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세계 新 성장동력거점의 현황

문서에서 성장동력거점 해외사례 연구 新 (페이지 31-35)

C H A P T E R 2

세계 新 성장동력거점의 현황

제 장에서는2 新성장동력과新성장동력거점의 개념을 정의한 후 국제사이언스파크협회, 가 조사한 세계 과학기술연구단지(Science and Technology Park)의 현황과 실태를 요약 하여 정리하였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과학기술연구단지의 최초 설립시기는. , 1959년이 었으나 설립 붐이 일기 시작한 때는1980년대 후반부터이다 단지는. 2/3가 도시 내에 입 지해 있으며, 54%가 대학과 인프라를 공유하고, 65%가 서비스를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단지의 크기는. 2/3가량이60만㎡이하이고, 80%이상이 창업 인큐베이터시설과 기술센터를 갖추고 있다 단지의 성공요소는 이미지 입지여건 주변에 대학존재 지원. , , , 제도 등으로 조사되었고 성공의 장애요소로는 재정지원 부족 공공부문지원 부족 정, , , 부규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성장동력과 성장동력거점

1. 新 新

일반적으로 현 시점에서 미래 지향의 新성장동력(new-generation growth engines) 을 꼽는다면 정보기술, (IT), 나노기술(NT), 바이오기술(BT), 환경 및 에너지 기술 문화 콘텐츠 기술 등의 첨단기술과 관련 산업 또는 이들을 통합적으 (ET), ・ (CT)

로 융 ・ 복합한 기술과 산업을 말한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앞에서 열거한 미래 국가발전을 위해 새로운 성장엔진 역할을 할 첨단기술과 관련 산업을 수용

하고 입지시켜 당해지역의 경쟁력을 높여 다른 지역보다 빠른 발전을 꾀하면서 아 울러 주변지역에도 발전의 파급효과를 전파하는 허브 역할을 할 단지 또는 지역”

을 新성장동력거점이라 정의한다.

이러한 新성장동력거점은 흔히 과학기술연구단지(Science and Technology 의 형태로 조성된다 세계적으로 과학기술연구단지는 여러 가지 명칭으로

Park) .

불리어지는데 국제사이언스파크협회, (IASP :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Science 의 조사에 따르면 테크놀로지 파크 사이언스 파크 사이언스

Parks) , (30%), (24%),

앤 테크놀로지 파크(13%), 리서치 파크(10%), 테크노폴리스 테크노폴ㆍ (5%) 등의 명칭이 두루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IASP는 현재 사이언스 파크(Science Park)를 공식명칭으로 사용하고 있다.

의 정의에 따르면 사이언스 파크란 기술혁신 관련 문화를 비롯하여 기

IASP , “

술혁신 관련 비즈니스와 지식기반 기관들의 경쟁력을 증진시킴으로써 지역사회 의 부를 증대시키기 위해 전문가 집단이 관리하는 조직과 시스템 을 뜻한다 이” . 러한 사이언스 파크는 지식집약형산업 등의 설립과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목적 으로 대학 연구소 기타고등교육기관과의 공식적인 제휴 하에 설립되어 입주 기, , 업에 대하여 기술과 경영 노하우의 이전을 활발히 수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연구에서는 IASP가 정의한 과학기술연구단지 즉 사이언스 파크가 현재 세 계의 新성장동력을 선도하는 거점으로 보고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현황과 실태 를 살펴보았다.

신성장동력거점으로서의 세계 과학기술연구단지 현황 2.

세계 각국에는 다양한 형태의 수많은 과학기술연구단지 즉 사이언스 파크가 성장동력거점의 역할을 하고 있다. IASP의 2006~2007년도 일반조사 결과를

新 「 」

요약하여 정리하면 세계의 과학기술연구단지 즉 사이언스 파크의 현황과 실태, 는 다음과 같다.

과학기술연구단지의 설립시기와 입지실태 1)

세계에서 사이언스 파크가 처음으로 설립된 시기는 1959년이다 조사에 응답. 한 파크 가운데1980년 이전에 설립된 곳은 2.6%에 불과하며, 1980년대 후반부터 사이언스 파크의 설립 붐이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구체적으로는. 2000년 이후에 설립된 사이언스 파크가 전체의 26%이다 그리고 사이언스 파크의 설립을 위한. 계획에서부터 건설을 완료할 때까지 걸리는 기간은 평균 3.4년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사에 응답한 사이언스 파크의 66%는 도시지역 내에 입지하고 있으며, 도시 인근 25Km 이내에27%가 입지하고 있다 그런데 미국의 경우에는 사이언. 스 파크의 약 3/4 가량이 도시 인근 지역에 입지하고 있다.

과학기술연구단지와 대학과의 관계 2)

조사에 응답한 사이언스 파크의36%는 대학 구내 또는 대학 연접한 곳에 입지 해 있고 그렇지는 않지만 대학 소유 토지에 입지한 경우가, 8%에 이른다 사이언. 스 파크 가운데 대학과 인프라를 공유하는 경우는 54%이고 서비스를 공유하는, 경우는 65%이다 사이언스 파크의. 72%가 대학의 연구그룹을 주관하고 있으며, 는 대학이나 기업과의 연락사무실을 운영하고 있다 응답한 파크의 는

27% . 75%

대학의 역할과 영향력이 사이언스 파크의 성공에 매우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과학기술연구단지의 인프라 실태 3)

사이언스 파크의 크기를 조사한 결과 면적의 경우에는, 20만㎡ 미만(40%), 20 만∼60만㎡(27%), 60만∼100만㎡(10%), 100만㎡ 이상(19%)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건평의 경우에는 만 천1 5 ㎡ 미만(16%), 1 5만 천∼4만㎡(25%), 4만∼8만㎡(17%),

만 이상 로 조사되었다

8 ㎡ (36%) .

사이언스 파크 내 주요시설로는 인큐베이터시설(88%), 기술센터(83%), 대학센 터(69%), 주거시설(26%) 등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연구단지의 성공요소와 장애요소 4)

사이언스 파크가 성공하는데 필수 요소는 이미지 상대점수( :240 ),점 입지(232 점 대학존재), (231 ),점 지원제도(214 ),점 지역의 수요(178 )점 로 조사되었다 또 사. 이언스 파크를 성공적으로 운영하는데 걸림돌이 되는 장애요소로는 재정지원 부 족(180 ),점 공공부문지원 부족(159 ),점 정부규제(147 ),점 대학협력 부족(135 ),점 제 도적 지원 부족(128 )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3

C H A P T E R 3

미국 리서치 트라이앵글 파크 (RTP) 의

문서에서 성장동력거점 해외사례 연구 新 (페이지 31-35)