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신규 산업단지로의 사업체 이동에 관한 기초연구

문서에서 2020년 정책제안서 (페이지 51-54)

CHAPTER

1. 연구의 개요 | 47 2. 선행연구 검토 | 52 3. 사업체 이동 분석 | 57 4. 분석결과 종합 및 정책적 시사점 | 63

부록 | 66

신규 산업단지로의

사업체 이동에 관한 기초연구

47

01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기업의 입지선택 내지 이동은 궁극적으로 기업의 이윤극대화를 위한 의사결정이며, 공간 계획 측면에서는 기업활동이 공간적으로 조정되는 과정

이 과정에서 기업이 낙후지역 또는 수도권 외 지역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지역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지역의 균형발전에도 기여하리라고 기대하는 것이 일 반적인 인식

특히, 지역 차원에서 산업단지는 지역산업의 육성 및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목적을 달성하 기 위한 주요 수단으로서 지역 내 산업의 집적 뿐만 아니라 역외 기업 유치를 통해 산업화 기반이 상대적으로 약한 지역의 산업화에 크게 기여해왔다고 평가

반면에 신규 산업단지 조성이 지역경제 활성화나 지역균형발전 측면에서 기대하는 정책 적 효과를 창출해내는 데 한계가 존재한다는 인식도 존재

- 선행연구들에서는 신규로 산업단지가 공급되더라도 입주수요의 대부분이 지역 내에서 발생하고, 수도권에서 타 지역으로 기업이 이동하는 경우도 극히 일부라는 결과를 제시

※ 정윤선(2015)의 연구에서는 전국사업체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지역 간 사업체 이전을 조사하였 으며, 그 결과 동일 시・도 내 이전 비중을 전산업의 경우 80% 수준으로 파악

- 즉, 지역 간 기업이동이 낮은 이동성, 근거리 이동, 소규모 기업의 이동유연성, 업력이 낮은 기업의 이동유연성을 특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역외기업 유치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나 지역균형 발전 측면에서는 실제로 그 효과가 크지 않다는 인식이 존재1)

그러나 신규 산업단지 개발을 통한 산업입지 공급에 대해 이러한 상반된 인식이 상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규 산업단지에 입주하는 기업 중 신설 또는 이전을 통해 입주하는 비중은 어느 정도이며, 이전을 통해 입주하는 경우 어느 지역에서 이전해오는지, 이전의 공간적 범위는 어느 정도인지 등에 대한 구체적 실증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

이에 본 연구는 최근에 조성된 신규 산업단지와 이들 산업단지에 입주한 사업체를 대상으 로 신설 및 이전에 따른 입주 비중과 이전을 통해 입주한 사업체의 공간적 이동 범위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

1) 정윤선. 2015. 기업의 지역간 이동분석 및 정책적 과제. pp186-187. 산업연구원.

48

특히, 금번 연구는 산업단지로 입주하는 사업체들의 공간적 이동에 대해 KED의 기업정 보데이터를 활용하여 보다 구체적인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들에 비해 차별성이 존재

- 그 간 사업체 또는 기업의 이동과 관련하여 국토연구원과 산업연구원, 기타 학계의 산업 입지 분야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다수의 유사한 연구들이 수행되었으나, 산업단지에 입 주하는 사업체를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는 확인되지 않은 상황

- 또한 전국사업체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대략적인 시・도 또는 권역 간 이동 비중을 파악한 기존 연구들과 달리 법인등기부등본을 기초로 구축된 KED의 기업정보데이터를 활용 함으로써 보다 구체적인 이동거리 및 범위, 이동의 방향성에 대해서도 도출을 시도

2) 연구의 범위

n 내용적 범위

최근 지정・개발된 신규 산업단지의 입주수요를 구성하는 신설 사업체와 이전 사업체의 비중을 지역, 산업단지 유형, 사업체 특성에 따라 분석

① 신설과 이전을 통해 신규 산업단지로 입주한 사업체의 비중을 전국 및 지역별로 분석

② 이전을 통해 신규 산업단지로 입주한 사업체의 유입지(기존 소재지)를 지역별로 분석 - 사업체 이동을 시・도 단위에서 분석

- 사업체 이동을 5개 권역(수도권, 동남권, 충청권, 호남권, 강원권) 단위에서 분석

신규 산업단지로 이전한 사업체의 이동경로와 평균이동거리, 이동방향에 대해 공간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지역별(시・도별, 권역별)로 분석

상기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지역의 산업입지 정책 및 전략과 관련된 시사점을 도출

n 시간적・공간적 범위

분석대상 사업체는 2020년 6월 기준으로 분석대상 신규 산업단지에서 정상적으로 운영 중이고, 2010년부터 주소지 이동을 파악할 수 있는 경우로 설정

구분 부산 인천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합계 개수(개) 119 78 30 40 701 46 85 13 71 136 100 296 1,715 비율(%) 6.9 4.5 1.7 2.3 40.9 2.7 5.0 0.8 4.1 7.9 5.8 17.3 100.0 표 1 분석대상 신규 산업단지로 이전한 사업체 현황(현 소재지 기준)

분석대상 신규 산업단지는 최근 5년(2015년부터 2019년) 사이에 준공된 전국의 91개 산업단지로 설정하였으며, 여기에는 모든 산업단지 유형(국가산업단지, 일반산업단지, 도시첨단산업단지, 농공단지)을 포함

49

문서에서 2020년 정책제안서 (페이지 5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