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양적 분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8-55)

본 연구 대상자의 우울, 불안의 변인별 기술통계 결과는 <표 8>과 같다.

<표 8> 실험집단과 대기집단의 우울, 불안 기술통계 결과

본 연구 대상자의 각 변인별 특성은 <표 8>에 제시된 바와 같이 실험집단의 사 전 우울의 평균은 20.83점, 사전 불안은 112.08점으로 나타났다. 대기집단의 사전 우울의 평균은 16.75점, 사전 불안은 107.83점으로 나타났다.

2. 동질성 검증

본 연구 대상자들이 동일한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대기집단의 사전검사(우울, 불안)에 대한 동질성 검증을 실시한 결과,

<표 9>과 같다.

Levene의

등분산 검정 평균의 동일성에 대한 t-검정

F p t df p

(양쪽) 평균차 표준오차차이의

사전 우울

등분산이

가정됨 9.396 .006

5.003 22 .000 4.083 .816

등분산이

가정되지 않음 5.003 14.471 .000 4.083 .816

사전 불안

등분산이

가정됨 10.581 .004

3.654 22 .001 4.250 1.163

등분산이

가정되지 않음 3.654 14.902 .002 4.250 1.163

<표 9> 실험·대기집단에 따른 사전 동질성 검증 결과

(N=24)

<표 9>에 제시된 바와 같이 실험집단과 대기집단의 사전 우울과 불안에 대한 동질성 검증을 각각 실시한 결과 유의수준 .05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006, p<.004). 따라서 두 집단의 분산이 동일하다는 귀무가설이 기각되어 우울 과 불안에서 각 집단은 동질하지 않은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3. 우울과 불안 점수의 공변량 분석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에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우울감이 대기집단에 비해 차이가 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각 집단의 사전 우울검사와 사전 불안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석을 한 결과가 <표 10>과 같다.

우울 불안

공변인 집단 오차 공변인 집단 오차

제공합 89.225 36.661 22.578 167.591 180.385 76.742

자유도 1 1 21 1 1 21

평균제곱 89.225 36.661 1.075 167.591 180.385 3.654 F 83.016 34.099 45.860 49.361

p .000 .000 .000 .000

<표 10> 우울과 불안 측정 점수의 공변량 분석표

공변량 분석을 한 결과,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는 집단 간에 우울과 불안점수는 통 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가설은 지지되었 다.

4.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우울에 미치는 효과

1) 실험집단

실험집단에 대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후의 우울 점수의 차이 를 알아보기 위하여 반복측정 차이검증(paired t test)을 실시한 결과가 <표 11>와 같다.

<표 11> 실험집단의 우울의 사전·사후 검증 결과

구분 평균 표준편차 t p

사전검사 20.83 2.62

-9.025*** .000

사후검사 17.42 3.02

*p<.05, **p<.01, ***p<.001

구분 평균 표준편차 t p 사전검사 16.75 1.05

1.000 .339

사후검사 16.92 .99

우울 측정 검사를 통해 사전·사후 검사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전체 평균 점수는 3.41점이 감소하였다. 반복측정 차이검증을 시행한 결과, 수용전념 미술치료 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우울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t=-9.025, p<.001).

2) 대기집단

대기집단에 대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후의 우울 점수의 차이 를 알아보기 위하여 반복측정 차이검증(paired t test)을 실시한 결과가 <표 12>와 같다.

<표 12> 대기집단 우울의 사전·사후 검증 결과

*p<.05, **p<.01, ***p<.001

대기집단의 사전·사후 우울의 차이를 반복측정 차이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t=1.000, p<.339).

<그림 1> 두 집단별 사전 우울점수와 사후 우울점수의 평균

구분 평균 표준편차 t p 사전검사 112.08 3.70

-12.318*** .000 사후검사 104.33 4.25

5.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불안에 미치는 효과

1) 실험집단

실험집단에 대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후의 불안 점수의 차이 를 알아보기 위하여 반복측정 차이검증(paired t test)을 실시한 결과가 <표 13>와 같다.

<표 13> 실험집단 불안의 사전·사후 검증 결과

*p<.05, **p<.01, ***p<.001

불안 측정 검사를 통해 사전·사후 검사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전체 평균 점수는 7.75점이 감소하였다. 반복측정 차이검증을 시행한 결과, 수용전념 미술치료 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불안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t=-12.318, p<.000). 따라서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는 중년여성의 불안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2) 대기집단

대기집단에 대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후의 불안 점수의 차이 를 알아보기 위하여 반복측정 차이검증(paired t test)을 실시한 결과가 <표 14>와 같다.

구분 평균 표준편차 t p 사전검사 107.83 1.58

-1.542 .151 사후검사 107.17 2.03

<표 14> 대기집단 불안의 사전·사후 검증 결과

*p<.05, **p<.01, ***p<.001

대기집단의 사전·사후 불안의 차이를 반복측정 차이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t=-1.542, p<.151).

<그림 2> 두 집단별 사전 불안점수와 사후 불안점수의 평균

6. 실험·대기집단의 사전·사후 우울과 불안 반복측정 변량분석

1) 실험집단과 대기집단의 사전·사후 우울 점수 반복측정 변량분석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 집단과 대기 집단의 사 전․사후 우울 점수에 대한 반복 측정 변량분석의 결과가 표 ? 이다.

<표 15> 우울에 대한 집단 유형(실험, 대기)과 측정시기별 변량분석 결과

변인 제공합 자유도 평균제곱 F p

집단간

집단 63.021 1 63.021 7.357 .013 오차 188.458 22 8.566

집단내

측정시기 31.687 1 31.687 61.738 .000 집단×측정시기 38.531 1 38.521 75.052 .000

오차 11.292 22 .513

<표 15>와 같이 우울 점수에 대한 집단간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 타났으며(F=7.357, p<.05), 측정 시기의 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F=61.738, p<.001). 그리고 집단 유형과 측정 시기 간 상호작용 효과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75.052, p<.001). 따라서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제 공받은 실험집단은 대기 집단에 비해 우울이 감소할 것이라는 본 연구가설은 지지 되었다.

2) 실험집단과 대기집단의 사전·사후 불안 점수 반복측정 변량분석

또한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 집단과 대기 집단의 사전․사후 불안 점수에 대한 반복 측정 변량분석의 결과가 <표 16> 이다.

<표 16> 불안에 대한 집단 유형(실험, 대기)과 측정시기별 변량분석 결과

변인 제공합 자유도 평균제곱 F p

집단간

집단 6.021 1 6.021 .345 .563

오차 384.458 22 17.475 집단내

측정시기 212.521 1 212.521 121.572 .000 집단×측정시기 150.521 1 150.521 86.105 .000

오차 38.458 22 1.748

<표 16>과 같이 불안 점수에 대한 집단 간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 으로 나타났으며(F=.345, p=.09), 측정시기의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 타났다(F=121.572, p=.000). 또한 집단 유형과 측정 시기 간 상호작용 효과도 통계 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86.105, p=.000). 따라서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집단은 대기 집단에 비해 불안이 감소할 것이라는 본 연 구가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8-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