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02 스마트리전 선행 연구

문서에서 2020년 정책제안서 (페이지 121-124)

n 스마트리전과 관련하여 활발하지는 않으나 다양한 개념 정의가 존재

스마트리전 관련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해당 기술이 공간적으로 구축된 스마트시티 를 스마트리전의 중요한 요소로 보거나,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지역발전전략으로 이해 하는 시각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음

우선 스마트리전을 스마트시티 혹은 스마트플랫폼을 가진 지리적 집중체 등 대상지역의 공간적 특성을 강조해 정의하는 시각이 있음

- 이상호(2017)는 시민이 언제 어디서든 ICT나 전통적 요소를 통해 정보 혹은 환경서비 스를 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화된 스마트시티로 정의

- 박여현 외(2018)는 다양한 지역들이 스마트플랫폼을 통해 정보통신기술을 공유하고 이를 네트워크함으로써 지역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을 성장ㆍ혁신시켜 나가게 하는 지 리적 집중체로 정의

- Harald Yndestad(2014)도 스마트리전을 스마트 기술과 빅데이터 등을 토대로 주거, 스마트그리드, 교통, 미디어 등이 모여 스마트시티가 가능하며, 이러한 스마트시티가 모여 스마트리전을 구성한다고 보고 있음

그림 3 스마트 기술과 스마트리전과의 관계

출처: Harald Yndestad(2014)

117

스마트리전이 지닌 지역개발의 발전전략 특성을 강조하는 시각이 있음

- 임동성 외(2019)는 스마트리전을 “국경을 뛰어 넘어 도시 및 지역들간의 물리적, 가상 적(cyber) 연계를 통한 첨단기술기반 공동발전전략”으로 정의

- 해당 연구가 국가 간 스마트리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이기에 공간적 개념을 국가간 수 준으로 확대 해석한 것으로 보임

- Sutriadi, R(2017)도 문헌연구를 통해 스마트리전에 대해 “지식기반 발전을 촉진하는 지역 차원의 지속가능한 계획 접근”으로 정의

- 특히 국가 개발 계획 체계상 보전 지역과 개발 지역간 조화를 촉진하며, 첨단기술을 지원 받으면 경제부문에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정책으로 보고 있음

기타 지상태 외(2018)는 스마트리전을 “스마트서비스의 인프라공급을 위해 거점도시 또 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주변 소규모 도시 및 농촌지역에 스마트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만들 어진” 서비스 가능 지역 개념으로 보는 시각도 있음

n 본 연구에서는 앞에서 살펴본 선행 연구를 토대로 스마트리전을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토대로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네트워크화된 지역 혹은 해당 지역의 성장전략으로 정의 하고자 함

스마트리전은 공간적으로 반드시 스마트시티간 연합체는 아니더라도, 스마트시티 혹은 이와 유사한 정보통신기술 기반을 구축한 지역을 중심으로 네트워크화된 지역으로 봄 - 스마트리전은 스마트 기술 발달에 기반하고 있어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물리적 기반 구축

이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음

또한 해당 네트워크화된 지역을 토대로 수립되는 지역발전략도 포함하는 것으로 봄

n 스마트리전은 대체로 네트워크 기반 사용, 첨단기술 활용, 사회 및 관계적 가본 역할 중시, 지속 가능성 중시 등이 특징(Emiliano Colantonjo and Daniela cialfi, 2016)

첫째, 경제 및 정치적 효율성과 사회ㆍ문화ㆍ도시발전 향상을 위해 네트워크화된 기반을 사용

둘째, 첨단기술의 중요한 역할과 지역 성장에서 창조적 산업의 중요성을 강조

셋째, 지역 발전에서 사회 및 관계적 자본의 역할에 대한 깊은 관심

끝으로 사회ㆍ환경적 지속가능성이 스마트리전 발전전략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

n 스마트리전 정책은 정보화기술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기존 정책에 비해 차별화되며, 이로

118

인해 지역정책 파급력이 클 것(이상호 외, 2017)으로 예상

정보화기술은 이격된 지역간 실시간 소통 및 연계를 가능케 하여 기존 지역간 물리적 격차 (거리)에 따른 비용 감소 등 효율화를 위해 집적과 규모의 경제 중요성이 감소하고, 서비스 가 제공될 기반이 갖추어지면 거리에 상관없이 실시간으로 동일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함 에 따라 계층적 서비스 구조에서 탈피하기 쉬워진다고 보고 있음

결국 서비스 범위의 한계가 완화되고 관련 비용이 감소하여 지역간 격차 해소 및 지역 주민 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여 지역정책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시각임

119

문서에서 2020년 정책제안서 (페이지 12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