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11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2019년 2월 석사학위 논문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가 중년여성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미술심리치료학과

양 수 영

(3)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가 중년여성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Group Art Therapy on Depression and Anxiety of

Middle-Aged women

2019년 2월 25일

조선대학교 대학원

미술심리치료학과

양 수 영

(4)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가 중년여성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

지도교수 김 승 환

이 논문을 이학석사 학위 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2018년 10월

조선대학교 대학원

미술심리치료학과

양 수 영

(5)

양수영의 석사학위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조선대학교 교수 김 택 호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김 승 환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문 정 민 (인)

2018년 11월

조 선 대 학 교 대 학 원

(6)

목 차

ABSTRACT ··· ⅵ

Ⅰ.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중년기 ··· 6

1. 중년기 특성 ··· 6

2. 중년 여성의 특성 ··· 7

B. 우울 ··· 10

1. 우울의 개념 ··· 10

2. 중년여성의 우울 ··· 10

C. 불안 ··· 11

1. 불안의 개념 ··· 11

2. 중년여성의 불안 ··· 12

D. 수용전념 이론 ··· 13

1. 수용전념(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t: ACT) ··· 13

2. 수용전념치료의 6가지 핵심적인 과정 ··· 14

3. 수용전념치료의 우울과 불안 ··· 18

E. 집단미술치료 ··· 19

1.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 ··· 19

2.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와 중년여성의 우울 ··· 20

(7)

3.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와 중년여성의 불안 ··· 21

F. 선행연구 ··· 22

Ⅲ. 연구방법 ··· 25

A. 연구설계 ··· 25

B. 연구대상 ··· 25

C. 연구도구 ··· 28

1. 우울 척도 ··· 28

2. 불안 척도 ··· 28

3. K-HTP(Kinetic House-Tree-Person) ··· 28

D. 수용전념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 ··· 29

1.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구성 절차 ··· 29

2. 수용전념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 단계별 목표 ··· 30

3.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구성 내용 ··· 30

4. 프로그램 회기별 진행 과정 ··· 34

E. 자료 분석 ··· 34

F. 연구의 윤리적 고려 ··· 35

Ⅳ. 연구 결과 ··· 36

A. 양적 분석 ··· 36

1. 기술 통계치 ··· 36

2. 동질성 검증 ··· 36

3. 우울과 불안 점수의 공변량 분석 ··· 37

4.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우울에 미치는 효과 ··· 38

5.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불안에 미치는 효과 ··· 40

(8)

6. 실험•대기집단의 사전•사후 우울과 불안 반복측정 변량분석 ··· 41

B. 질적 분석 ··· 43

1.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집단원 행동관찰 분석 ··· 43

2.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단계별 변화 ··· 47

3. 실험집단의 K-HTP 사전 사후 ··· 57

Ⅴ. 결론 및 제언 ··· 65

A.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 65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 67

[참고문헌] ··· 68

부 록 ··· 76

(9)

표 목 차

표 1 연구 설계 모형 ··· 23

표 2 실험·대기집단에 따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6

표 3 실험집단의 일반적 특성 ··· 27

표 4 대기집단의 일반적 특성 ··· 27

표 5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구성 절차 ··· 29

표 6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 31

표 7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회기별 진행구성 ··· 34

표 8 실험집단과 대집단의 우울, 불안 기술 통계 결과 ··· 36

표 9 실험·대기집단에 따른 사전 동질성 검증 결과 ··· 37

표 10 우울과 불안 측정 점수의 공변량 분석표 ··· 38

표 11 실험집단 우울의 사전·사후 검증 결과 ··· 38

표 12 대기집단 우울의 사전·사후 검증 결과 ··· 39

표 13 실험집단 불안의 사전·사후 검증 결과 ··· 40

표 14 대기집단 불안의 사전·사후 검증 결과 ··· 41

표 15 우울에 대한 집단유형(실험,대기)과 측정시기별 변량분석 결과 ··· 42

표 16 불안에 대한 집단유형(실험,대기)과 측정시기별 변량분석 결과 ··· 43

표 17 실험집단의 K-HTP 사전·사후 ··· 57

(10)

그 림 목 차

[그림 1] 두 집단별 사전 우울점수와 사후 우울점수의 평균 ··· 39

[그림 2] 두 집단별 사전 불안점수와 사후 불안점수의 평균 ··· 41

[그림 3]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초기 단계 미술작품 ··· 49

[그림 4]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중기 단계 미술작품-1 ··· 51

[그림 5]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중기 단계 미술작품-2 ··· 53

[그림 6]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후기 단계 미술작품 ··· 56

(11)

ABSTRACT

The Effect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Group Art Therapy on Depression and Anxiety of

Middle-Aged women

Yang, Su Young

Advisor: Prof. Kim Seung Hwan Psychological Art Therapy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sign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rough positive thinking by conducting Acceptance and Commitment Group Art Therapy(ACGAT)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dealing with their negative emotions, depression and anxiety. To achieve this,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ACGAT on the depression and anxiety of middle-aged women. Among mothers who used the M center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or who had received parental education, 24 middle-aged women agreed to participate in ACGAT program. Among them, 12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12 to the waiting group. The ACGAT Program consists of 10 sessions. The experimental groups conducted pre-post-examination of depression and anxiety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the waiting group performed pre-post-examination in the same period. The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depression and anxiety scores of the participants

(12)

in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the program compared to before, while the pre-post scores of the waiting group participant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GATT can help alleviate depression and anxiety in middle-aged women and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Second, K-HTP content analysis showed positive changes in the patterns of anxiety, depression, avoidance, loss of motivation, isolation, etc. after the program, positive thinking, energy growth, restoration of relationships, and expression of family. However, the small sample size and the lack of randomized assignment may be a limiting factor in general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ACGAT program by supplementing these limitations in later studies.

Key Words: Middle-aged women, Depression, Anxiety, ACT(Acceptance Commitment Therapy), Group Art Therapy

(13)

Ⅰ. 서 론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인생에서 중년기는 많은 변화가 시작되는 시기이면서 남은 시기를 결정짓는 중요 한 시기이다. 중년기는 제 2의 사춘기라고 할 정도로 인생의 의미와 자아정체감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신체적 노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성인병이나 암과 같은 심각한 질병이 나타난다. 사회적 지위가 높아지거나 자신의 분야에서 어느 정도 성 공을 하였지만 퇴직이 얼마 남지 않은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할지에 대한 경제적인 불 안감을 느끼기도 한다. 노부모의 질병이나 사망과 자녀의 성장 및 독립으로 인한 가 족구조의 변화가 있다. 이러한 변화들 속에서 심리적으로 위기감을 느껴 스트레스나 불안감을 느끼며 우울해지는 시기이다.

중년기는 빠르게는 30대 후반부터 시작해서 늦게는 50대에 이르러 나타나기도 한다. 이 시기는 사춘기 때처럼 인생에 대한 의미와 자아정체감에 대한 의문이 들 면서 나이 들어가는 것에 대한 위기감이 증가한다. 이들은 스트레스와 불안감을 느 끼며, 육체적 정신적으로 예측할 수 없는 변화를 경험한다(장영림, 2013).

이렇게 중년기가 긍정적인 면에서는 황금기요 절정기이지만 중년기 발달 과제로 서 전환기적인 위기를 거쳐 가게 되므로 부정적인 측면이 있다. 중년기 발달을 연 구한 학자들 중 Jung, Jaques, Levinson, Vaillant등은 중년기를 일생에서 가장 중 요한 성격변화의 시기로 본다. 이 시기에 발달과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위기를 만 나게 되는데 이들 학자들의 공통된 견해는 중년기가 심한 정서적 위기를 동반하면 서 혼란과 갈등을 가져오지만, 이는 성숙된 인격으로 발달해 가는 과정에서 필연적 으로 일어나는 긍정적인 현상으로 결코 병리적 현상은 아니라고 한다. 또한 이때의 고통은 새로운 발달단계로 들어가는 준비로서 본능적 인식에 기인한 재탄생의 경 험이자 전조라고 보고 있다(황경애, 2006).

중년에 이르면 피부 탄력이 저하되고, 흰머리가 나는 등의 신체적 변화, 앞으로

(14)

어떻게 살아 갈 것인가 대한 심리적 불안감, 정년퇴직과 같은 사회적 변화, 자녀의 독립으로 인한 가족구조의 변화를 겪게 되는데 이를 긍정적 전환기라고 인식하는 사람이 있고 위기로 인식하는 사람이 있다.

중년여성이 이 시기에 경험하는 변화들에 대한 적응에 실패하면 배우자와 자녀 에 대한 서운한 마음 등 부정적인 생각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허탈감, 공허함, 우 울, 불안과 같은 부정적 정서에 휩싸일 가능성도 높아지게 된다(정민승, 2006).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최근 5년간(2009~2013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 결 정 자료를 이용하여 ‘우울증(F32~F33)’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9년 약 55만 6천명에서 2013년 약 66만 5천명으로 5년간 약 10만 9천명(19.6%)이 증가하 였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4.6%로 나타났다. 진료인원을 성별로 비교해 보면 여성 진료인원이 남성 진료인원에 비해 매년 약 2.2배 정도 더 많았다. 40대 이상 여성 진료인원은 전체 진료인원의 절반 이상인 53.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는 여성들은 임신, 분만, 폐경기를 겪는 동안 호르몬 변화로 인해 더 쉽게 우울증 에 걸리게 되고 양성평등이 이루어 졌다고 해도 심리사회적으로는 여전히 스트레 스가 많고, 참고 견디는 것이 미덕인 것으로 여겨지는 경향들이 많아 이런 억압된 감정들이 우울증상으로 표출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여겨진다.

중년여성의 우울 및 불안은 자아정체감의 상실로 인해 자존감이 저하되고 실패 에 대한 두려움, 자기비난, 의기소침, 분노, 무기력증, 슬픔, 자책감, 무가치감, 허무 감, 비관적, 기억력․집중력 장애, 피곤함, 수면장애, 성적인 욕구의 감소 등 신체적 증상을 동반하여 나타나게 된다(도성숙, 2011).

이러한 많은 변화로 인한 우울과 불안을 다루기 위해 여러 가지 치료 기법들이 쓰여졌다. 그 중의 하나로 미술치료는 중년여성들에게 언어로 표현하기 힘든 감정 이나 무의식에서 억압된 마음을 표현하는데 적절하다. 부정적 정서를 수용하고 자 신의 가치를 향해 전념하는 수용전념 치료와도 비슷한 부분이 있어서 수용전념치 료를 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응용하는 것도 의의가 있다. 박주효(2017)에서는 수용전 념치료와 미술치료를 접목하여 발달장애아동 어머님들을 대상으로 심리적 안녕감 과 심리적 유연성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결과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에서 심리 적 안녕감과 함께 심리적 유연성이 향상되었다.

(15)

언어와 달리 미술은 비규칙성인 특성을 가지므로 그림 안에서 모호하고 상반되 는 요소들이 공존한다. 이러한 측면은 갈등의 경험과 감정을 종합하여 통합으로 이 끌고 언어의 한계성을 벗어나 공간성이 표현되고 잠재적인 창조성을 깨우는 치료 적 장점이 있다. 또한 미술활동은 심리적 저항을 줄여 사고 및 감정을 객관화하는 역할을 해주며, 기분을 환기시키고 정서를 편안하게 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걱정이 나 부정적 스트레스를 감소할 수 있다(김동연, 최외선, 2000).

수용전념치료는 기존의 상담에서 제거하고 감소하려는 부정적 정서인 우울과 불 안을 제거하거나 억제하지 않고 수용하고 알아차림으로써 이를 자각하여 자신의 행동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수용전념치료의 주요 과제는 우울을 경험하는 내담자가 우울증을 치료함으로써 우울 없이 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기보다 우울증과의 투쟁에서 자유로워짐으로 써 우울과 함께 의미 있고 활기 있는 삶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수용 전념 치료의 주된 치료 목표는 증상의 감소가 아니라 가치 지향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심리적 유연성의 증가이지만 그런 삶이 되면 우울의 수준 또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Zettle, 2013: 최연희, 2016 재인용).

그동안 중년여성들의 우울과 불안에 대한 다양한 치료방법과 병행되어 미술치료 프로그램들이 연구되어왔다. 집단미술치료가 중년여성들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이예리, 2016; 방서연, 2016; 황경애, 2006; 장은정, 2007)와 수용전념치료 가 우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김혜은, 2013; 최연희, 2016)가 있다.

수용전념과 우울, 불안에 대한 연구에서 대상자가 대학생, 청소년, 군인, 운동선수 가 있었으나 중년여성은 많이 있지 않았다. 수용전념을 기반으로 한 미술치료 프로 그램은 박주효(2017)의 연구가 있으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수용전념을 기반 으로 하는 미술치료 프로그램 중에서 우울과 불안을 다루는 연구는 논의 되지 않 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가 중년여성의 우울과 불안에 미 치는 효과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울진단 척도, 불안척도, K-HTP 검사를 하여 사전과 사후를 비교 분석을 하고, 우울과 불안에 대한 부정적 정서의 변화과정에 대한 질적 분석을 통해 중년여성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

(16)

를 알아보고자 한다.

B. 연구문제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은 불안이나 우울, 신체증상을 가진 사람들이 문제로 여기 는 사적 경험의 내용을 바꾸려고 하기 보다는 그것과 관계를 맺는 방식을 바꾸는 것을 목표로 한다. 즉, 생각은 생각, 감정은 감정임을 받아들일 때, 생각하고 느끼 는 과정을 알아차리게 되며 반응의 선택범위가 넓어지게 된다(문현미, 2006).

본 연구는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가 중년여성의 우울, 불안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본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세우기 로 한다.

1. 연구문제: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가 중년 여성의 우울, 불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연구가설:

수용전념 집단 미술치료 참여한 실험집단은 대기집단에 비해 우울, 불안은 감소할 것이다.

C. 용어의 정의

1.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박주효(2017)의 연구에서 정의하는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는 수용전념은 일반적 으로 개인의 경험과 사건들을 회피하거나 통제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을 말한다. 수용전념에 집단미술치료를 접목하여 수용전념 집단미술 치료 프로그

(17)

램이라는 용어를 설정하고자 한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수용에 대한 가치 지 향적인 행동의 수준을 높여주어 심리적으로 고통을 느끼고 있는 내담자의 심리적 안녕감과 심리적 유연성의 수준을 높여줄 수 있는 집단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우울, 불안과 같은 부정적 정서를 수용하여 미술이라는 매체를 통해 문제를 이미 지로 표출하고 집단원들과 개인적 경험을 나누는 과정에서 자기 통찰을 할 수 있 는 프로그램이라고 덧붙여 정의한다.

2. 중년 여성

본 연구에서는 중년여성(Middle-Aged Women)을 청년과 노년의 중간이면서 중 년이 시작되는 나이인 40세에서 49세의 연령으로 정의한다.

3. 우울

본 연구에서는 우울을 일상생활에서 흥미를 잃어 무기력해지고 자신을 무가치하 고 비하하는 부정적 정서로 정의한다.

4. 불안

본 연구에서는 불안을 노후, 자녀의 성장에 따른 가족의 재조직화, 신체 변화에 따른 부정적인 심리상태로 정의한다.

(18)

Ⅱ. 이론적 배경

A. 중년기

1. 중년기 특성

중년기는 인생주기에서 청소년기와 성인 초기 등의 발달단계를 지나 온 시기이 면서 동시에 앞으로 다가올 노년기를 준비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중년기에는 사춘 기에 겪는 것과 유사한 심리적인 현상을 경험하기도 하지만 사춘기가 자신이 누구 인지에 대한 정체성에 대한 질문이라면 중년기는 지나온 삶과 자신의 내면을 되돌 아보고 자신의 존재의 의미를 통합적으로 정립해가는 시기로서 인생의 전반에서 후반으로 가는 전환점이 되는 중요한 시기이다(이건욱, 2016). 또, 이 시기에는 자 신의 자존심을 이루기 위한 압박감과 계속적인 미래의 도전이라는 특징이 있으며, 인생의 중요한 것들을 상실함으로 인한 고통이 따르고, 남은 시기의 불확실성에 대 한 두려움이 있고, 변화되는 새로운 역할에 대한 초조감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 시기에는 연령, 가족주기, 결혼생활, 개인의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역사적, 환경 적 배경에 의해 전인적으로 영향을 받는 시기이므로 여러 가지 위기에 대면할 수 있다(최연희, 2016). 분석심리학자 융은 중년기를 개별화가 부활하는 시기로 중년 기 위기에 많은 악성 신경증들이 나타나는 것은 이상할 것이 없다고 했다. 그 시기 는 일종의 제 2의 사춘기이자 또 다른 질풍노도기로서 이 시기에 갑자기 발생하는 문제들은 기존의 낡은 처방으로는 더 이상 해결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장은정, 2007). 에릭슨은 인간의 발달을 8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별로 발달과업을 지정하였 으며, 7번째 단계인 중년기에는 생산성과 침체감 사이의 균형이 중요한 발달과업이 라 하였으며, 중년기에 생산성을 성취하지 못하면 심리적으로 침체하게 되어 신체 적, 물리적 특징에만 치중하며, 자신에게만 집착하고 타인의 욕구를 무시하여 타인 에 대한 관대함이 결여되어 침체성에 빠지게 된다(이보람, 2014).

Beck(1978)의 인지이론에 의하면 인지 체계나 사고과정의 왜곡이 중년기 여성의

(19)

생리적, 신체적, 심리적 변화를 일으켜 부정적인 사고와 우울을 야기 시킨다고 한 다. 개인적 발달의 관점에서도 신체적, 생물학적 노화가 시작되므로 심리적으로 자 신의 인생에 대한 가치와 목표를 재설정하려는 시기이기도 하다(강승희, 2010. 재인 용).

2. 중년 여성의 특성

1) 신체적 변화

중년여성의 신체적 변화를 살펴보면 중년기에 접어들면 생리적 기능에 변화가 일어난다. 피부는 탄력성이 줄어들고 주름이 눈 가장자리와 이마에 나타나기 시작 한다. 머리카락이 얇아지고 머리카락이 잘 자라지 않는다. 특히 여성의 경우는 유 방이나 자궁의 퇴화가 일어나는 시기이다. 신체의 근육조직은 감소하고 지방 조직 은 늘어난다. 근력과 근지구력도 어느 정도 감소한다. 한편, 시각 기능이나 청각 기 능과 같은 감각기관도 뚜렷하게 감퇴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40세 이후가 되면 원시 경향이 나타나며, 빛으로부터의 회복과 암순응이 더 오래 걸린다. 외현적으로는 키 가 줄어들며, 성적으로는 폐경이라는 중대한 변화를 경험한다(박영숙, 2010).

폐경 전에 나타나는 증상은 난소에서 여성호르몬의 분비가 감소됨으로 인해 월 경주기가 짧아지게 된다. 여성호르몬이 지속적으로 부족하게 되면 여러 가지 신체 변화 증상이 나타난다. 첫 번째로 혈관성 변화에 의한 안면 홍조, 가슴 두근거림, 발한, 두통 등에 해당한다. 두 번째는 근골격계 변화에 의한 증상으로 큰 관절의 통증을 동반하는데 이것은 여성 호르몬 부족에 의해 관절 내 삼출액이 고여 염증 성 변화가 오기 때문이다. 세 번째는 비뇨, 생식기의 변화에 의한 증상으로 소변이 잦아지게 되고 질에 염증성 변화가 오기도 한다. 네 번째는 뇌신경계 변화에 의한 증상으로 기억력이 감퇴되고 어지러움을 자주 느끼게 된다. 또한 여성 호르몬의 부 족으로 우울 성향을 보이기도 한다. 다섯 번째는 일반적인 변화에 대한 증상으로 시력 감퇴, 피부변화, 손톱과 머리카락의 변화가 포함된다(유정희, 2004).

또한 중년기 여성의 주요한 변화 중 하나로 갱년기를 들 수 있는데 여성의 신체

(20)

가 폐경을 가져오는 다양한 생리적 변화를 겪는 2년에서 5년까지의 기간을 ‘갱년 기’라고 한다. 폐경기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 분비의 감소로 폐경 여성의 2/3정 도가 번열증(hot flashes)을 경험하며 일반적으로 쉽게 짜증을 내고, 우울증에 빠질 가능성이 많고 정서가 불안정할 때가 많다(노안영, 강영신 공저, 2007).

2) 정서적 변화

현대의학의 발달로 길어진 인생여정은 생리적 변화와 중년이라는 정신적 과도기를 안은 채 신체적 정신적으로 불안한 상태에서 노년이라는 긴 세월을 보내야 한다는 내 적, 외적 긴장감을 갖게 된다. 중년 여성들은 폐경기로 인한 출산 정지와 자신의 젊음 이 사라진다는 정신적 불안정에서 불안감과 우울증에 빠질 수 있다(김명자, 1989).

자녀 출산과 양육에서 벗어나 자녀의 독립에 따른 역할 변화로 많은 중년주부들 이 상실감, 고립감, 위축감 등을 겪게 된다. 또한 이 시기에는 친정부모, 시부모 등 노인세대에 대한 부양의 부담감이 증가한다. 친구나 가까운 지인의 사망 등에서 기 인한 자신의 건강문제에 대한 연려가 증가하고, 자녀와의 유대감의 약화로 상실감 이 커진다. 또한 어머니로서의 역할 약화로 인해 자신의 존재감과 정체성 혼란에 빠지면서 자아실현에 대한 갈등이 커진다. 이로 인해 우울감에 빠지거나 스트레스 를 경험하게 되어 중년기의 우울증을 대폭 증가시킨다(정원임. 2013).

중년기 여성은 가정이나 사회생활에서 만족감을 느끼지 못할 때 삶의 회의에 빠 질 가능성이 있으며, 자신의 신념과 가치체계가 붕괴되고 삶의 목표에 대한 압박감 과 불안감을 느끼게 된다.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여 스스로 위축감을 느끼게 되고, 열등감에 빠지기도 하며, 혼자 있는 시간이 늘어남으로서 소외감을 느끼기도 한다.

이 시기에는 이러한 복잡한 감정으로 인해 우울의 빈도와 비율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김수경, 2012).

폐경기에 정신장애를 일으키는 여성들의 성격구조를 분석해보면 자기애적 욕구 가 강하고 양성적인 경향이 있으며 초자아의 요구로 인해 완전주의적 행동을 수행 하기도 한다. 따라서 자신의 이상과 맞지 않을 경우 쉽게 열등의식을 느껴 우울해 지거나 자책감, 불안감을 느낀다(양동휘, 2008).

자녀와의 관계가 달라지면서 부모로서 겪는 심리적 변화와 자녀들을 둥지 밖으

(21)

로 떠나보낸 이후 부부간에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인간관계에서 오는 갈등이나 위 기의 경험과 함께 나타나는 여러 가지 정서 문제를 빈 둥지증후군(empty nest syndrome)이라고 한다. 중년여성이 빈 둥지증후군을 자녀가 성장하여 정신적 독립, 주거 상황적 독립으로 가정에 주로 부부가 남게 된 중년이 주부들이 겪는 우울증, 상실감, 낮은 자존감 등의 부정적인 정서 상태라고 정의한다(정원임, 2013).

3) 사회적 특징

가족 주기의 변화를 형성기, 확대기, 축소기로 나누는데 중년기는 확대기에 속 한다. 또한 중년기는 부모와 자녀 사이에 있는 중간 세대로 ‘샌드위치’세대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가족관계로 인해 중년기는 인생의 절정기를 살면서도 다 른면에서는 부모 세대의 하향과 쇠퇴를 감지한다. 부부관계에나 사회생활에 있어 평등한 관계를 전보다 더 추구하려고 한다(허재기, 2004).

가족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주부들의 심리상태는 가족 전체의 행복과 안정성 그리고 가족생활의 질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한 여론 조사에 따르면 ‘이제라도 내가 원하는 삶을 살겠다.’고 응답한 여성이 전체 응답자 중 69.7%로 나타나고 있어 중년으로 접어들면서 여성들은 지금까지의 삶과는 상반된 모습으로 변화하고 싶어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자신의 정체성을 되찾아 자 아를 존중하며 수용할 수 있는 환경을 재설정하고 자신감과 안정감을 갖고 제2의 인생을 살아가려는 중년여성의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는 예이기도 하다. 중년이 될 때까지 아내로써 어머니로써 며느리로써 살아왔다면 앞으로는 사회의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생산적이고 주체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싶어 하는 시기인 것이다 (강승희, 2010).

반면에 중년기는 가족생활 주기의 관점에서 볼 때 양육중심 부모역할이 어느 정도 감소되고 은퇴한 노부모와 독립을 주장하는 자녀의 중간에 위치하는 세대라 하겠다. 개인의 가치욕구와 사회적 기대감이 혼란으로 중년기 여성들은 자신의 욕망이나 바라는 바가 무엇인지를 파악하지 못하고 텅 비어있는 공허감이나 좌절 감에 빠져 무기력한 상태에 이르게 된다(홍지연, 2007).

(22)

B. 우울

1. 우울의 개념

우울한 기분이나 감정이 장기간에 걸쳐 나타나고 이로 인해 일상생활에 어려움 을 보이게 되면 우울증으로 불 수 있고 결국 우울감이 우울증으로 발전 할 수도 있다. 우울장애는 슬픔, 공허함, 짜증스러운 기분과 수반되는 신체적, 인지적 증상 으로 인해 개인의 기능을 현저하게 저하하는 부적응 증상을 의미하며 개인의 능력 과 의욕을 저하해 현실적 적응을 어렵게 만드는 주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권석 만, 2013). 우울함이 나타나는 원인을 크게 4가지로 살펴보면 첫째, 인지론적 관점 에서는 우울증을 앓는 사람들은 부정적 자동적 사고를 한다는 것이다. 둘째, 행동 주의적 관점에서는 강화이론과 학습이론을 설명하고 있는데 개인이 처한 상황에서 적절하고 적합한 강화를 받지 못하거나 낮은 정적 강화를 경험하는 경우에 우울을 경험한다고 한다(김정옥, 2013). 셋째, 정신 역동적 관점에서는 우울증을 사랑하던 대상의 상실에 대한 반응이며 사람들의 관계가 안전감을 주지 못한 결과로 본다.

넷째, 생물학적 관점에서는 유전적인 요인, 뇌의 신경 화학적 이상, 뇌 구조의 기능 적 손상, 내분비계통의 이상, 생체리듬의 이상 등에서 그 원인을 찾고 있다(권석만, 2011). 우울 상태는 여러 가지 신체 생리적 변화를 동반한다. 우선 식용과 체중의 변화이다. 식욕부진으로 체중이 현저히 감소하는 반면, 식욕 과다로 비만해지는 경 우도 본다. 성적 욕구 및 성에 대한 흥미는 감소한다. 또한 소화불량과 두통을 호 소하는 신체적 증상을 나타내고 이러한 증상에 집착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면역력 이 저하되어 감기 같은 전염성 질환에 약하고 감기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우울 상태는 개인을 힘들게 하고 부적응 상태에 머물게 하는 무서운 장애이지만 전문적 치료만 받으면 회복이 잘 되는 장애로 알려져 있다(추정선, 2005).

2. 중년여성의 우울

국내의 중년기 여성의 기분변화 중 가장 흔한 증상으로는 우울이 65~89%로 가

(23)

장 높고, 그 외에 불안, 짜증, 긴장, 신경과민, 의욕상실, 자신감 상실 등이 있다 (김주연, 2001). 중년기 여성은 여러 가지 변인들로 인해 우울을 경험할 수 있다.

생물학적인 변인으로는 갱년기로 인한 에스트로겐의 감소와 노화에 따른 현상으 로 우울이 발생할 수 있다. 사회 심리적 변인으로는 가족 간의 역할변화와 스트 레스적인 생활로 인해, 특히 자아에 대한 성찰로 이제까지 살아 온 삶에 대한 숙 고를 하면서 자신의 기대와 현실 사이에 많은 차이가 있을 경우 우울을 경험하게 된다(박금자, 1999).

중년여성 중 우울에 걸리기 쉬운 사람의 특징으로는 지나치게 예민하거나 소심 한 성격 혹은 책임감이 강하고 강박적 성격의 소유자들이다. 또 고민이 많은 사 람, 기분전환을 잘 하지 못하고 작은 일에도 크게 고민하는 사람, 신경질적이고 자기중심적인 사람, 스트레스의 영향을 받기 쉬운 사람 등이 우울증 장애를 일으 키기 쉽다. 이와 같은 성격을 갖고 있는 사람은 모의 작은 변화에도 주의가 집중 되기 쉽고 증상을 나쁜 쪽으로 생각하는 부정적 자기이론, 불면, 초조, 불안 등 정신적인 증상을 동반하기가 쉽다고 한다. 또한 외적 긴장 상황 특히 개인적 평 가에 대한 무력감, 낮은 자존감을 갖도록 하는 아동기의 성장력, 과거 우울경험의 역사 및 실패의 원인을 들고 있다(주리애, 2003).

우울의 증상으로 보면 해야 할 일을 자꾸 미루고 지연시키는 일이 반복된다. 활 력과 생기가 저하되어 아침에 잘 일어나지 못하고 쉽게 지치며 자주 피곤함을 느 끼게 된다. 이전에 흥미를 가졌던 일이나 사회활동과 대인관계를 멀리하며, 생활 전반에 걸쳐 의욕이 상실되고 말이나 행동이 느려지면서 활력이 떨어지는 경우가 흔하다(이민수, 2005).

C. 불안

1. 불안의 개념

불안(anciety)은 긴장, 걱정 같은 느낌으로 특정 지어지는 복잡한 감정적 반응을

(24)

나타내는 것으로, 오랫동안 임상 및 상담심리학 연구에서 대표적인 개념의 하나 로 중요시 되어왔다(김혜숙, 2005).

신체적 특성은 과민함, 긴장감, 떨리는 감각, 심장 두근거림, 질식감, 흉부통증 및 불편감, 어지러움, 메스꺼움, 냉각 또는 열감 등의 신체적 증상을 가지는 것이 다. 인지적 특성은 걱정하며 미래에 대한 불안이나 우려 때문에 괴로운 것, 신체 적 감각에 대해 예민함, 주의집중의 어려움, 자신에 대한 통제를 잃어버릴 것 같 은 두려움, 과민하거나 혼란스럽고 불안한 생각들에 빠지는 것이다. 행동적 특성 은 불안을 유발하는 위협으로부터의 회피 행동, 매달리거나 의존하는 행동, 흥분 하는 행동 등을 보이는 것이다(이정민, 2010).

인간은 불안을 느껴야 위험으로부터 경계를 하며 대비를 하게 되어있다. 적절한 수준의 불안은 개인이 갑작스런 상황을 미리 준비하여 대처할 수 있으며 문제 해 결 능력이 높아지지만, 과도한 불안은 살아가면서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수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신체․정서적인 불편을 유발하게 된다.

Spielberger(1975)는 긴장을 초래하는 상황에서 일어나는 개인의 반응으로 이해했 으며 불안은 관측될 수 있고 인간은 자신의 불쾌한 감정을 기술하고 보고할 수 있 는 것으로 보았으며 이를 특성불안(Trait Anxiety)과 상태불안(State Anxiety)으로 나누었다. 특성불안은 비교적 변화하지 않는 개인차를 지닌 동기나 획득된 행동 성 향으로 생물학적 요인과 유아기의 경험으로 이루어지며 특별한 위험상황이나 스트 레스에 의해 활성화될 때까지 잠재되어 있고 비교적 불안 수준이 변화하지 않고 지속되는 특성이 있다. 상태불안은 시간의 경과로 인하여 불안이 변화되는 인간의 정서적 상태를 뜻하는 것이며 주관적 경향도 높고 자율신경계통의 활동을 일으킨 다. 어떠한 자극을 위협적인 것으로 지각되면 불안의 수준이 높아지고, 반면에 스 트레스 상황이거나 위험이 내재된 환경이라도 이를 지각하지 않으면 불안의 정도 는 낮아진다(배명화, 2005).

2. 중년여성의 불안

특히 중년기는 일반적인 불안 외에도 중년이라는 특정한 발달단계에 따른 많은 불안 요인이 존재하는 시기이다. 즉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는 신체적, 사회적, 심리 적 과도기의 중년여성은 이때 생기는 여러 가지 갈등으로 인해 더욱 더 커다란 불 안 상황에 처하게 된다(김혜숙, 2005). 이를 잘 극복하지 못하면 장래에 대한 불안

(25)

과 염려와 걱정, 자신과 환경에 대한 불만과 목적이나 방향의 상실, 고립감, 자신의 무가치함, 성적인 유혹, 건강의 두려움, 새로운 변화 및 시도에 대한 두려움, 피로 와 권태, 자기연민, 포기하고 싶은 생각, 절제, 삶의 의욕 상실, 분노, 절망감, 눈물, 신경쇠약 등이 있다(주현경, 2009).

불안한 중년여성들에게서 자주 나타나는 내용은 가족, 대인관계, 일에 대한 걱정 으로 나타났다. 자신이 하는 걱정이 비현실적이고 지나치게 집착하고 있다는 것을 인지적으로 알고 있으나 쉽게 조절이 불가능하다고 느낀다. 따라서 중년여성이 이 시기에서 겪는 자녀의 독립, 노부모에 대한 책임이나 가족 내의 역할 변화를 통해 불안을 느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해 볼 수 있다(허수진, 2016).

D. 수용전념 이론

1. 수용전념(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

수용-전념 치료(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는 인지행동치료의 제 3의 물결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심리치료 프로그램으로 수용(Acceptance)과 마음 챙김 과정, 전념(Commitment)과 행동을 통해 심리적 유연성을 증진시킨다.

생각과 감정을 그대로 수용하여 받아들이고 개방시킴으로써 심리적 안녕을 추구하 는 인지적 행동적 심리치료 접근법이다(김은혜, 2016).

ACT는 기능적 맥락주의(Functional Contextualism)라는 실용철학과 인간의 언어 와 인지의 분석에 기초하는 관계구성이론(Relational Frame Theory: RFT)에 뿌리 를 두고 있다. RFT의 기본적인 전제에서 인간의 행동은 ‘관계구성 틀(Relational Frame)’이라고 불리는 상호관계의 망을 통해 지배된다. 이러한 관계의 틀은 인간의 언어 및 인지의 핵심을 이루며 이를 통해 직접적인 경험이 없어도 무언가를 배울 수 있다. 즉, 인간은 관련 짓는 능력으로 인해 자신의 생각, 감정, 행동성향, 행위 등을 환경 내에 있는 다른 대상의 생각이나 감정과 관련 지을 수 있게 된다. 그러 나 이러한 언어적 관계구성의 능력이 자신의 내면적인 경험들과 연관되어지면 오 히려 삶을 제한하고 심리적 괴로움을 초래할 수 있다(Hayes & Smith, 2005/2010).

(26)

인간이 자신의 행동과 언어적으로 관계할 때는 언어적 상징과 행동 자체의 심리 적 의미가 교환된다. 이런 양방향적 특성은 인간의 자기 자각을 유용하게 만들긴 하지만, 동시에 이러한 인지적 특성으로 인하여 인간의 자기 자각은 고통을 초래하 기도 한다. 인간의 경우에는 언어 및 인지 작용의 관계 구성과 관련되어 생긴 고통 이므로 상황을 피하는 것만으로는 고통을 피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그리하여 인간 은 자기 방어적으로 고통스런 생각과 감정들을 피하려고 하는 경험회피를 한다(김 채순, 2012).

따라서 인지-언어적인 관계구성으로 습득된 것이 지배할수록 사람들은 지금-여 기의 경험을 알아차리는 것이 둔감해지고 동시에 더 많은 언어적 법칙에 의해서 지배를 받게 된다. 즉, 언어적인 과정은 보이지 않는 것을 상상하도록 할 수 있지 만 반대로 잘못된 생각에 몰입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장면에서의 행 동이 ‘나는 바보야’라는 생각과 합쳐지면 ‘나는 바보야’라는 것을 단지 자신의 삶에 서 나온 하나의 생각으로 바라보기보다 마치 그것이 정말 사실인 것처럼 문자적으 로 인식하여 이차적인 고통을 초래하게 된다(문현미, 2005).

ACT의 장점은 나쁜 것은 버리고 좋은 것은 취하는 기계적 접근이 아니라 나쁜 생각이나 나쁜 감정은 단지 하나의 생각과 감정일 뿐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며 그저 ‘바라보기’를 강조하는 맥락주의 관점이라는 것이다. 상담자 역시 사적인 경험 의 형태를 바꾸려고 노력하기보다 사적 경험들(생각, 신념, 감각, 감정)의 기능을 변화시키려고 시도하는데, 이는 생각과 감정이 관련되어 있는 맥락을 조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ACT의 치료 요소들 대부분이 이러한 상황적인 맥락을 강조한다(이선 영, 2010).

2. 수용전념치료의 6가지 핵심적인 과정

1) 수용(acceptance)

수용전념치료에서 수용은 일반적으로 심리적 고통을 제거하고자 노력할 때 그 고통이 더욱 증폭되므로, 이를 회피하고자 노력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 수용하자는

(27)

개념에서 출발한다. 즉, 수용은 경험을 회피하지 않고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을 의 미하는데, 사건의 빈도나 형태를 변화시키려고 노력하지 않고, 심리적 고통을 유발 시키는 개인적 사건을 수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수용은 경험회피의 대안으로서 자신이 느끼는 것에 대해 방어하거나 밀어내지 않고 알아차리고 느끼도록 해준다 (Hayes et al., 2006). 수용은 좋아하거나 혹은 원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포기하기, 항복하기 혹은 체념을 나타내는 것도 아니다. 간단히 말해서 수용은 무 엇이 발생하든 부드럽게 쥐는 것을 의미한다. 처음에 내담자들은 겉보기에 반직관 적인 아이디어에 종종 망설이게 되는데, 도대체 왜 자신들이 감정적이거나 신체적 인 고통을 수용하는 것을 선택해야 하는지 의아해한다. ACT는 두 가지 이유를 제 시한다. 고통을 회피하려는 투쟁이 비효과적이고 종종 괴로움을 확대하기 때문이 고, 수용이 종종 가치를 두는 삶을 사는데 도움이 되는 행동 취하기를 촉진시켜 주 기 때문이다(Stoddard & Afari, 2014/2016).

2) 인지적 탈융합(cognitive defusion)

생각, 감정, 사고를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기능을 변화시키려는 시도라고 정의 할 수 있다. 인지적 탈융합의 주요 과정 중의 하나는 인간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사 고와 인지, 감정의 흐름을 보다 객관적으로 이해하도록 하는데 있다(Blackledge, 2007). 인지적 탈융합은 생각의 문자적 내용에 반응하지 않고 생각을 단지 하나의 생각으로 관찰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배우게 된다. 따라서 생각도 관찰되어 질 수 있다는 것을 깨닫고, 생각과 투쟁하거나 생각을 수정하거나 생각을 바로 실 행할 필요도 없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인지적 탈융합의 목표이다(Eifert et al., 2009). 생각은 생각일 뿐이고 감정은 감정일 뿐이고 기억은 기억일 뿐이다. 또한 신 체적 감각을 신체적 감각으로 여기도록 가르치는 것이다(문현미, 2006). 탈융합 기 법은 고통을 제거하거나 관리하기 위한 방법이 아니라 좀 더 유연한 방식으로 현 재의 상황에 머무르는 법을 배우는 방법이다. 즉, 손바닥을 얼굴 가까이에 대고 있 으면 손바닥에 대해서 잘 알 수 없지만 조금만 거리를 두고 손바닥을 보면 오히려 많은 것을 볼 수 있는 것처럼, 우리의 생각이나 감정과도 약간의 거리를 둔다면 생

(28)

각과 감정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다(권성일, 2012).

3) 현재에 존재하기(being present)

현재에 존재하기란 경험 회피와 인지적 융합에서 빠져나와 지금 이 시점에 대해 자각하는 것으로, 현재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사건을 알아차리고 관찰하도록 한 다. 이 관점에서 언어란 사건이 발생한 순간에 집중하고 이를 토대로 서술하는 도 구이지 나타나는 상황에 대한 판단이나 예측하는 것이 아니다(이선영, 2010). 스스 로 개인의 경험과 접촉하는 것은 심리적 경직성에서 보다 쉽게 벗어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자신의 가치에 비추어 일관성 있는 행동을 선택하게 한다. 이는 과거 의 있었던 심리적 반응을 반복하지 않도록 해준다(김은혜, 2016).

4) 맥락으로서의 자기(Self as context)

개념화된 자기, 지속적인 자각과정으로서의 자기, 맥락으로서의 자기로 구분되어 진다. 개념화된 자기는 평가의 주체를 자신으로 보고 언어적 내용으로 규정하는데 이 과정에서 융합이 나타나 자신을 통제하게 되고 심리적 고통을 갖게 된다. 지속적 인 자각과정으로서의 자기는 자신의 경험을 평가하지 않고 현재 순간에서 그대로 아는 것이다. 맥락으로서의 자기는 앞서 제시한 자기에 대한 인식들과는 다르게 언 어적으로 연관되지 않으며, 자신을 제 3자로 생각하여 거리를 두고 관찰하는 과정으 로 관찰하는 자기라고도 불린다. 즉, 맥락으로서의 자기는 스스로 만든 자신에 대한 개념에 몰입하지 않고, 경험과 맥락을 구별하여 추구하는 가치에 적절한 행동을 함 으로써 수용을 촉진시키고 심리적 유연성을 갖추는 주요한 단계이다(한우리, 2016).

맥락으로서의 자기는 개념으로서의 자아, 내용으로서의 자아, 과정으로서의 자아를 모두 포괄하는 상위의 자아개념이다. ACT에서는 개념화된 자기와의 과도한 융합이 심리적 유연성에 위협이 된다고 보고 대안적인 유형의 자기를 경험하도록 한다. 대 안적인 자기 유형의 하나는 생각, 감정, 기억, 신체적 감각 등과 같은 사적 사건들이 일어나는 맥락으로서의 자기이다. 다르게 표현하면, 맥락으로서의 자기는 지금-여기 에서 자신의 경험을 바라보는 조망하는 자기라고 할 수 있겠다(문현미, 2005). 생각 과 감정 등의 개인의 경험을 관찰함과 동시에 미래의 가치를 위해 생각하고 행동한

(29)

다. “지금 현재의 나”에 대한 접촉을 증진시킴으로써 특정한 내용으로 평가된 자기 를 경험하지 않고,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맥락 속에서 자기 자신을 인식하고 관찰하 는 기술을 배우게 한다(이진용, 2014). 관계구성 이론에 의하면, 인간은 언어적으로 자신과 타인을 구분하고 과거와 미래와 현재를 연결하는 자기 인식을 갖고 있다. 그 러나 언어는 자신 혹은 자신의 경험에 대한 표현이지 자기 자신은 아니다. 오히려 자신의 모든 경험을 관찰하고 그 경험들과 연속적으로 관계를 맺고 있는 맥락의 주 체가 자신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다른 사람이 생각하는 내용이 내가 아니며, 내가 나 자신에 대해서 생각하는 내용도 내가 아니라고 할 수 있다(이선영, 2010).

5) 가치(Value)

ACT에서 정의하는 가치는 방향과 함께 목적을 선택하는 행동이며, 가치는 판단 이 아니라 선택임을 가르친다. 나아가서 자신의 삶에서 가치가 어떻게 실현되기를 바라는지 생각해 보게 한다. 그리고 그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불편해하 거나 두려워하는 심리적 장애물들과 함께 행동해야 한다는 것을 수용하도록 지지 한다(문현미, 2006). ACT에서 가치는 개인에 의해 중요하고 의미 있다고 규정되는 경로 또는 방향이다. 가치는 우리가 진실로 어떤 사람이 되고 싶어 하는지 그리고 우리가 옹호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를 규정한다. 가치를 두는 방향으로의 여행은 삶을 풍요롭고 충만하게 만든다. ACT는 내부의 사적 경험을 변화시키려는 것에 관한 것이 아니다. ACT는 행동을 변화시키려는 것에 관한 것이다. 가치는 이러한 변화를 만드는데 로드맵을 제공한다. 또 다른 특징은 가치가 개인적이라는 것이다.

한 개인에게 중요한 것이 다른 사람에게는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개인의 부 모 혹은 문화가 가치를 두는 것이 그 개인에게는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Stoddard & Afari, 2014/2016).

6) 전념적 행동(Committed Action)

전념적 행동은 자신이 선택한 가치의 방향으로 걸음을 내딛는 것이다. 전념적 행 동은 네 부분으로 구분하여 생각할 수 있다. 첫째, 자신의 가치에 접촉하는 것이다.

둘째, 가치의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 목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셋째, 목표 달성

(30)

을 위해 구체적인 행동을 취하는 것이다. 넷째, 행동에 따라오는 내적 장애물과 함 께 나아가는 것이다. 장애물은 가치의 방향으로 나아가면서 직면하게 될 실제적인 문제로 다가오기도 하지만, 중요한 장애물은 회피하려고 애써 왔던 예전의 경험들 이나 융합된 생각의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다. ACT에서는 장애물을 극복하거나 우회하거나 통과하려고 하지 않는다. 오히려 장애물과 함께 걸어가는 것을 목표로 한다(Hayes & Smith 2005/2010). 전념적 행동은 가치에 맞는 효율적인 행동 패턴 을 촉진하고 확장하게 한다. 효과적인 행동에 방해가 되는 장애물을 확인하고 변화 가 가능한 영역에서는 변화에 초점을 두도록 하고, 변화가 불가능한 영역에서는 수 용과 알아차림에 초점을 두도록 한다(허선무, 2014).

3. 수용전념치료의 우울과 불안

우울증의 일부는 첫째, 좋지 않은 생각들인 부정적인 자기 판단, 좌절감, 과거의 고통스러운 사건에 대한 생각과 기억에 사로잡혀 있는 것이다. 둘째, 고통스러운 감정들인 죄책감, 슬픔, 불안, 신체적 피로 등과 투쟁하고 있는 것이다. 셋째, 삶을 악화시키는 일들을 하는 것인데, 많은 시간을 침대에서 보내고, 사회적으로 자신을 고립시키며, 실내에만 머무르고, 운동을 포기하고, 일하기를 피하는 것 등이다. 이 를 위한 수용전념치료의 목표는 힘든 생각과 감정을 다루는 새로운 기술을 배우고, 사회생활, 일, 운동, 자신을 만족시키는 일 등 내담자에게 중요했던 것을 다시 하도 록 돕는 것이다. 수용전념치룔ㄹ 통해 첫째로는 생각과 감정이 중심 문제가 아니 다. 사로잡히는 융합과 투쟁하는 회피가 문제를 만드는 것이다. 둘째로는 생각과 감정은 행동을 통제하지 않는다. 생각과 감정은 융합일 때와 회피를 할 때 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준다(Harris, 2014).

수용전념치료에서는 통제 불가능한 생각과 감정을 회피하거나 거부하지 않고 수 용하며 자신이 의미 있게 생각하는 가치를 선택하고 이에 전념하여 행동ㅎㄹ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불안에 적용해보면, 불안 관련 신체 감 각 및 감정과 더 잘 싸우기 위해 노력해 온 내담자가 불안으로 인한 불편감과의 싸움을 내려놓고 자신의 일부로 받아들이는 가운데 자신이 선택한 가치에 일관되

(31)

는 방식으로 행동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볼 수 있다(이선영, 2010).

회피는 개체가 불안에 직면했을 때 보이는 핵심 반응으로 많은 치료가 시도 되 어왔다. 수용과 기꺼이 전념하기는 개인이 위협적이라고 인식하여 회피하고 싶은 상황을 받아들이고 온 몸으로 경험하게 함으로써 불안을 일으키는 잘못된 인지적, 정서적 오해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해 준다(엄별비, 2017).

수용전념치료를 통하여 회피를 유발하는 심리적 경직성에서 벗어나고 수용과 마 음 챙김을 통해 부정적인 심리상태를 변화시키며, 두려움에서 벗어나 자신이 추구 하고자 하는 것을 추구할 것으로 기대된다.

E. 집단미술치료

1.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

집단치료에 미술을 도입한 집단미술치료는 그림을 매체로 구성원 자신의 내면에 있는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함과 동시에 갈등을 재경험하고, 구성원간의 공감과 나 눔 및 상호작용을 통하여 자기인식의 새로움과 사회성 증진에 더욱 나은 삶의 질 을 도모하는데 도움을 준다(방서연, 2016).

수용전념치료의 특성은 수용과 전념을 강조하는 심리치료의 방식으로 인간이 느 끼는 고통을 정상으로 보고 부정적인 정서인 불안이나 우울 등을 수용하게 하고, 현재에 부여되어 있는 중요한 가치를 발견하도록 함으로써 현재 상황에서 스스로 가 중요한 가치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핵심 과제고 설정하고 있다(김채순, 2012).

또한 집단미술치료 활동을 통해 내면의 억압된 심리를 이미지로 표출하고 몰입 하는 과정에서 치유가 일어난다. 수용전념에서 말하는 인간의 언어에서 발생되는 고통을 미술치료에서 이미지화 작업으로 나타나게 한다면 자신의 생각, 감정, 언어 와 대처방식에 대한 부정적 정서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통찰을 할 수 있다. 삶의 통 찰이 일어나면 우울감이나 불안 등의 부정적 정서로부터 벗어나 자신이 이루고자 하는 가치 있는 삶을 향해 나아가도록 도울 수 있다.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중년여

(32)

성들에게 자신이 가지고 있던 어려움과 문제를 표현하고 집단원들에게 공감과 지 지를 받는 경험을 하면서 사회적 접촉 기회와 사회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2.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와 중년여성의 우울

중년기를 경험하는 대부분의 여성들은 우울을 경험한다. 신체적, 정서적 요인 들이 가장 크겠지만 사회적 요인에서는 일을 하지 않는 여성의 경우 일을 하는 여성보다 더 많이 우울을 경험하게 된다. 사회적 대인관계에서 일을 하지 않는 여성의 경우 가족 구성원이 주요 사회관계이기 때문에 가족 구성원에게 지지받 고 싶어 하나 잘 되지 않으면 좌절하게 되고 존재감이 낮아지게 된다.

수용전념치료에서는 수용과 반대되는 과정으로서 경험회피가 우울을 비롯한 심리적 고통의 출발점이라고 본다(Hayes, Strosahl, & Wilson, 2012). 이러한 우울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아니고 심리적 유연성을 증진시키는 것이 목표 이다.

사적 경험들을 통제하려는 의도적인 시도는 역설적인 영향이 가능하므로 수용전 념치료에서는 덜 직면적인 방식 및 비유, 역설, 그리고 경험적 훈련과 같은 덜 지 시적인 형태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사용해서 생각과 자기간의 혼동에서 벗어나게 한다. 그리고 언어적 사건의 문자적 해석의 영향에서 탈피시킴으로써 내담자의 맥 락을 바꾸어서 회피 행동이 일어나지 않게 하고, 가지 지향적인 행동이 가능하게 한다(Hayes, Masuda, & De May, 2003).

수용전념 치료 과정 중의 하나인 인지적 탈융합에서는 사적 사건들 간의 심리적 거리두기를 증대하게 위해 고안된 언어적 습관들로서 생각이 말하는 대로가 아니 라 생각을 생각으로 볼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주스, 주스, 주스’ 연습은 ‘주스’라 는 말을 수차례 반복함으로써 그것이 실재하는 ‘주스’가 아니라 ‘주스’라는 언어 및 인지적 내용일 뿐임을 경험하게 한다(문현미, 2006).

미술을 매체로 하는 미술치료는 언어로는 표현하기 힘든 자신의 내면의 감정이 나 생각을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여 문제가 되는 내제된 부정적 정서를 완화시켜준다. 자신의 과거나 현재의 문제를 재경험 하는 과정을 통해 문제를 해결

(33)

할 수 있다(김선희, 2011).

집단미술치료는 집단이라는 특성인 집단원간의 격려를 통해 서로간의 긍정적인 관계를 바탕으로 각자 내면세계를 표현한 미술 작품들을 매개체로 활용하여 혼자 고립되어 있는 것을 벗어나 집단원간의 감정을 표현하고 서로의 경험을 공감하면 서 언어로서 부딪히는 감정의 완충제가 될 수 있다.

심리적 유연성을 목표로 이 과정을 다룰 때에 우울한 중년여성들은 자기 자신의 가치를 탐색하고 선택한 가치에 따른 전념행동을 하지 못한 원인이 있다. 수용과 마음 챙김 과정은 우울증 치료에 도움이 되기 시작하고 가치에 따른 전념행동을 함으로써 행동주의에 기반을 둔 수용전념치료의 심리치료에 접근했다고 할 수 있 다.

3.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와 중년여성의 불안

미래의 불확실한 상황에 대해 인내력이 부족하거나 자신의 정서를 조절하지 못 해 걱정을 지속하고 불안을 겪는 것은 경험회피와 관련 있다. 경험 회피는 개인이 특정한 경험들(신체적 감각, 정서, 사고, 기억, 행동적 경향성)에 기꺼이 접촉하지 않아 손해에도 불구하고 내적 사건들의 형태나 빈도, 상황을 바꾸거나 벗어나려는 현상이다(Hayes, Wilson, Gifford, Follettd & Strosahl, 1996)

수용전념 치료는 개인의 삶에서 고통을 경험하는 것은 필연적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개인은 고통을 겪으면 안되는 부정적인 것이라고 간주하여 회피한다. 이 러한 과정은 계속해서 개인을 심리적으로 경직되게 한다. 수용전념치료는 이러한 심리적 경직성에서 벗어나 개인이 심리적으로 유연하도록 돕는다. 수용, 탈융합, 맥 락으로서의 자기 자신을 인식하다. 또한 가치를 탐색하고 전념하여 현재에 주어진 자극에 온전히 받아들이도록 한다(노지윤, 2016).

집단미술치료는 미술활동을 통해 집단원의 내면에 간직한 감정을 해소하는 데 효과적이며, 여러 형태의 미술활동을 통해 고통스럽고 괴로운 감정으로부터 안정감 을 주는 정화작용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미술활동을 통해 기분을 전환하고 이 완하므로 두려움이나 스트레스를 완화하는데 효과적이라고 보고하고 있다(방서연,

(34)

2016).

미술작품 제작 과정에 몰두하는 것은 신체에 실제로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어내 어 불안이나 공포의 감정을 개선하는 신경전달물질인 세르토닌의 양이 창조적 활 동을 하는 동안 증가한다. 따라서 미술치료는 스트레스의 감소, 증상에 대한 감정 을 전달하는 능력의 증가, 공포나 불안의 감소 등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신지현, 2002).

나이가 들어가면서 시작되는 노화와 체력 저하, 질병, 가족구조의 변화, 불확실한 미래 등과 같은 걱정을 하는 중년여성들의 불안을 수용전념의 수용의 과정을 통해 왜곡된 생각과 감정을 인식하고 받아들이면서 걱정으로 인한 비현실적인 불안에 대해 인지적 탈융합을 통해 거리를 두고 생각과 불안해하는 감정을 바라보면서 수 용전념치료의 목표인 심리적 유연성이 증진되는데 도움이 된다.

집단미술치료가 갖는 보편성으로 집단은 개인과 구성원들에게 사람들이 비슷한 문제, 걱정, 불안, 공포를 느끼고 있다는 것과 사람들의 경험이 다르기보다는 다 비 슷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중년여성들의 불안이 안정화되고 정화되므로써 심리적 유연성이 향상되어 긍정적인 삶의 자세를 갖게 하는 잠재적 치료효과를 거 둘 수 있다.

F. 선행연구

이예리(2016)는 긍정심리에 근거한 집단미술치료가 갱년기 여성의 행복감과 우울 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긍정심리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는 갱년기 여 성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고 우울을 감소시키는 것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 었다.

황경애(2006)는 중년기 위기와 함께 우울을 겪고 있는 여성들에게 인지행동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중년기 위기 여성들의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고 정서적 위기를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35)

방서연(2016)은 심리적으로 어려움을 경험하는 30, 40대 경력단절 기혼여성을 대 상으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집단미술치료는 경력단절 기혼여성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화성(2009)은 통합적 접근 집단콜라주 미술치료가 중년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분석 결과 우울검사 총점과 하위요 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프로그램 참여 이후 중년여성의 우울 은 감소하였고 회기별 분석에서 초기엔ㄴ 답답함과 우울함을 호소하였으나 점차 자신을 탐색하고 통찰하면서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었다.

정숙희(2006)는 미술치료가 유방암 절제술을 받은 중년기 여성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고 미술치료로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혜은(2013)은 여성의 우울에 대한 수용전념치료의 효과와 함께 치료 과정에서 우울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ACT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한 우울 수준의 감소를 보였다. 과정 변인의 변화에서도 ACT집단은 수 용행동, 자기자비, 마음챙김 수준이 치료과정과 치료 종결 후 유의하게 향상되었으 며 부정적 자동적 사고는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우울에 대한 ACT의 치 료적 효과와 지속성이 입증되었다.

김미하(2007)는 발달장애아동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하여 수용전념 집단치료가 심 리적 안녕감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양육스트레스는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 영향을 주고 경험회피와 인지적 융합을 매개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 다. 프로그램 개발하여 실시 한 후인 사후 검사에서 치료집단은 대기통제 집단보다 심리적 안녕감과 우울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1개월 후에도 지속되었다. 이를 통해 수용전념 집단치료가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우울에 영향을 미치 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선영(2009)은 대학생 및 대학원생 등 성인을 대상으로 수용전념치료에서 과정 변인이 불안에 미치는 매개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결과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 단은 상태불안 및 특성불안과 우울 등 정서적 불편감이 완화되었으며 불안통제감 및 불안민감성 등 불안관련 취약성 또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10주 후에도 대부 분 유지되는 것으로 보아 수용전념치료가 불안에 효과적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6)

최연희(2016)는 중년여성의 우울 감소를 위한 수용전념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 였다. ACT의 6각형 모델이 제시하는 핵심 치료 과정인 수용, 인지적 탈융합, 현재 순간에 접촉하기, 맥락으로서의 자기, 가치명료화, 전념행동의 각 요소 중에서 가치 명료화와 전념행동에 초점을 두어 중년여성의 우울증 예방을 위해 프로그램 개발 을 하였다.

선행연구 분석 결과 이론 설명과 강의식 프로그램으로 진행되는 경향이 있어서 본 연구에서는 언어적인 프로그램을 이미지화하는 미술을 접목시켜서 수용전념을 체험함으로써 부정적 정서인 우울과 불안을 수용하고 기꺼이 경험하여 삶에서 가 치를 향해 전념행동으로 나아가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37)

구분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실험집단

대기집단

O1

C1

X O2

C2

Ⅲ. 연구방법

A. 연구 설계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중년여성의 우울과 불안에 대한 연구를 위하여 실험집단과 대기집단의 사전 검사 및 사후 검사로 설계하여 비교하고자 한 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는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 처치 전과 후에 실시하였다. 실 험집단은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나 대기집단은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았다.

<표 1> 연구 설계 모형

X: 실험처치(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C1, C2: 대기집단 사전·사후 검사(우울, 불안) O1, O2: 실험집단 사전·사후 검사(우울, 불안)

B. 연구대상

40세에서 49세의 중년여성들로 G광역시 소재하는 M센터에서 부모교육을 받았거 나 센터를 이용하는 어머니들 중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참여에 동의를 한 24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12명과 대기집단 12명으로 집단을 연구대상으로 선 정하였다. 연구기간은 2018년 4월 3일부터 2018년 6월 12일까지이다. 실험집단 12 명을 대상으로 주 1회 100분씩 총 10회기의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 시하였다. 연구대상자로서 선정된 실험집단과 대기집단에 대한 일반적 특성은 다음 과 같다.

(38)

실험집단(n=12)

n(%) 대기집단(n=12)

n(%) 전체(n=24)

n(%)

연령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1(8.3) -- 1(8.3) - 1(8.3) 3(25) 3(25)- 3(25)

3(25) 1(8.3) 1(8.3) 1(8.3) 1(8.3) 1(8.3) 2(16.7) 1(8.3) - 1(8.3)

4(16.7) 1(4.2) 1(4.2) 2(8.3) 1(4.2) 2(8.3) 5(20.8) 1(4.2) 3(12.5) 4(16.7)

직업

주부 전문직 서비스직기타

6(50 3(25) 3(25)-

9(75) 1(8.3) 1(8.3) 1(8.3)

15(62.5) 4(16.7) 1(4.2) 4(16.7)

학력 중졸

대졸 1(8.3)

11(91.7) -

12(100) 1(4.2) 23(95.8)

종교

무교 불교기독교 천주교

4(33.3) 2(16.7) 2(16.7) 4(33.3)

3(25) 1(8.3) 3(25) 5(41.7)

7(29.2) 3(12.5) 5(20.8) 9(37.5)

건강 건강

보통 나쁨

2(16.7) 0(83.3) -

4(33.3) 7(58.3) 1(8.3)

6(25.0) 17(70.8) 1(4.2)

자녀 1명

2명 3명이상

7(58.3) 3(25) 2(16.7)

4(33.3) 6(50) 2(16.7)

11(45.8) 9(37.5) 4(16.7)

소득

100미만 100-200 200-300 300-400 400이상

3(25.0) 1(8.3) 4(33.3) - 4(33.3)

1(8.3) 2(16.7) 2(16.7) 1(8.3) 6(50.0)

4(16.7) 3(12.5) 6(25.0) 1(4.2) 10(41.7) 생활수준

보통어려움 매우어려움

10(83.3) 1(8.3) 1(8.3)

10(83.3) 2(16.7) -

20(83.3) 3(12.5) 1(4.2) 부모

형제관계

만족 보통불만족

- 9(75.0) 3(25.0)

3(25.0) (75.0) -

3(12.5) 18(75.0) 3(12.5) 가족

형태 부모부부자녀

부부 2(16.7)

- 1(8.3)

1(8.3) 3(12.5) 1(4.2)

<표2>실험·대기집단에 따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참조

관련 문서

요약하자면 의사소통에 대한 불안을 제외하곤 전반적으로 영어 시험에 대한 불 안, 동료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불안, 교사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불안이 원어민 교사

혈액투석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우울과 자가간호이행의 차이 는 t 검정과 분산분석을 하였고,우울과 자가간호이행 간의

1.. 즉 그리스도는 십자가, 불교는 부처 를 나타내는 것처럼 상징은 함축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예술적 상징 속에 조 형미술의 상징을 보면 상징성이 특히 보여

황 ( 예지 학생의 일기 중에서).. 표현활동 수업에서 모둠활동의 대부분은 여학생들이 주도하고 있었다 이는 표. 현활동 수업 뿐 아니라 다른 수업의 모둠 활동에서 보여

한편,유아기에는 자아개념의 형성과도 관련성을 가지는데 체형,체격에 대한 자 아개념은사춘기에서 뚜렷하게 나타나기 시작하고 놀이 및 운동기능의 수행을

This study examined the sensibility about the fundamental value of ‘safety’ of police officer who are responsible for the public security to establish

48)정년보장형 임금피크제를 도입하고자 하는 경우를 사회통념상 합리성이 있는 경 우로 보아 동의가 필요 없는 것으로

또한 굴의 입구와 출구가 나누어진 것으로 보아 굴의 형태는 한국깔때기거미의 몸의 형태에 가장 적합한 것이고, 위협을 느꼈을 때 반대쪽에 있는 출구를 통해 달아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