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스마트리전 해외사례 검토를 통한 국내 도입방안 연구

문서에서 2020년 정책제안서 (페이지 115-121)

CHAPTER

1. 서론 | 111 2. 스마트리전 선행 연구 | 116 3. 스마트리전 정책 사례 및 시사점 | 119 4. 도입방안 및 결론 | 137

스마트리전 해외사례 검토를 통한

국내 도입방안 연구

111

01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n 정부는 도시문제 해결과 도시의 지속가능성 제고 등을 위해 최근 ICT 기술 발달을 활용한 스마 트시트 정책을 활발히 추진 중

우리나라는 세계 최초로 유비쿼터스 관련 법률을 제정하고 종합계획을 수립하는 등 스마 트시티 관련 정책을 선도적으로 추진해 왔음(제3차 스마트도시 종합계획, 2019)

현재 정부는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건설, 스마트 챌린지, 스마트도시형 도시재생사업 등 다양하게 추진 중

정부는 스마트시티 관련 계획으로 ‘09년 제1차 유비쿼터스도시종합계획(2009-2013) 을 수립하였으며, 현재는 계획명을 변경해 제3차 스마트도시종합계획(2019-2023)을 수립하여 시행 중

또한 지자체 단위의 지역스마트도시계획은 ‘20년 9월 현재 30개 계획이 수립1)

n 해외 각국도 스마트시티 정책을 지역 필요에 맞춰 추진 중2)

미국은 ‘15년 스마트시티 이니셔티브를 선언하고 대규모의 R&D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 며, 교통부 주관의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도 병행

- 스마트시티 이니셔티브의 목적은 교통 및 범죄 등 도시문제 해결과 기후변화 대응 등을 통해 도시서비스의 질 향상시키고 도시경제를 강화하는 것(이재용 외, 2018) -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은 각 지역이 당면한 도시문제 해결방안에 대해 경쟁공모 방식

으로 지자체를 지원하는 사업

EU는 ‘Horizon 2020’이라는 연구 및 혁신 프로그램을 추진하여 스마트시티 구현에 적 용 가능한 실증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그 근저에는 스마트 전문화 전략(Smart Specialization Strategy, 이하 RIS3)을 토대로 하고 있음

2) 김경훈(2019), 국토교통부(2019), 이재용 외(2018)

112

- RIS3는 강력한 지역 혁신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함

- RIS3 전략은 연구와 혁신 활동을 통해 지역의 성장과 개발의 강화 및 속도 증가가 목적 - ‘14~’20년까지 약 770억 유로를 투자(허동숙, 2020)

싱가포르는 2025년까지 ‘스마트네이션’ 건설을 국가비전으로 제시하고 정책 추진 중 - 주요 목표는 디지털 정부, 디지털 경제, 디지털 사회 구축임

일본은 신성장전략(‘10~’20)의 일환으로 에너지ㆍ환경 분야에 집중해 스마트시티를 추 진 중이며, 규제 샌드박스 제도를 도입해 활용

인도는 2022년까지 100개의 스마트시티를 건설하는 프로젝트를 발표(‘15.6)

n 도시 단위의 스마트시티 정책을 지역정책으로 연계하려는 스마트리전 정책이 나타나고 있음

주 : 맨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헬싱키-우시마 스마트리전 홈페이지 화면, 북 플로리다 스마트리전 계획 표지, 새크라멘토 스마트리전 홈페이지 화면

출처: 헬싱키-우시마 스마트리전 https://helsinkismart.fi/

북플로리다 스마트리전 http://northfloridatpo.com/images/uploads/Smart_Region_Executive_Summary.pdf 새크라멘토 스마트리전 마스터플랜 https://www.smartregionsacramento.org/

그림 1 스마트리전을 표방하는 지역의 홈페이지 및 계획 사례(예시)

유럽의 스마트리전 주요 사례로 핀란드의 헬싱키-우시마, 스페인의 카탈루니아, 이탈리 아의 밀라노-토리노 지역 등을 들기도 함(김한준, 2016)

113

유럽의 이러한 스마트리전 정책 추진 배경에는 EU RIS3 전략 실행 뿐만 아니라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가 2016년 이후 스마트리전 컨퍼런스를 꾸준히 개최하는 등 유럽의 지역정책에 영향을 받음

- 2016년에 개최한 첫 컨퍼런스에서는 유럽의 성장을 위한 스마트 전문화(Smart Specialisation) 정책 구현을 가속화하고 지역의 경제 전환을 가속화 하는 등을 목적3) - 2017년 2회 컨퍼런스에서는 유럽의 혁신잠재력 극대화를 주제로 개최4)

- 2019년에 개최한 3회 컨퍼런스에서는 스마트 전문화(Smart Specialisation)를 통한 변화를 중심으로 개최5)

미국은 기존 스마트시티를 중심으로 스마트리전을 표방한 각종 계획이 수립ㆍ추진 - 북플로리다, 새크라멘토, 그레이트 워싱턴 등의 지역이 스마트리전 정책 추진 중

이처럼 해당 지역을 ‘스마트리전’으로 정책목표를 설정하거나 홍보하는 사례가 발생

이와 관련 ‘Smart’ 개념이 초기 ICT 인프라 역할이 중점관심이었으나 최근에는 지역개발 에서 인적 자본, 교육ㆍ사회ㆍ관계 자본, 환경적 이익 등에 관한 연구로 이동중이라는 견 해(Emiliano Colantonjo and Daniela cialfi, 2016)가 있음

n 스마트시티 정책 추진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보완하여 추진할 필요

스마트시티 이전의 ‘U –city(유시티)’ 정책은 관 주도와 개별 부처별 추진으로 상호 연계 미흡, 신도시 중심 유시티 건설 및 각 지자체 상황에 맞는 서비스 제공 부족 등이 문제로 제기(장지인 외, 2017)

현재의 스마트시티 정책은 관련 대상 도시가 신기술을 상용화ㆍ고도화 하기 위한 실험장 으로 전락한다거나,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솔루션 개발에만 치중한다는 등의 비판이 존재 (김승남 외, 2018)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 논의된 기존 스마트시티의 정책추진단계나 유형별 특색을 토대로 한 비판적 검토에서 벗어나 지역정책적 측면에서 접근해 개선점을 보완해 나가고자 함

n 해외 스마트리전 정책 동향을 파악하여 국토종합계획 등 추진 관련 정책 시사점 도출 및 스마트 리전 정책 도입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2020년 수립된 제5차 국토종합계획(2020-2040)은 공간구상으로 “연대와 협력을 통한

3) https://ec.europa.eu/regional_policy/en/conferences/smart-regions/ (2020년 9월 25일 접속) 4)

https://ec.europa.eu/regional_policy/en/newsroom/news/2017/06/06-01-2017-smart-regions-2-0-conference-maximising-europe-s-innovation-potential (2020년 9월 25일 접속) 5) https://smartregions3.com/ (2020년 9월 25일 접속)

114

유연한 스마트국토 구현”을 제시하고 있고, 6대 전략 중 “개성있는 지역발전과 연대ㆍ협 력 촉진” 전략 및 “인프라의 효율적 운영과 국토 지능화” 전략 등을 제시

- 국토종합계획에서 제시한 스마트국토 구현을 위한 실천적 정책방안을 제시 - 아울러 ‘한국판 뉴딜’ 등 스마트리전과 유사한 부분이 있는 정책이 다수 발표되고 있는

데, 이에 대한 정책 추진방향 제시

끝으로 스마트시티 정책을 토대로 스마트리전 정책 도입에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 하고자 함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n 연구의 범위

먼저 스마트리전 관련 주요 선행 연구결과를 검토해 스마트리전 개념을 정의하고, 이에 따른 해외 스마트리전 정책 추진사례를 검토하여 관련 지역개발정책 시사점을 도출 - 최근 스마트리전 관련 국내외 주요 연구 결과를 검토하여 스마트리전의 개념 및 특징을

도출

- 스마트리전 관련 해외 주요 정책 추진사례 및 국내 유사정책 사례를 검토

n 연구방법

문헌연구를 통해 스마트리전 관련 개념 및 특징을 도출

각국의 스마트리전 관련 정책사례를 조사 및 비교․분석하여 관련 정책 시사점을 도출 - 각국 사례는 정책 목적, 대상지역 특징, 수립 주체, 타 지역과의 연계 정도, 계획 내용의

분야, 기타 특징사항 등을 분석

n 연구 흐름

연구의 전반적 흐름은 스마트리전 관련 국내외 선행연구 검토 – 해외사례 검토 및 시사점 도출 – 국내 정책 현황 검토 – 정책 도입방안 제시 순으로 진행

115 그림 2 연구의 흐름

116

문서에서 2020년 정책제안서 (페이지 115-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