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약품비 정책 효과에 대한 시계열 분석

권순만 등(2013)은 시장형 실거래가 상환제 도입 및 약가재평가 시행 이후의 약가 수준 및 약제비, 요양기곤 구입약가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약가수준(가격지수) 변화, 약 제비 변동요인, 상한가 대비 구입가 변화를 분석하였다. 약가수준(가격지수) 변화는 2007년 10월부터 2008년 9월까지의 사용량을 고정된 가중치로 사용하여 가격 동향 을 파악하였다.

Laspeyres Index(LIn) =

  

××

- Pm0: 보험급여 의약품 m의 가격(2007.10-2008.09 기간 약가 가중평균가) - Pmn: 보험급여 의약품 m의 가격(비교연도 n시기에서의 가중평균가) - Qm0: 보험급여의약품 m의 국내사용량(2007.10.-2008.09)

- Qmn: 보험급여 의약품 m의 국내사용량(비교연도 n시기)

시장형 실거래가 도입 이후 요양기관 구입약가의 투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한가 대비 구입가의 비율을 산출한 뒤, 요양기관 종별, 효능군 시장별 산술평균가와 가중평 균가를 산출하였다. 제약기업의 연구·개발활동 및 판매활동을 나누고 고정효과 패널 모형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또는 매출액 대비 판매비c,t

=

  ∙전년도매출액대비연구개발비  

 ∙기업일반특성  ∙전년도기업실적  

 ∙연도더미혹은정책시행더미

 

Andersson 등(2006)은 스웨덴의 약제급여기준에 관한 개혁이 약제비 및 사용량, 사용량 당 비용과 관련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사용량당 비용은 1986년부터

약가일괄인하 정책 관련 의약품 처방행태 변화 연구

3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02년까지의 스웨덴 분기별 자료를 통해 산출하였고, 분절된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 였다. 회귀 모형에서는 5개의 정책 변수를 독립변수로 사용하였다. 비용은 스웨덴 소 비자가격지수(Swedish Consumer Price Index)를 사용하여 연 기준 인플레이션을 통제하였다. 연구 결과, 본인부담비 증가와 같은 정책은 비용 및 사용량에 제한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또한, 가격 경쟁을 도입하려는 정책과 환자가 약제비에 대해 인식하 게 하는 정책이 성공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Andersson 등(2007)은 제네릭 의약품 대체조제의 시행이 환자의 비용 및 스웨덴 약제급여목록에 포함된 처방 의약품의 급여비용을 변화시키는지 확인하고자하였다.

분절된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여 2002년 10월 1일 제네릭 대체조제의 도입 이후 가 격 결정과정에서 break가 발생하였는지 확인하였다. 국가수준 분석은 OLS(ordinary least-squares) 회귀분석으로 하였다. 지역 수준 분석은 one-level random coefficient regression model with identity link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제네 릭 의약품 대체조제의 도입은 모든 처방 약제와 주로 처방하는 약제의 환자 본인 부담 금 변화에 있어 유의하게 작용하였다.

나. 약품비 정책 효과에 대한 이중차이분석

Zhang 등(2008)은 미국 메디케어 Part D9)가 제네릭 의약품 처방전 사용에 미치 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05년-2006년, 67-79세 연령의 Pard D 가입자와 비가입자의 약국 청구자료에 대하여 이중차이분석을 하였다. 최종 표본은 2백4십만 건 이었다. 주요 치료군을 분별하여 그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2005년에서 2006 년 사이에 해당 계열의 약물에 대해 적어도 한 번의 처방을 조제한 자에 한하며, 환자 특성, 처방전 특성,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보정하였고, Part D 대상자와 비대상자의 기 본 차이, 제네릭 의약품 사용에 있어 일반적인 경향을 보정하였다.

제네릭 의약품 사용은 총 처방전의 58%를 차지하였고, 전체 보험가입자에서 15개 의 약물계열 중 13개의 계열 제네릭 의약품 사용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잠재적 혼란변수를 보정한 결과, Pard D 비대상자 보다 Part D 대상자들이 제네릭 의약품 사용률 증가가 완만하였다. 가입자들의 오리지널 의약품에 대한 제네릭 의약품

9) The Medicare Modernization Act Prescription Drug Benefit(Part D)

제2장 제도 개요 및 관련 문헌 고찰

www.hira.or.kr

33

사용은 2005년에 비하여 2006년이 약간 적었다(Odds ratio 0.95).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공변량의 동일한 구성을 사용하여, 제네릭 의약품 사용을 독립 변수로 하고 총 지불비용(보험자 및 환자의 본인부담비용 포함)을 종속변수로 할 때 평균적으로 각 제네릭 의약품 처방(2006년에 조제된 제네릭 의약품 처방)이 소비자 및 보험자 비용을 전체적으로 연간 119.25달러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Part D의 제네릭 의약품 사용은 전체 처방 의약품 약제비 급여에 전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급여상환은 Part D 대상자에서 비대상자에 비해 제네릭 의 약품 사용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 . 가격지수 활용한 약품비 정책 효과 분석

Law 등(2011)은 제네릭 의약품 가격 정책이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제네릭 의약품 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다른 주에서 이러한 가격 정책을 시행하였을 때의 영 향을 추정하였다. 분석 자료로는 IMS-Brogan CompuScript Audit에서 분기당 제네 릭 의약품 조제 처방 자료(2010년)10)를 사용하였으며, 정책 시행 전과 후 단위당 가 격(PPU, price per unit)을 사용하였다. 온타리오 주에서 지출 감소를 추정하기 위해 두 가지 가격지수(economics price indexs)를 이용하였고, 향후 다른 주에서 감소분 은 정책 후의 온타리오주 가격을 통해 추정하였다. 온타리오주에서의 정책 영향 평가 에는 Laspeyres 와 Paasche 지수 개념에 기초하여 전후 측정을 이용하여 제네릭 의 약품 지출에 있어 정책의 영향을 추정하였다.

10) 5,000개 이상의 약국의 national panel로부터 자료 추출. 이는 캐나다 전체 지역 약국의 60%에 해당. 공 공, 민간, OOP 구매의 처방 의약품 모든 것에 대한 자료를 포함.

제3장 기등재 의약품 약가인하 전후 변화분석

www.hira.or.kr

35

제3장 기등재 의약품 약가인하 전후 변화분석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약가인하 정책으로 인해 인하군에서만 약품비 가 감소할 것이다. 둘째, 약가인하 정책 시행 이후, 인하군 내 2007년 최고가 의약품 의 사용량과 약품비 비중이 증가할 것이다. 셋째, 인하군내에서도 의약품과 의료기관 의 특성에 따라 처방행태는 차이를 보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정책 실시 전후의 변화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중재(intervention)가 가해진 전 후를 비교하는 대표적인 연구 방법은 준실험 설계와 순수실험설계가 있다. 준실험설계는 순수실험설계보다 통제가 어렵고 약하여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규명하기는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대규모의 인구집단의 real-world setting의 자료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순수실험설계보다 일반화 가능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어, 정책의 효과를 계산하는 방법으로써 확산되고 있다. 이에 본 연 구에서는 준실험설계 방법을 사용하였다.

제 3장은 본 연구의 첫 번째 분석부분으로 기등재 의약품 상한금액 재평가(약가인 하) 정책이 약품비와 처방행태에 미치는 경시적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단절적 시계열 연구로 설계하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