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개인주의와 집단주의(Individualism vs. Collectivism) ….18

개인-집단주의는 개인에게 얼마나 많은 자유가 주어져 있고, 또 개 인이 집단보다 자기 자신의 이익을 중요시하는 가치성향을 반영한다.

즉, 개인주의성향이 높은 사회에서는 구성원들간에 많은 자유가 주어 지고 구성원들은 주로 자신의 이익을 추구 함으로써 개인간의 구속력 이 느슨한 사회를 의미한다.

집단주의적 사회에서는 구성원들이 자기가족이나 종족에 대한 귀속 감이 강하여 자기 자신의 이익보다도 집단의 이익을 더 중요시한다.

따라서 구성원들간의 관계가 집단을 중심으로 매우 단단하게 형성하게 된다. G. Hofstede는 개인주의적/집단주의적 성향이 조직에 미치는 영 향력을 <표2-2>와 같이 제시하고 있다.

문화적 차원 중 개인-집단주의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를 통해 조직 및 개인에 미치는 영향이 분명히 제시되고 있다. Hui &Triandis(1998) 는 집단주의 성향이 높은 집단은 강한 집단정체성(group identity)을 갖는 반면 개인주의 성향이 높은 집단은 개인정체성(self identity)을 갖는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한 집단주의 성향이 높은 집단에서는 집단의 규범과 가치관이 의 사소통의 장애 없이 전체 구성원들에게 수용, 내부화 되는 경향이 높 게 나타난다(Leung & Bond, 1982).

또 집단구성원들간 강한 동일시, 상호의존성 정도가 크며(Triandis, Leung, Villareal & Clark, 1985; Triandis, 1986), 집단 구성원간 친화 (affiliation)의 필요성을 크게 느낀다(Hui & Villareal, 1989). 반면에

개인주의 성향이 높은 집단에서는 개인의 성취감을 중요시하고, 개인 과 조직의 목표가 일치하지 않는다면 조직을 기꺼이 떠나려는 경향을 보인다((Triandis, Leung, Villareal & Clark, 1985).

<표 2-2> 조직에 대한 개인주의/집단주의의 영향

개인주의 사회 집단주의 사회

주로 이해타산적 동기로 조직에 참여 주로 도덕적 동기로 조직에 참여

조직은 요람에서 무덤까지 그 구성원을 돌보지 않는다.

조직은 가족과 같이 사원을 돌보아야 하 고 조직이 그 구성원에게 만족을 주지 못하면 그들은 소외되어 있다고 느낀다

조직은 구성원의 복지에 적당한 정도의 영향을 주고 있다.

조직은 구성원의 복지에 크게 영향을 주 고 있다

자기 이해관계는 자기가 지키는 것으로 안다

조직이 사회의 이해관계를 보호하는 것 을 기대하고 있다

정책과 실천은 개인의 주도적 행동을 용 인한다

정책과 실천은 충성과 의무감에 의거하 고 있다

조직내부 및 외부에서 승진(범세계지향) 조직 내부에서 승진 (국소지향)

경쟁원리에 의거한 승진 연공서열제에 의거한 승진

관리자는 최신의 정보를 몸에 익히고 현 대경영이론을 도입하고자 노력한다

경영이론 흐름에 대한 관심이 적다

정책과 실천은 어떤 경우에도 일관적이다 (보편주의)

정책과 실천은 상대편의 관심에 따라 변 화한다 (개별주의)

자료: G. Hofstede 저, 김주수 역, 경영문화의 국제비교, 한국생산성본부, 1991, p. 270.

2) 권력격차 (Power Distance)

권력격차가 조직에 미치는 영향력이 위의 <표 2-3>에 제시되어 있 다. 권력격차는 조직 구성원들이 조직 내에 존재하고 있는 부와 권력 의 불평등에 대하여 어떠한 태도를 취하는지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권 력격차에 대한 사회구성원의 태도를 통하여 구성원들의 권위주의적 성 향과 집권화에 대한 선호정도를 비교할 수 있다. G. Hofstede 에 의하 면 국가간 권력격차 차이가 조직행동의 구조화와 권한의 집중화에 영 향을 미치게 되며 이러한 결과로 국가마다 조직의 구조가 상이하게 나 타난다.

<표 2- 3> 조직에 대한 권력격차의 영향

권력격차가 작은 사회 권력격차가 큰 사회

조직내의 위계는 편의상 만들어진 역할 의 불평등을 뜻한다

조직내의 위계는 고의간부와 하위직원 간의 존재적 불평등을 뜻한다

조직에서 권력분산이 흔하다->분권적 조직에서 권력집중이 흔하다-> 집권적 고위간부와 하위직원간 임금격차가 작다 고위간부와 하위직원간 임금격차가 크

부하직원과도 상의해야 한다 부하직원은 지시에 따라 일을 한다 이상적인 상사는 수단이 좋은 민주주의

자이다

이상적인 상사는 선의의 전제자 또는 착한 아버지이다

특권이나 지위상징을 언짢게 여긴다

경영자에게 부여되는 특권이나 지위상 징은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며 인기 가 있다

평평한 피라미드형 조직 거대한 피라미드형 조직

감독직과 사원의 비율이 낮다 감독직과 사원의 비율이 높다 낮은 계층에 속하는 종업원의 기술자격

수준이 높다

낮은 계층에 속하는 종업원의 기술자격 수준이 낮다

육체노동과 사무노동에 대한 평가가 같

화이트칼라의 직종은 블루칼라의 직종 보다도 높이 평가된다

자료: G. Hofstede, 김주수 역, 전게서, p.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