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990년에는 2가지 분야에서만 투자가 있었으나, 2000년에는 20가지 분야에서 해외로부터의 투자가 있었다. 분야로는 광산업, 지질학탐사, 경공업, 농∙목축업 생산품의 가공, 무역, 서비스분야에서 비교적으로 많 은 투자를 하고, 이 중에서 지질학 탐사, 광산업 분야에서 총 투자의 70% 정도를 했다. 국가별 투자액으로 보면 중국이 가장 많은 약 1억 6백만 달러의 투자를 하고, 그 다음으로는 일본이 4천 8백만 달러, 그 리고 한국이 3천 8백만 달러의 투자를 하여 3위를 달리고 있다.

투자한 현지 법인을 보면 중국이 553개의 기업이 등록을 했고, 러시 아가 257개의 기업이 있고, 그 다음으로 한국이 214개의 기업으로 3 위를 차지하고 있다. 개혁이 시작된 1990년부터 투자를 한 중국, 일본,

러시아에 비교하면 한국이 짧은 시간 내에 많은 투자를 행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 나라들 외에 이태리의 9개의 회사가 1천만 달러의 투자를 캐시미 어, 농업, 무역, 서비스분야에 했으며, 불가리아의 14개 회사가 1천4백 만 달러의 투자를 광산업, 건축업, 무역, 서비스 분야에 주로 했다.

업종별로 보면 무역 및 케이터링 서비스업에는 현지법인(260개), 그 리고 건축과 건축물자재분야에서 210개의 기업이 생기고, 지질학 탐사 및 개발 업종에서 174개, 식품과 제조업에서 140개의 현지법인이 설 립되었다. 투자금액 면에서의 가장 많은 투자는 지질학 탐사와 개발분 야에서(7천 1백 달러) 이루어졌다.

제 3 장 실증적 연구의 모형 및 연구방법

제 1 절 연구모형

본 연구는 G. Hofstede의 문화모형을 이용해서 한국과 몽골의 문화 비교를 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몽골에 있는 현지 종업원들의 문화성 향과 가치성향을 분석하여 한국기업이 해외직접투자시 어떠한 경영관 리 방식으로 해야 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 와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설문도구는 G. Hofstede에 의해 개발된 Value Survey Module(1994)2을 이용하였다.

Value Survey Module을 통해 G. Hofstede는 각 나라의 문화지수3 를 산출하여, 이 지수를 통해 5가지(개인주의, 권력격차, 불확실성 회

2 G. Hofstede, “Values Survey Module,” Institute for Research on Intercultural Corporation, 1994.

3 Value Survey Module는 G. Hofstede의 매뉴얼에 따르면, 각 차원의 점수 산출은 다음과 같다.

① 개인주의지수(IDV) = -50m(01)+30m(02)+20m(04)-25m(08)+130

② 남성성지수(MAS) = 60m(05)-20(07)+20m(15)-70m(20)+100

③ 권력격차지수(PDI) = -35m(03)+35m(06)+25m(14)-20m(17)-20

④ 불확실성의 회피지수(UAI) = 25m(13)+20m(16)-50m(18)-15m(19)+120

⑤ 장기지향성지수(LTO) = 45m(09)-30m(10)-35(11)+15m(12)+67

모든 문항들은 5점척도(1은 가장 중요한 것 (가장 동의 하는 것), 5는 가장 중요하지 않는 것(가장 동의 하지 않는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 )는 해당문항을 나타내며, m은 해당항목의 평균점수를 나타낸다. 위의 지수화된 점수들은 0과 100사이의 점수를 갖 는 것이 보통이지만, 점수들이 0이하이거나 100을 넘을 수도 있다.

피, 남성성, 장기지향성)차원으로 분류하였다.

G. Hofstede의 Value Survey Module(1994)은 전부 26개의 항목으 로 구성되었는데, 이중 인구통계학적 변수를 제외한 20개의 항목만 측 정하였다. 이러한 20개 항목들은 국가문화의 구성요소로써 5가지 차원 으로 지수화된다.

본 연구에서도 한국과 몽골의 경우 이러한 지수를 통해서 1970년대 나 1980년대에 측정되었던 기존의 연구의 결과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G. Hofstede의 Value Survey Module은 G.

Hofstede가 각 문화차원의 지수를 살펴보기 위해 사용한 공식을 그대 로 이용하며, Cronbach Alpha를 이용하여 G. Hofstede가 제시한 5가 지 차원에 대한 신뢰성 분석을 수행할 것이다. 즉, 한국 및 몽골 2나라 모두 경제환경 변화로 인해 1970년대 G. Hofstede의 문화성향 수준과 는 많은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기존 G. Hofstede의 연구에서는 각국별 문화성향에 대해서만 분석 하였지만, 본 연구에서 한∙몽 두 나라의 문화성향뿐만 아니라 각 나라의 성별, 학력, 연령, 근속년수 등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라 G.

Hofstede의 차원들이 어떻게 다른지를 조사하고, 한국 기업들이 몽골 의 차원에 따라 어떤 경영관리방식을 할 것인가에 대해 분석할 것이다.

[그림 1] 연구 모형

제 2 절 연구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