석

학업탄력성, 희망, 유대감이 학업적응에 대한 관계에서 변별적인 영향력을 알 아보기 위하여 역경수준 상 집단에 대해 하위요인별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표 13>에 제시하였다.

하위요인들이 학업적응에 대한 전체 설명변량(R2)이 67%로 비교적 높게 나타 났으며, 학업탄력성 하위요인 중에 열망과 유대감의 하위요인 중에 교사, 부모, 읽기가 나타났으며, 희망의 하위요인 중에 통로사고가 학업적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3> 학업탄력성, 희망, 유대감에서 학업적응에 대한 역경수준 상 집단의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N= 76)

측정변인 B β t

학업탄력성 열망 .39 .21 2.33*

교사 .88 .31 4.30***

유대감 부모 .41 .17 2.78**

읽기 .47 .15 2.62**

희망 통로사고 1.03 .26 3.22**

상수 -1.16 -.21

R2=.67 Adjusted R2=.66 df=5 F=45.92***

*p<.05. **p<.01. ***p<.001

5. 희망, 유대감이 학업탄력성에 미치는 영향분석

연구대상 전체인 334명의 희망, 유대감이 학업탄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 보기 위하여 하위요인별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표 14>에 제시하 였다.

하위요인들이 학업탄력성에 대한 전체 설명변량(R2)이 83%로 높게 나타났으 며, 희망의 하위요인 주도사고, 통로사고와 유대감의 하위요인 중에 부모, 학교, 친구, 교사가 학업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4> 희망, 유대감에서 학업탄력성에 대한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N= 334)

측정변인 B β t

희망 주도사고 2.41 .27 6.97***

통로사고 1.69 .18 4.70***

유대감

부모 1.81 .29 10.67***

학교 1.33 .21 5.68***

친구 .64 .09 3.33***

교사 .87 .11 3.22***

상수 4.66 -1.13

R2=.83 Adjusted R2=.83 df=6 F=282.68***

***p<.001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6-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