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본 선형공원의 효과

문서에서 2020년 정책제안서 (페이지 147-151)

CHAPTER

1. 서론 | 143 2. 선형공원이란 | 146 3. 도시연구에서 소셜미디어 분석 | 148 4. 미국 뉴욕 하이라인의 사례 | 151 5. 정책제언 | 159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본

선형공원의 효과

143

01 서론

n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으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권장되는 가운데 공원 방문은 코로나바이러스 발생 이전보다 51% 증가1)

구글이 발표한 ‘지역사회 이동성 보고서’ 중 한국 부문에 따르면 2020년 3월 말 기준 대중교 통 거점 이용은 지난 1월 대비 17%, 직장은 12% 각각 감소한 반면, 공원 방문은 51% 증가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실내 활동이 엄격히 금지되는 상황에서 신체 건강과 심리적 압박 감 해소를 위해 걷기, 자전거 타기 등의 활동 등 야외활동이 증가

공원 방문 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권고하며 이용자들은 면역력 증진 등을 목적으로 방문 및 공원이 주는 건강증진 등의 혜택을 기대하며 방문

포스트코로나시대, 공원이 갖는 함의에 대한 재조명이 필요

그림 1 지역사회 부문별 이동량 변화

출처: 구글, 지역사회 이동성 보고서, 2020. 3

1) 구글, 지역사회 이동성 보고서, 2020

144

n 폐선부지를 활용한 선형공원은 쓰임이 다한 교통기반시설을 재활용한다는 점, 녹지공간을 제 공한다는 점, 주변 경제를 활성화한다는 점에서 많은 도시들이 공원화 전략으로 채택

기차에서 자동차로, 자동차에서 대중교통으로, 대중교통에서 공유교통으로 교통수단이 변화함(Banister 2003, Kenworthy & Laube, 1999)에 따라 교통기반시설도 변화하고 폐선부지 등이 도시에 빈 공간으로 남음(Amekudzi & Fomunung, 2004)

도시 내 낡고 사용이 중지된 교통기반시설(폐선부지, 고가도로, 복개도로 등)이 증가함에 따라 이를 활용하는 새로운 방법이 요구되고 뉴욕 하이라인의 경제적 성공(Ascher &

Uffer 2015; Levere 2014)은 전 세계 많은 도시들이 선형공원화 전략을 선택하게 하는 계기가 됨

또한 공원녹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Littke et al. 2016, De Sousa 2006)에 따라 공유 지인 교통기반시설을 재사용해서 공원화하는 계획(Ebeling & Rhodes-Conway 2013) 은 경제적이고 공공성을 고려한 타당한 의사선택으로 보임

특히 선형공원의 경제적 효과는 뉴욕 하이라인, 보스턴 빅딕, 서울 청계천, 서울 경의선 숲길 등을 대상으로 주변 부동산 가치의 증가(Kang & Cervero 2009, Lim et al. 2013), 지자체 세금의 증대(Loughran 2014) 등으로 경제적 효과 검증

n 그러나 선형공원이 공원 이용자 개인에게 주는 경험이나 사회적 혜택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흡

경제적으로 큰 성공을 거둔 뉴욕 하이라인의 경우에도 사회적 기여 부분에서는 실패를 인정했을 정도로 사회적 혜택 부분은 효과가 미약(Bliss 2017)

국내에도 광주 푸른길, 서울 경의선숲길, 경춘선숲길 등 폐선부지를 활용한 선형공원이 다수 있지만 구체적인 사회적 혜택에 관한 연구는 드문 실정

선형공원 조성 및 운영의 사회적 효과를 확보하기 위해 기존 선형공원으로 인한 개인적 경험과 사회적 혜택에 관한 이해가 요구됨

n 공원 이용자의 개인적 경험이나 사회적 혜택에 관한 연구가 어려운 것은 데이터의 한계에 있으 나 최근 소셜미디어 등 빅데이터는 공원 이용자의 경험과 감정에 대한 단서를 제공

빅데이터는 최근 현대 도시 맥락을 해석하고 이해하는데 중요한 데이터원으로 부상

특히 소셜미디어는 인간의 니즈와 욕구에 대한 이해를 돕고(Afzalan&Muller, 2014;

Georgiou, 2017), 사람들이 장소와 특정 공간에 갖는 감정과 태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 (Hollander & Shen 2017)

145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은 스스로 그들의 행동과 감정에 대해 소셜미디어 플랫폼에 업로드 (Kankanhalli, Tan, & Wei, 2005)하기 때문에 정보의 생성과정에서 연구자의 개입이 없음

또한 연구자는 지리적, 시간적 제약 없이 전 세계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음

n 이 연구는 선형공원의 개인적·사회적 혜택을 소셜미디어 분석을 통해 검증하고 이에 따라 선형 공원의 조성 및 운영에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함

이 연구는 선형공원이 제공하는 개인적 경험과 사회적 혜택을 소셜미디어 분석인 1) 감정 분석, 2) 주제어 분석, 3)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도시 및 공원 연구의 방법론으로서 소셜미디어 분석 중 텍스트마이닝 활용

공공성 및 정책성을 고려한 선형공원의 조성 및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

이용자의 행태와 실제 공원의 이용 효과 등 데이터에 기반한 선형공원의 조성 및 운영 근거 마련

146

문서에서 2020년 정책제안서 (페이지 147-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