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제는 위에서 구한 기본적인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식(8)과 식(9)로 나타난 식을 실증분석하기로 한다. 이 결과는 위험흡수를 나타내는 종속변수의 변동 요인들을 나타낸 것으로 환경적 불확실성, 위험회피, 수탁업자의 도덕적 해이 의 정도가 위험흡수에 미치는 영향이 어떤가를 계량경제학적인 방법을 이용하 여 추정하는 것이다. 이 같은 분석에서 고려해야 할 것은 위험공유 변수는 비 용변동과 매우 밀접히 연관된 내생변수일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Camuffo et al.(2005)를 제외하면 이 같은 내생성 문제(endogeneity)를 다룬 이 분야의 연구는 없다. 이러한 내생성의 존재가능성을 검토해 보기 위해 OLS 추정과 함께 도구 변수를 사용한 2단계최소자승법(TSLS)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는 수탁기업 의 비용변동의 또 다른 측정치인 원재료의 비용의 분산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이들 간의 내생성을 검증하는 Wu-Hausman-Durbin 검증결과 비용변수는 내생 변수라고 할 수 없었다.40)

본 연구에서는 생산비용의 변동 및 원재료 비용의 변동이 위험공유도에 어 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식(8)과 식(9)를 이용하여 실증분석하였다. <표 16>과

<표 17>은 OLS 추정결과를 보여준다. 모형추정결과 는 대체적으로 0.2 내 외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F값으로 나타낸 모형적합도 분석결과, 모형이 적 절히 설정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제조원가 분산의 역수의 로그값으로 나 타낸 비용불확실성 회귀식과 원재료비의 분산의 역수의 로그값으로 나타낸 원 재료 비용불확실성 회귀식 모두 거의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다음으로는 개별변수별로 위험공유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토해 보 기로 한다.

40) 이번 추정에서 비용변동의 내생변수는 당해 내생변수와는 상관관계가 높지만 오차항 과는 관련되어 있지 않은 외생변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그러한 내생변수를 구하는 것은 매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체 비용을 사용 한 추정식을 추정할 때 Camuffo et al.(2005) 연구에서 사용한 바 있는 원재료 비용의 분산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내생성을 교정하기 위한 계량경제학적인 방법은 도구변 수를 사용하여 2SLS 분석을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설명변수의 내생성을 검정하 기 위해 Davidson-MacKinnon test를 실시하였다. Camuffo(2005) 및 계량경제학적인 문제 에 대해서는 Woodldridge(2006)를 참조.

첫째로 수탁기업의 비용변동이 커지면, 위험공유 파라미터는 커진다. 분석에 포함된 위탁기업은 수탁기업의 비용불확실성이 커지는 경우보다 많은 위험을 흡수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제조원가의 분산의 역수로 나타낸 변수() 의 추정계수는 0.13 내외의 1%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인 것으 로 나타나고 있다. 수탁기업이 직면하는 비용변동이 크면 클수록 부품구매자 인 위탁기업은 수탁기업과 함께 위험을 공유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둘째로 기업규모를 나타내는 변수로 분석에 포함된 기업규모를 나타내는 변 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며 기대한 바와는 반대로 음의 추정계수를 나타내었다. Okamuro(2001)가 지적한 바와 같이 근로자수로 나타낸 규모변수가 위험회피도를 나타내는 적절한 변수인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41)

셋째로 상위 3사 사업집중도 변수()는 기대한 바와 같은 음의 추정 계수를 일관성 있게 보여주고 있고, 일부 식에서 10%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한 변수로 나타나고 있다. 위탁기업과 수탁기업 간 밀접한 관계를 바탕 으로 한 관계적인 거래계약이 이루어지는 경우 수탁기업의 위탁기업에 대한 하청의존도가 커질수록 위험공유의 수준은 더 커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넷째로 한 특정산업에 대한 집중도가 높은 기업에 대한 위험공유의 문제는 어떤가를 검토해 보기 위해 자동차산업 집중도 변수()를 추가하여 분석해 보았다. 이 변수는 1%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대한 대로 음의 추정계수를 나타내고 있다. 자동 차산업에 대한 수탁기업의 사업집중도가 커질수록 수탁기업이 위험을 다각화 할 능력이 제한되고 위탁기업이 수탁기업에 위험을 전가할 위험은 더욱 증대 할 것이다. 그렇지만 특정산업에 전문화된 수탁기업의 경우 위탁기업과의 관 계적인 거래계약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크고, 이러한 관계적인 거래관계가 커 질수록 특정산업에 대한 의존도가 큰 수탁기업과 위탁기업 간의 위험공유 수

41) 본 분석에서는 제조원가 변수와 원재료 비용을 구분하여 분석하여 <표 16>과 <표 17>

에 보고하고 있으나 <표 17>에는 고용변수를 포함하는 식을 보고하지 않았다. 왜냐하 면 <표 16>에 보고된 식에서 제조원가의 분산으로 측정된 변수()를 제외하 면 두 표의 식이 동일해지기 때문이다. 더구나 상관분석에 의하면 고용변수()와 제조원가의 분산 간에 높은 상관관계 때문에 이 두 변수를 함께 분석하는 것은 계량경 제학적인 다중공선성의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높다.

준은 커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수탁기업이 자동차산업에 사업을 집중할수 록 위탁기업의 위험공유는 증대하게 되고 우리의 추정식에서 추정계수는 음으 로 나타나게 될 것이다.

다섯째로 기술능력을 나타내는 변수인 연구개발비율 변수( )와 엔지니 어비율 변수()는 일부식에서 통계적으로 10%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추정계수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위탁기업이 기술적인 능력이 있는 수탁기업과 더 많이 위험을 공유하려 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지만, 많은 추정식에서 일관성 있는 음의 추정계수를 나타내고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위탁기업이 기술적으로 높은 수 준에 있는 수탁기업과 위험을 공유한다는 가설은 한계적으로 뒷받침되고 있다 고 할 수 있다.

<표 16> 위험공유도(ln(1/-1)) 변동요인의 추정결과: 비용변동의 경우

구 분 식(1) 식(2) 식(3) 식(4) 식(5)

Constant 2.625***

(2.67)

-0.522 (-.0.93)

2.532***

(2.49)

4.395***

(4.22)

4.298***

(3.90)

 0.134***

(4.17)

0.132***

(4.01)

0.139***

(4.87)

0.141***

(4.83)

 -0.165

(-1.63)

 -0.407 (-0.98)

-0.787*

(-1.81)

-0.406 (-0.95)

 -2.084***

(-3.64)

-1.982***

(-3.28)

 0.607

(0.10)

3.903 (0.68)

 -0.444 (-0.33)

-1.502 (-1.07)

-0.602 (-0.48)

R 0.2211 0.1036 0.1981 0.3093 0.2758

F값 8.99

(0.0000)

3.66 (0.0151)

7.49 (0.0002)

14.18 (0.0000)

11.55 (0.0000) 주: ***는 1%, **는 5%, *는 10%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의미

<표 17> 위험공유도(ln(1/-1)) 변동요인의 추정결과: 원재료 비용변동의 경우

구 분 식(1) 식(2) 식(3) 식(4)

Constant 2.459**

(2.58)

2.674***

(2.60)

4.363***

(4.31)

4.245***

(3.79)

 0.129***

(4.09)

0.129***

(3.91)

0.137***

(4.85)

0.142***

(4.62)

 -0.492 (-1.22)

-0.758*

(-1.80)

 -2.231***

(-3.96)

-1.983***

(-3.25)

  -12.705

(-1.70)

-7.316 (-1.04)

 -1.808 (-1.35)

-2.120*

(-1.70)

R 0.2323 0.2147 0.3325 0.2729

F값 9.38

(0.0000)

8.02 (0.0001)

15.44 (0.0000)

11.01 (0.0000) 주: ***는 1%, **는 5%, *는 10%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의미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