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스웨덴 함마르비의 발전전략과 성공요인

문서에서 성장동력거점 해외사례 연구 新 (페이지 125-141)

C H A P T E R 7

스웨덴 함마르비의 발전전략과 성공요인

제 장에서는 쇠퇴한 기존의 제조업 중심지를 친환경적인 주거단지로 새롭게 개발하7

면서 도시의 활력창출에 기여한 스웨덴 함마르비의 형성과정 및 전략에 대해 살펴보

고 시사점을 도출한다 함마르비 사례를 통해 주변 환경과 생태계를 고려한 지속가능.

한 개발을 추진함으로써 주민에게 쾌적한 도시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녹색도시 조성의 세계적 모범지역으로서 지역이미지를 제고하고 도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함마르비의 개요 1.

함마르비 허스타트 (Hammarby Sjöstad)는 스웨덴 스톡홀름 남동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Hammarby Sjöstad 강 주변 구산업지역 및 항만지역 일대에 형성되었다. 면적은200ha이며 계획인구, 25,000 (8,000명 세대 이며 상업인구 등을 포함할 경우) 총인구는 35,000명이다.

함바르비는 ①스톡홀름의 주택수요 충족, ②지속가능한 도시 주거형태의 모델 구축, ③친수 자원순환형 생태학적 계획도시 등을 목표로 건설되었다 개발주ㆍ . 체는 스톡홀름시이며 개발기간은, 1992~2015년이다 개발방식은 공영개발 방식. 으로서 스톡홀름 시정부에서 개발 계획을 수립하고 스톡홀름 시정부와 스웨덴, 교통부를 중심으로 개발비용을 조달하였다.

그림

< 7-1> 함마르비 전경

함마르비의 지리적 위치와 입지잠재력 2.

스웨덴은 지리적으로 북유럽에 속하며 남북으로 길게 뻗은 스칸, 디나비아 반도의 동쪽에 위치하고 있다 스웨덴의 수도인 스톡홀름은. 스칸디나비아 지방의 최대의 도시 이며 섬이 많아 북방의 베네치아, 라고도 불리고 있다 이러한 스웨. 덴의 수도 스톡홀름과 인접한 함마 르비는 스톡홀름 도심의 남쪽 약 떨어진 외곽에 위치해 있으며

5km ,

남동쪽으로는 발틱해와 연결되어

있는데 특히 호수에 둘러싸인 지리적 이점을 가지고 있어 풍부한 수자원의 활, , 용이 용이하고 그에 따른 친환경주거단지로써 최적의 입지여건을 가지고 있다, .

그림

< 7-2> 함마르비 위치

함마르비의 초기여건과 발전과정 3.

함마르비의 기원 1)

북유럽 국가들의 지속가능한 개발은 환경친화적 개발과도 일맥상통하며 덴마, 크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등 스칸디나비아 반도 국은 생태적으로 지속가능, , , 4 한 도시개발로 주목받고 있다.

이중에서도 스웨덴의 스톡홀름에서는 1972년 세계인간환경회의가 개최되었 고 국제적인 환경보호 원칙인 스톡홀름 선언이 공포된 곳으로 환경에 대한 지대, 한 관심과 노력이 도시개발에 반영되고 있는 도시이다 특히 이 스톡홀름 선언. , 은 법적인 구속력은 없지만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고 환경 보호를 위한 기본 원칙을 밝힌 선언으로써 스톡홀름은 환경분야에 있어서 명실공히 상징적인 도시 이다.

함마르비는 스톡홀름 시 외곽에 위치한 공장지대로 차 세계대전 이후 발틱해1 와 연결된 지정학적 위치로 인해 급속한 산업화를 겪게 되었다 그러나 이후 제. 조업 쇠퇴와 설비 노후화로 산업기능을 상실하면서 도시기능이 쇠퇴되었고 항, 구의 선적작업 및 공장지대에서 흘러나온 유독물질은 이 지역을 급속히 오염시 켜 토양 및 대기 오염이 심각하게 되어 외면을 받던 지역이었다.

그림

< 7-3> 함마르비 허스타드 전경

개발주체 및 개발과정

Strategy Master Plan .

전략계획에서는 함마르비 지역을 12개의 지구로 구분하고 단계별 개발을 제시

사업시행 전 ⇒ 제 차1 제 차2

함마르비의 토지이용 및 주요계획 특성 4.

개발구상 및 토지이용 1)

함마르비 허스타드 지역은 지구 남측의 자연환경보존지역과 함마르비 호수라 는 자연경계에 의해 명확히 구분되며 함마르비 호수는 신도심의, ‘Blue eye’로 환 경적으로 주민들의 쾌적성 측면에서도 중요한 계획 요소이다.

주거지역은 중심도로축에 인접하여 격자형 그리드 형태로 계획되었으며 중앙, 녹지대를 향한 열린 형태의 중정형 배치를 통해 조망을 최대한 확보하였다.

스톡홀름 도심 내에 계획된 신도심(inner city) 특성을 감안하여 도로폭은 18m, 블록 규모는 70×100m로 설정하고 지구 중심축 기능을 수행하는, 37.5m의 녹지 및 도로축을 조성하여 교통 및 생활공간의 중심으로 계획하였다.

또한 주변환경과 생태계를 고려한 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에너지 폐기물 물, , , 순환 과정 전반에 대한 자체 자원순환모델을 수립 적용하고 삶의 질 향상을 위, 해 주요 어메니티 시설과의 접근성을 고려한 시설배치 및 교통시설 확충하였다.

그림

< 7-5> 함마르비의 마스터플랜

자원순환모델 구축 2)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들기 위하여 프로젝트 계획단계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 실행단계에서도 환경적 문제를 우선적으로 반영하도록 하는 자체환경 프로그램 인 함마르비 모델(The Hammarby Model)을 개발하여 친환경적 자체 순환 모델을 구축하였다.

함마르비 모델은 에너지 쓰레기 물관리에 관련된 자체 고유의 도시개발 모델, , 로 그 핵심은 바이오가스 등 신재생 에너지를 통한 에너지순환 시스템으로 지구, 내 난방 등의 에너지 대부분을 친환경적인 재생에너지를 통해 조달한다 이 모델. 은 폐수 및 폐기물로부터 재생가능 에너지를 추출하고 있으며 식물의 비료 역시, 유기폐기물에서 생산되는 등 성공적인 자원순환시스템 구축하였다.

함마르비의 야산에는 쓰레기의 중계처리를 위한 Transfer terminal이 건설되어 있는데 이 시설은 지하에 쓰레기 진공흡입관이 매설되어있고 유인송풍기에 의한 진공력에 의해 쓰레기를 반송한 후 선별 압축하여 반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 또한 폐기물을 태울 때 발생하는 열 이외에 폐수처리 시 발생하는 바이오 가스, 를 사용하여 난방을 실시하고 있는데 개별가정 난방에 충분할 만큼의 열원을 제, 공한다.

오수처리시설의 부하를 줄이기 우해 도로 및 지붕에서 흘러나오는 지표수를 별도 처리하도록 도심 곳곳에 우수 channel을 설치하여 호수로 유입된다.

함마르비 지역의 일반 가정에서 쓰레기 투입을 위한 장치는 옥외뿐 아니라 옥 내에도 설치되어 있는데 음식물쓰레기 투입구는 건물내부 각층별 또는 층에 위1 치하고 있으며 종이 등 재활용품쓰레기 투입구는 건물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 러한 자동 수집된 쓰레기는 단순히 집하되는 것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쓰레 기 소각을 통한 난방 또는 퇴비로 활용하는 등 재생에너지 생산 및 생태계 순환 시스템으로 발전시켰다는 것이 함마르비의 에너지 순환 계획의 핵심이다.

자료: 함마르비 허스타드 홈페이지(http://www.hammarbysjostad.se/).

그림

< 7-6> 함마르비 자원순환모델 개념도

에너지계획 3)

함마르비는 태양열을 활용한 대체에너지 생산 관련 인프라와 건축물이 곳곳에 배치되어 있는데 태양열을 이용한, Heat panels을 이용하여 개별 건축물 연간 난 방의 50%를 공급하고 있다 이처럼 친환경적 시스템을 최대로 활용하기 위해 환. 경 인포메이션 센터를 설치하여 지역주민에 대한 지속적인 환경교육은 물론 함 마르비 도시개발을 적극 홍보하고 있다.

건축용 자재는 재활용이 가능한 재료를 계획 초기단계에서부터 채택하여 향후 재건축 기간이 도래한다 할지라도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 하도록 계획하였으며,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도시개발 사례는 중국 베이징 시장이 이곳을 방문해 함마르비와 동일한 방식으로 개발하자는 협약을 체결할 만큼 성공사례로 인용되고 있다.

자료: 함마르비 허스타드 홈페이지(http://www.hammarbysjostad.se/).

그림

< 7-7> 함마르비 환경인포메이션 센터

상 하수도계획 4) ㆍ

함마르비는 물 사용량 절감 및 하수처리 및 신기술 개발을 통해 바이오가스와 바이오고형물의 추출 활용하며 우수 및 강우 유출수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상하수도 관리 및 활용시스템 구축하고 이를 적용하기 위해 시험용 하수도 처, 리시설 기를 설치하고 같은 지역에 적용된 최신 하수도 처리기술 성능 측정 및1 평가하고 있다 또한 지역내 배출된 오폐수에서 수집된 침전물. , (sludge) 처리를 통해 바이오가스를 생산하고 부산물은 유기비료로도 활용하고 있다, .

생활하수는 하수처리후 화력발전소에서 활용 후 연해로 배출 우수와 강우 유, 출수는 폐수처리시설을 통해 호수 및 연해로 배출된다.

이러한 모든 과정을 통해 함마르비는 상하수도 관리 목표 및 수준 물 사용량 인당 하루에 리터 일 인 기준 로 스톡홀름시 평균 리터의 수준으

1 100 (1 1 ) 200 50%

로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 설정하고 있다.

또한 그 외에 폐수 내 인화합물, (phosphorus) 95% 이상을 농업용 비료 등으로 재활용하고 하수도에서 추출된 메탄은 가정용 운송용 연료인 바이오 가스로 활, ,

용 중금속 및 기타 환경유해 물질 수준 타 지역 대비, 50% 이하로 개선하는 목표 를 설정하였다.

폐기물 처리계획 5)

함마르비는 폐기물 감소와 폐기물 재활용을 통해 에너지 생산으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폐기물 처리는 건물 가구, (block) 및 지역별로 관리책임을 부여하여 유기성 가, 소성 기타 폐기물로 분리하여 재활용, (block-based recycle)하고 각 폐기물은 전용, 관을 통해 진공 추진 방식 시속( 70 )㎞으로 중앙수집소에 취합 후 폐기물 종류별로

폐기물 처리는 건물 가구, (block) 및 지역별로 관리책임을 부여하여 유기성 가, 소성 기타 폐기물로 분리하여 재활용, (block-based recycle)하고 각 폐기물은 전용, 관을 통해 진공 추진 방식 시속( 70 )㎞으로 중앙수집소에 취합 후 폐기물 종류별로

문서에서 성장동력거점 해외사례 연구 新 (페이지 125-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