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4.1. 신재생에너지 이용실태와 전망

2009년 기준 신재생에너지원별 보급실태를 보면, 폐기물이 74.9%로 가 장 많고 다음으로 수력 10.0%, 바이오 9.5%의 순이다. 이들 3개 에너지원 을 제외하면 다른 에너지원들의 보급률은 매우 미미한 수준이다.

폐기물은 폐가스, 산업폐기물, 폐목재, 생활폐기물, 대형 도시쓰레기 등 이며 바이오는 바이오가스, 매립지 가스, 바이오디젤, 우드칩, 성형탄, 임산 연료 등으로 구성된다.

그림 2-2. 신재생에너지 분류 및 이용실태(2009년)

자료: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 보급통계, 2010.

신재생에너지의 산업별 이용 현황을 보면, 태양열은 가정용으로 54.5%

사용하고, 태양광은 발전 산업용으로 94.0% 사용되고 있다. 지열은 공공시 설에 37.5%, 사회복지시설 21.3%, 교육시설에 13.4%가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2-15. 신재생에너지의 산업별 이용 현황(2009년)

단위: %

구분 가정용 공공

시설

교육 시설

사회 복지

상업 시설

산업 시설

발전

산업용 기타

태양열 54.5 7.1 5.2 11.1 5.0 0.0 0.0 17.1

태양광 3.9 1.1 0.3 0.0 0.0 0.1 94.0 0.6

지열 1.3 37.5 13.4 21.3 4.4 0.0 0.0 22.0 자료: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 보급통계, 2010.

4.2. 신재생에너지의 공급잠재량과 전망

4.2.1. 청정에너지의 공급잠재량

신․재생에너지원별 부존잠재량은 국내에 부존하는 에너지의 총량을 말 하며, 가용잠재량은 에너지 설비 입지의 지리적 여건을 고려한 에너지양이 다. 기술잠재량은 현재 기술수준으로 산출될 수 있는 효율을 고려한 에너 지양이며, 공급잠재량은 현 에너지환경 및 기타 여건을 고려한 에너지 총 량이다

신․재생에너지원별 공급잠재량을 보면 지열이 27,896천 TOE(전체잠재 량의 30.8%)로 가장 많고, 다음이 태양열, 수력, 태양광의 순으로 나타났다.

구분 부존잠재량 가용잠재량 기술잠재량 공급잠재량 비율(%) 태양열 11,159,495 3,483,910 104,517 20,903 23.08

태양광 46,825 9,365 10.34

바이오 141,855 11,656 6,171 6,171 6.81

풍 력 육상 246,750 12,003 9,416 810 0.89 해상 220,206 38,150 20,007 1,727 1.91 수력(대수력포함) 126,273 65,210 20,867 20,867 23.04

지 열 2,352,800,000 131,050,960 191,334 27,896 30.80

해 양 2,839 3.14

합 계 2,364,694,579 134,661,889 399,137 90,578 100.01 자료: 지식경제부, 제3차 신․재생에너지기본계획, 2008.12.

표 2-16. 신․재생에너지 보급잠재량

단위: 천 TOE

4.2.2. 신재생에너지의 공급전망

정부의 제3차 청정에너지 기본계획에 의하면, 향후 2030년까지 청정에 너지 보급량이 33,027천 TOE에 이르러 총에너지 수요 중 11.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08년∼2030년간 청정에너지의 연평균 증가율은 7.8%

로 같은 기간 연평균 0.9% 증가에 그친 총에너지 수요에 비해 훨씬 높은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청정에너지원별 증가율을 보면, 해양에너지의 증가율이 가장 높고 다음 으로 지열, 태양열, 풍력 등의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고 바이오에너지의 경 우 증가율은 높은 편에 속하지 않지만 에너지양은 10,357천 TOE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현재 청정에너지 수요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 고 있는 폐기물과 수력의 경우 각각 4.0%, 1.9%의 낮은 증가율을 보일 것 으로 예상된다.

청정에너지원별 비중을 보면 2030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에너지원

2008년 2010년 2015년 2020년 2030년 연평균 증가율 태양열 33 40 63 342 1,882 ( 5.7) 20.2 태양광 59 138 313 552 1,364 ( 4.1) 15.3 풍 력 106 220 1,084 2,035 4,155 (12.6) 18.1 바이오 518 987 2,210 4,211 10,357 (31.4) 14.6 수 력 946 972 1,071 1,165 1,447 ( 4.4) 1.9 지 열 9 43 280 544 1,261 ( 3.8) 25.5 해 양 0 70 393 907 1,540 ( 4.7) 49.6 폐기물 4,688 5,097 6,316 7,764 11,021 (33.4) 4.0 합 계 6,360 7,566 11,731 17,520 33,027 (100.0) 7.8 비 중 2.58 2.98 4.33 6.08 11.0

단위: 천 TOE, %

은 역시 폐기물로 전망되며 다음으로 바이오에너지, 풍력 순으로 예상된 다. 폐기물의 경우 2030년까지도 가장 중요한 청정에너지원이 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그 비중은 2008년 73.7%에서 2030년 33.4%로 크게 감소할 것 으로 예상된다. 반면 바이오에너지는 2008년 8.1%에서 2030년 31.4%로 비중이 증가하여 청정에너지 보급 확대를 선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반적으로 현재의 폐기물 중심의 청정에너지 공급 구조에서 바이오에 너지, 풍력, 태양에너지 등 자연재생에너지원 중심의 공급 구조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되며, 폐기물 중심의 청정에너지 공급 구조가 반드시 나쁜 것 은 아니지만 현재 폐기물의 대부분을 부생가스 등의 비재생에너지가 차지 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자연재생에너지 공급 증가는 바람직한 방향으로 판단된다.

표 2-17. 신재생에너지원별 공급 목표

주: ( )는 연도별 청정에너지 합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임.

자료: 지식경제부, 제3차 청정에너지 기본계획, 2008.

1. 청정에너지 개념과 의의

국내외적으로 청정에너지 개념이 아직은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국제사회에서는 청정에너지가 지속가능에너지의 개념으로 통용되고 있다. 청정에너지와 유사한 개념으로 신재생에너지가 있다. 신재생에너지 는 기존의 화석연료나 원자력이 아닌 새로운(new) 기술을 활용한 에너지 와 재생가능한(renewable) 에너지를 의미한다. 신재생에너지의 특징은 무 한한 자연에너지를 이용함으로써 끊임없이 재생되고, 석탄 석유 등의 화석 에너지와는 달리 이산화탄소의 발생과 같은 공해가 거의 없는 청정한 에너 지라는 것이다.

따라서 청정에너지 개념은 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하고 있다. 청정에너지 는 신재생에너지보다 더 넓은 의미를 가진다고 본다. 이 연구에서 신재생 에너지를 주로 다루고 있기 때문에 ‘청정에너지 = 신재생에너지’로 정의하 고 분석한다.

장점 단점

야로 구분하고 있다.

신에너지는 연료전지, 석탄액화․가스화, 수소에너지 등 3개로 분류하 고, 재생에너지는 태양열, 태양광, 바이오, 풍력, 수력, 해양, 폐기물, 지열 등 8개로 분류된다.

우리나라 에너지관리공단이 제시한 청정에너지의 특징을 개괄적으로 보 면 크게 네 가지로 나타낼 수 있다. ① 재생이 가능하고 고갈될 염려가 없 는 비고갈성 에너지, ② 이산화탄소 발생이 없는 환경친화형 청정에너지,

③ 연구개발에 의해 에너지 확보가 가능한 기술주도형 에너지, ④ 정부지 원과 장기적인 선행투자가 필요한 공공미래에너지 등이다.

그림 3-2. 청정에너지의 특징

환경친화형 청정에너지

공공미래에너지

비고갈성 에너지

기술 주도형 에너지 ▪연구개발에 의해

에너지 자원 확보 가능 ▪화석연료 사용에 의한

CO2 발생이 거의 없음

▪태양광, 풍력 등 재생가능 에너지원으로 구성

▪시장 창출 및 경제성 확보를 위 한 장기적인 개발보급 정책 필요

신・재생에너지산업 육성으로 지속가능한 경제발전

에너지시스템 구축

자료: 에너지관리공단 청정에너지센터.

신재생에너지는 신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합한 것이며, 청정에너지는 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한 것으로 정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