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정치, 경제, 산업을 선도하는 거점 국가

※ 최근 3년간 남아공의 대세계 교역은 증가 추세, 2019년 FDI 유입 또한 급증

※ 우리나라와의 교역 및 투자 확대를 위한 경제협력 방안 논의 본격화 필요

가. 시장 특성 및 전략적 가치

풍부한 인구, 높은 소득수준, 선진 인프라를 갖춘 아프리카의 거점 시장

⚬ 남아공 인구는 꾸준히 증가하여 2019년 약 5,800만 명에 달함

- 중위연령은 27세로 젊은 인구가 풍부, 0~34세 층이 전체 인구의 63%를 차지

* 60세 이상 노년층 인구는 전체의 9%에 불과

⚬ 2018년 남아공의 GDP는 3,681억 달러로 나이지리아에 이어 아프리카 제2의 규모이며, 1인당 명목 GDP는 6,369달러로 충분한 구매력 보유

-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전체 GDP의 23%, 대외 교역의 약 20% 점유

⚬ 요하네스버그, 케이프타운, 더반 등 주요 도시들은 선진국 수준으로 발달된 인프라를 보유 - 대서양과 인도양이 만나는 해상 요충지에 위치한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아프리카의 교통 허브

역할을 수행

- 각 지역 거점에 3개의 국제공항(요하네스버그, 더반, 케이프타운)과 대형 항만(더반, 케이프타운, 포트엘리자베스)을 운영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최대 투자처이자 성장잠재력이 높은 신흥시장

⚬ 2013~2017년간 평균 38억 달러의 외국인 투자가 유입, 2018년 대(對)남아공 외국인 직접투자 (FDI) 유입은 전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FDI의 17% 차지

- 제조업, 에너지 산업 등에 대한 투자를 독려하는 등 자원 수출에 의존하는 경제구조에서 벗어 나려는 노력 지속

⚬AGOA, EU EPA 등 각종 무역특혜와 남부아프리카개발공동체(SADC)와의 밀접한 관계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투자 중심지로서 역할을 확대

나. 교역

최근 3년간 남아공의 대(對)세계 교역액은 지속 증가

⚬ 2018년 남아공의 대(對)세계 수출입은 각각 전년 대비 5.07%, 11.8% 확대 - 총 교역액은 1,867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8.32% 상승

남아공 대(對)세계 교역 동향

(단위 : 백만 달러)

구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1∼6월)

수입 75,102 83,192 93,013 43,468

수출 75,289 89,239 93,762 43,332

무역수지 186 604 749 -136

총 교역 150,391 172,432 186,776 86,801

자료 : WTA(2019년 8월 기준)

⚬ 중국, 독일, 미국, 일본, 인도, 영국, 네덜란드 등이 주요 교역 국가 - 중국이 최대 교역국 자리를 유지, 독일과 미국이 2, 3위 기록

2019 상반기 주요 국가별 수출입 통계

(단위 : 백만 달러, %)

구분 중국 독일 미국 일본 인도

수입(비중) 8,072(18.57) 4,421(10.17) 2,831(6.51) 1,439(3.31) 1,956(4.5) 수출(비중) 4,623(10.67) 3,355(7.74) 2,972(6.86) 2,162(4.99) 2,146(4.95) 자료 : WTA(2019년 8월 기준)

⚬ 보석・귀금속, 광・슬랙・회와 광물성 원료(크롬, 백금족, 철광석 등)의 세계적 수출국이며, 기계류, 전기기기, 차량 및 부품 등을 주로 수입

남아공 수출입 5대 품목

(단위 : 백만 달러, %)

순위

수입 수출

품목명 2018 2019. 1∼6월

(변화율) 품목명 2018 2019. 1∼6월

(변화율) 1 광물성 연료 17,148 7,669(-9.29) 보석・귀금속 16,541 6,673(-18.01)

2 기계류 11,527 5,345(-8.88) 광・슬랙・회 11,689 6,607(11.08)

3 전기기기 8,624 4,285(-0.01) 차량 및 부품 10,776 5,313(11.78)

4 기타 7,437 3,930(4.86) 광물성 연료 9,919 4,644(-3.75)

5 차량 및 부품 7,039 3,437(-1.72) 철강 6,312 3,077(-7.55)

자료 : WTA(2019년 8월 기준)

비즈니스 환경 분석

다. 투자진출

남아공으로 유입되는 외국인 직접투자(FDI : Foreign Direct Investment) 확대

⚬ 2018년 전반적인 외국인 직접투자가 감소세를 보인 바 있으나 대(對)남아공 FDI는 전년 대비 165.8% 증가한 53억 달러를 기록

대(對)남아공 FDI 유입 추이

(단위 : 백만 달러)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5,770 1,729 2,235 2,007 5,334

자료 : UNCTAD(2019년 8월 기준)

⚬ 라마포사 대통령의 향후 5년간 1,000억 달러 투자유치 계획, AfCFTA 출범 합의, 특별경제구역 설립 확대 등이 대(對)남아공 투자를 증진

- BAIC, BMW, Nissan 등 글로벌 자동차 그룹들이 남아공 자동차 제조산업에 집중 투자 했으며, 아일랜드계 회사인 메인스트림 리뉴어블 파워가 110MW 규모의 풍력발전지역을 건설하며 1억 8,600만 달러를 투자

외국기업들의 더욱 원활한 남아공 투자진출을 돕기 위해 남아공 정부는 InvestSA OSS (One Stop Shop)를 운영 중

⚬ 복잡하고 느린 행정절차는 남아공 투자진출의 장애물로 작용해온바, 외국기업의 좀 더 빠르고 편리한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

- 요하네스버그, 케이프타운, 더반 등지에서 InvestSA OSS가 운영 중

⚬ 회사 등록, 비자, 세금 등 회사 설립에 관련한 모든 서비스를 일체 지원하고 있으며, 금융기관, 파트너십, 투자 인센티브 등 관련 정보도 제공

미국, 영국 등 전통적 투자국 외에 중국을 선두로 일본, 인도, 아랍에미리트, 사우디아라 비아 등 중동・아시아 국가들의 대(對)남아공 투자 가속화

⚬ 중국, 일본 등은 국가 간 정기적으로 개최되는 고위급 회의를 통해 100억 달러가 넘는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

- 인프라 건설, 자동차, ICT 분야 등에서의 민간 투자도 활발

⚬ 2018년 5월 라마포사 대통령은 중동 방문 시 총 200억 달러의 투자를 유치

라. 프로젝트

(에너지) 통합자원계획(IRP : Integrated Resource Plan) 도입 지연과 남아공 국영전력공사 (Eskom)의 운영난은 프로젝트 시장의 성장을 저해

⚬ 2018년 8월 통합자원계획 개정안의 내각 승인 절차는 완료, 이후 진전 미비

- 재생에너지 기술을 활용한 전력 확보를 중심으로 2030년까지 발전용량 확대(54,177MW → 78,344MW)가 주요 목표로 설정

남아공 발전용량 계획

(단위 : MW)

가스복합 풍력 태양열 수력 원자력 석탄화력

2018 3,830 1,980 1,474 2,196 1,860 39,126

2030 11,930 11,442 7,958 4,696 1,860 33,847

자료 : 남아공 에너지부(2019년 8월 기준)

⚬ 현지 전력의 약 95%를 생산하는 Eskom의 극심한 재정난 및 운영 부실, 설비 노후, 기술인력 부족 등 문제로 안정적인 전력 생산 및 수급이 불안정

⚬ 통합자원계획 최종안 마무리 후 다수의 유망 프로젝트 정보 공개 기대

(인프라) 대통령 직속 인프라산업추진위원회(PICC : Presidential Infrastructure Coordination Commission)를 통해 민관협력 프로젝트 확대를 도모

⚬ 주요 프로젝트 발주 국영기업인 Eskom과 국영도로공사(Sanral)의 자금 부족으로 다소 침체된 남아공 프로젝트 시장 부흥을 위해 남아공 정부는 2018년 8월 약 270억 달러(4,000억 랜드) 규모의 인프라 기금을 마련

남아공 인프라 시장 규모 성장 전망

(단위 : 십억 랜드, %) 2018(e) 2019(f) 2020(f) 2021(f) 2022(f)

시장규모 120.67 127.76 134.40 140.52 146.74

성장률 2.5 0.3 -0.3 0.5 1.4

자료 : WTA(2019년 8월 기준)

⚬ 전 국민의 기동성 향상을 위한 교통 시스템 마련 또한 최우선적 과제

- 남아공 국영운송공사(Transnet)는 화물 운송 철도 확장을 위해 더반항, 케이프타운 국제공항, 더반 국제공항 등을 증축, 항만 혼잡 및 물류적체 개선 예정

비즈니스 환경 분석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